목차
Ⅰ. 문헌고찰 --------------------------------------------------- 3 ~ 4
Ⅱ. 대상자 간호사정 --------------------------------------------------- 4 ~ 9
Ⅲ. 대상자 간호과정 --------------------------------------------------- 9 ~ 10
* 참고문헌 ------------------------------------------------------------- 10
Ⅱ. 대상자 간호사정 --------------------------------------------------- 4 ~ 9
Ⅲ. 대상자 간호과정 --------------------------------------------------- 9 ~ 10
* 참고문헌 ------------------------------------------------------------- 10
본문내용
등
정신신경계: 두통, 진전, 현훈 등
소화기: 구역,, 상복부통, 위장운동장애, 변비경향 등
순환기: 심계항진, 빈맥과 같은 항콜린성 부작용 등
용법/용량
·네블라이저 또는 간헐적 양압환기 요법기기(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를 이용하여 투여
♣ 성인: 0.4-2.0ml(100-500mcg)을 1일 4회
♣ 3-14세: 0.4-2.0ml(100-500mcg)을 1일 3회
TYLENOL
타이레놀
효능
· 발열, 동통, 두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치통, 관절통 등
부작용
· 구역, 구토, 식욕부진, 피부발진, 위장관 장해, 간독성, 신독성
용법/용량
♣ 12세 이상: 8시간 마다 2~4정 복용, 하루 최대 12정
▣ 환자 주요 상태
환자 주요 상태 변화
6/23일
· v/s (07 : 00) - BP: 106/52 , P: 42 , r : 20 , t : 36
· 의식수준 nearly alert
· pupil size 좌 · 우 3mm
· 몸에서 진드기 발견 상태 → 접촉격리 상태
· 상지 떨림 관찰됨 → 억제대 적용
· 심전도 모니터상 서맥 , t-wave inversion
· 양팔에 ecchymosis 관찰됨
· hemoglobin : (11.4)g/dl
· PLT(28)천 /㎕ 측정됨
· (LR-PC) (8) unit 처방 남
6/25일
· v/s (07 : 00) - BP: 121/53 , P: 44, r : 25 , t : 37.1
· 간헐적으로 양손에 tremor 관찰됨
· 오심, 온몸 통증 양상 표현함
· 객담 배출 시 dark blood하게 소량 섞임
→ hct 30.9 % 임, FFP(2)unit 수혈 처방됨
· 심전도 모니터상 sPo2 85% 까지 감소함 (Dyspnea 호소 X , 목이 조금 아프다고 함)
→ nasal prong으로 산소주입 시작함
· blood 소량 섞인 양상으로 1차례 구토함 → macperan 투여
6/27일
· v/s (07 : 00) - BP: 122/62 , P: 44 , r : 28 , t : 36.2
· wheezing sound 지속되며 mild dyspnea 양상
· sitting position 유지함
6/29일
· v/s (07 : 00) - BP: 133/61 , P: 56 , r : 21 , t : 36.5
· sPo2 84-86% , RR 30-38회 체크됨 → optiflow 40LPM , fi02 0.8로 주입 시작함
· deep drowsy-sleeping tendency
· DNR 상태로 보호자 더 이상 적극적인 치료 원하지 않음
7/1일
· v/s (07 : 00) - BP: 101/62 , P: 84 , r : 35 , t : 35.5
· EKG상 HR 30회로 떨어짐
· BP 체크 x
Ⅲ. 대상자 간호과정
간호진단
급성통증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deep drowsy 상태로 표현 못하심
객관적 자료
· 오심, 온몸 통증 호소하며 뒤척임
· low back pain 호소함
간호계획
· 통증관리 - 통증 강도가 0으로 조절됨 , 통증이 경감되고 편안함을 나타냄
·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문제가 없음
간호중재
-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함
- 통증 측정 도구(1: 아주 조금 아픔, 10: 아주 심하게 아픔)를 사용하여 기록함
- 처방에 따른 진통제를 투여하고 약물을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함
- 통증 부위를 적절히 지지하고 편안한 자세를 취해줌
- 통증이 어느 정도 경감되고 난 후에는 대안요법(다양한 활동, 부드러운 음악, 환자가 좋 아하는 프로그램 등) 을 사용함
- 대상자의 통증 부위의 강도, 지속시간 등을 사정함
- 조용하고 부드러운 환경 조성(적당한 온도, 습도 , 환기등)하고 편안한 체위를 취할 수 있도록 도움
- 통증감소를 위한 약물을 투여함
간호진단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deep drowsy 상태로 표현 못하심
객관적 자료
· ABGA - O2 content ( 11.0 ↓ (정상범위 : 18.0-22.0)ml/dl)
· 아트로벤트 흡입액 처방됨
· wheezing sound 지속되며 mild dyspnea 양상 확인됨
· sPo2 84-86% , RR 30-38회 체크됨 → optiflow 40LPM , fi02 0.8로 주입 시작함
간호계획
· 기도 개방 유지 - 기도관리, 구강간호 적용함
· 맑은 숨소리와 호흡양상, 동맥혈 가스분석(ABGA) 결과상 정상범위를 유지함
간호중재
- 분비물 배액과 호흡곤란을 완화하기 위해 적절한 체위(좌위, 반좌위)를 설명하고 적용함
- 환기를 증진시키고 분비물이 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실내공기를 환기함
-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하고, 필요 시 산소요법 실시함
- 분비물이 쉽게 이동되고 기관지 벽에서 잘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흉부타진을 시행함
- 기도 청결 및 원활한 호흡을 유지함
간호진단
신체저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deep drowsy 상태로 표현 못하심
객관적 자료
· 내원 시 오한, 전신쇠약, 두통 증상을 호소한 간호 기록지
·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투여함
· Lab에서 pancytopenia (범혈구 감소증)소견 확인됨
· 상주 적십자 병원 v/s t : 38.3 체크됨
· wbc 1.27로 감소 됨 ( 정상범위 - (4.00-10.00)천/l )
· 객담 배출 시 dark blood하게 소량 섞임
간호계획
·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없음
· 감염통제 - 구강간호, 활력징후 감시
간호중재
- v/s ,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측정함(발열여부사정)
- 분비물의 양상을 관찰함
- 혈중 WBC, ESR, CRP를 관찰함
- 처방에 따른 항생제를 투여하고 약물을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함
감염위험요인과 증상을 확인함
* 참고문헌
김금순 외 공저(2012).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2012).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서울 아산 병원 의료정보 - 질환백과 http://healthinfo.amc.seoul.kr/healthinfo/main/main.do
정신신경계: 두통, 진전, 현훈 등
소화기: 구역,, 상복부통, 위장운동장애, 변비경향 등
순환기: 심계항진, 빈맥과 같은 항콜린성 부작용 등
용법/용량
·네블라이저 또는 간헐적 양압환기 요법기기(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를 이용하여 투여
♣ 성인: 0.4-2.0ml(100-500mcg)을 1일 4회
♣ 3-14세: 0.4-2.0ml(100-500mcg)을 1일 3회
TYLENOL
타이레놀
효능
· 발열, 동통, 두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치통, 관절통 등
부작용
· 구역, 구토, 식욕부진, 피부발진, 위장관 장해, 간독성, 신독성
용법/용량
♣ 12세 이상: 8시간 마다 2~4정 복용, 하루 최대 12정
▣ 환자 주요 상태
환자 주요 상태 변화
6/23일
· v/s (07 : 00) - BP: 106/52 , P: 42 , r : 20 , t : 36
· 의식수준 nearly alert
· pupil size 좌 · 우 3mm
· 몸에서 진드기 발견 상태 → 접촉격리 상태
· 상지 떨림 관찰됨 → 억제대 적용
· 심전도 모니터상 서맥 , t-wave inversion
· 양팔에 ecchymosis 관찰됨
· hemoglobin : (11.4)g/dl
· PLT(28)천 /㎕ 측정됨
· (LR-PC) (8) unit 처방 남
6/25일
· v/s (07 : 00) - BP: 121/53 , P: 44, r : 25 , t : 37.1
· 간헐적으로 양손에 tremor 관찰됨
· 오심, 온몸 통증 양상 표현함
· 객담 배출 시 dark blood하게 소량 섞임
→ hct 30.9 % 임, FFP(2)unit 수혈 처방됨
· 심전도 모니터상 sPo2 85% 까지 감소함 (Dyspnea 호소 X , 목이 조금 아프다고 함)
→ nasal prong으로 산소주입 시작함
· blood 소량 섞인 양상으로 1차례 구토함 → macperan 투여
6/27일
· v/s (07 : 00) - BP: 122/62 , P: 44 , r : 28 , t : 36.2
· wheezing sound 지속되며 mild dyspnea 양상
· sitting position 유지함
6/29일
· v/s (07 : 00) - BP: 133/61 , P: 56 , r : 21 , t : 36.5
· sPo2 84-86% , RR 30-38회 체크됨 → optiflow 40LPM , fi02 0.8로 주입 시작함
· deep drowsy-sleeping tendency
· DNR 상태로 보호자 더 이상 적극적인 치료 원하지 않음
7/1일
· v/s (07 : 00) - BP: 101/62 , P: 84 , r : 35 , t : 35.5
· EKG상 HR 30회로 떨어짐
· BP 체크 x
Ⅲ. 대상자 간호과정
간호진단
급성통증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deep drowsy 상태로 표현 못하심
객관적 자료
· 오심, 온몸 통증 호소하며 뒤척임
· low back pain 호소함
간호계획
· 통증관리 - 통증 강도가 0으로 조절됨 , 통증이 경감되고 편안함을 나타냄
·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문제가 없음
간호중재
-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함
- 통증 측정 도구(1: 아주 조금 아픔, 10: 아주 심하게 아픔)를 사용하여 기록함
- 처방에 따른 진통제를 투여하고 약물을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함
- 통증 부위를 적절히 지지하고 편안한 자세를 취해줌
- 통증이 어느 정도 경감되고 난 후에는 대안요법(다양한 활동, 부드러운 음악, 환자가 좋 아하는 프로그램 등) 을 사용함
- 대상자의 통증 부위의 강도, 지속시간 등을 사정함
- 조용하고 부드러운 환경 조성(적당한 온도, 습도 , 환기등)하고 편안한 체위를 취할 수 있도록 도움
- 통증감소를 위한 약물을 투여함
간호진단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deep drowsy 상태로 표현 못하심
객관적 자료
· ABGA - O2 content ( 11.0 ↓ (정상범위 : 18.0-22.0)ml/dl)
· 아트로벤트 흡입액 처방됨
· wheezing sound 지속되며 mild dyspnea 양상 확인됨
· sPo2 84-86% , RR 30-38회 체크됨 → optiflow 40LPM , fi02 0.8로 주입 시작함
간호계획
· 기도 개방 유지 - 기도관리, 구강간호 적용함
· 맑은 숨소리와 호흡양상, 동맥혈 가스분석(ABGA) 결과상 정상범위를 유지함
간호중재
- 분비물 배액과 호흡곤란을 완화하기 위해 적절한 체위(좌위, 반좌위)를 설명하고 적용함
- 환기를 증진시키고 분비물이 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실내공기를 환기함
-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하고, 필요 시 산소요법 실시함
- 분비물이 쉽게 이동되고 기관지 벽에서 잘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흉부타진을 시행함
- 기도 청결 및 원활한 호흡을 유지함
간호진단
신체저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deep drowsy 상태로 표현 못하심
객관적 자료
· 내원 시 오한, 전신쇠약, 두통 증상을 호소한 간호 기록지
·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투여함
· Lab에서 pancytopenia (범혈구 감소증)소견 확인됨
· 상주 적십자 병원 v/s t : 38.3 체크됨
· wbc 1.27로 감소 됨 ( 정상범위 - (4.00-10.00)천/l )
· 객담 배출 시 dark blood하게 소량 섞임
간호계획
·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없음
· 감염통제 - 구강간호, 활력징후 감시
간호중재
- v/s ,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측정함(발열여부사정)
- 분비물의 양상을 관찰함
- 혈중 WBC, ESR, CRP를 관찰함
- 처방에 따른 항생제를 투여하고 약물을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함
감염위험요인과 증상을 확인함
* 참고문헌
김금순 외 공저(2012).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2012).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서울 아산 병원 의료정보 - 질환백과 http://healthinfo.amc.seoul.kr/healthinfo/main/main.do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