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서론 1
2. 환아질병의 전반적 과정 요약
3. 문헌고찰
1) 정상신생아의 신체적, 생리적 특성과 관찰대상 아동과의 비교
2) 관련 질병에 대한 문헌 개요
3) 특수처치 및 관리와 관련된 문헌 관찰
4. 간호과정
1)기초자료
2)진단 검사 및 치료과정
1. 서론 1
2. 환아질병의 전반적 과정 요약
3. 문헌고찰
1) 정상신생아의 신체적, 생리적 특성과 관찰대상 아동과의 비교
2) 관련 질병에 대한 문헌 개요
3) 특수처치 및 관리와 관련된 문헌 관찰
4. 간호과정
1)기초자료
2)진단 검사 및 치료과정
본문내용
행
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①6/7 태생으로 재태기간 37주+1일된 SGA, IUGR.
②6/7
DR→NICU
poor sucking
③I/O
I/O
6/7
6/8
I
n
P
112cc
192cc
O
30cc
145cc
o
u
t
U
4회
9회
S
2회
4회
④체중변화
6/7 : 2180gm
6/8 : 2140gm
<장기 목표>
신생아는 적절한 영양공급으로 영양부족이 없다.
<단기 목표>
①신생아는 sucking 능력이 증가한다.
② 신생아는 정상적인 체중변화를 보일 것이다.
<진단적 계획>
① 매일 신생아의 sucking 능력을 사정한다.
② 매일 I/O를 체크한다.
③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④ 신생아의 수유요구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⑤ 신생아의 sucking 능력에 맞는 젖꼭지를 준비한다.
⑥ 3시간 마다 소량씩 신생아의 요구에 따라 수유한다.
⑦ 적절한 수유방법을 적용한다.
- 수유시 아기를 45°가 되도록 안아서 수유시키고 수유 후 트림을 시키고 오른쪽으로 눕힌다.
⑧ 모유가 준비되는 대로 젖병수유시 모유를 수유한다.
⑨처방된 fluid를 투여하고(비경구적 수액요법을 시행) 수액요법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필요시 (신생아가 쉽게 피로하거나 흡철, 기침, 연하반사가 약하면) 위관영양을 한다.
<교육적 계획>
어머니에게 모유 저장법 및 후에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① 신생아가 sucking을 할 수 있으면 가능한 젖병수유를 하고 sucking능력에 맞는 젖꼭지를 준비하기 위함이다.
② 영양상태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
③ 적절한 영양섭취를 한다면 체중이 증가한다.
④ 수유시 수유양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⑤ 미숙아용 젖꼭지는 우유가 더 잘 나오게 한다.
⑥미숙아는 소량씩 수유해야 소화도 잘되고 배고픔을 자주 느끼므로 sucking이 강해진다.
⑦ 역류방지를 위함이다.
⑧ 조산모유는 만삭모유에 비해 lactose 함유량은 적으나, 항감염 인자인 IgA, 칼로리, 단백질, 지방, Na, Cl은 더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소화가 잘 되고 장관 알레르기 발생이 적다.
⑨ 전해질 및 수분 등의 영양공급을 위해 수액요법을 실시한다.
①매일 신생아의 sucking 능력을 사정하였다.
② 매일 I/O를 확인하였다.
I/O
6/9
6/10
IN
P
192cc
192cc
O
155cc
175cc
OUT
U
8회
9회
S
2회
3회
③ 매일 오후 5시 체중을 체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6/9 2190g
6/10 2210g
4. 신생아의 수유요구를 사정하였다.
6/9 3시간 간격으로 W 20cc 먹음
6/10 3시간 간격으로 W 25CC 먹음
⑤ 미숙아용 젖꼭지 크기의 젖꼭지를 사용하였다.
⑥6/9 3시간 마다 30cc씩 담아 수유
6/10 ,14 3시간마다 40cc담아 수유
⑦수유 시 신생아의 몸이 45°가 되도록 안아서 수유시키고 수유 후에는 등을 두드려서 트림을 시켰다. 트림을 시키고 아기를 오른쪽으로 눕혔다.
⑧ 모유가 준비되는 대로 젖병에 넣어서 수유시간에 수유하였다.
⑨처방에 따라 담당 간호사 선생님께서 10%D/W 500cc IV 2gtt/min 으로 수액공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신생아의 상태가 호전되고 있어서 위관영양은 하지 않았다.
담당 간호사 선생님께서 어머니에게 모유 저장법 및 후에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시는 것을 관찰 하였다.
(NICU에서 쓰는 모유를 저장하는 비닐팩을 주고 모유를 담아서 NICU로 갔다주면 냉동실에 얼렸다가 해동시켜 젖병에 넣어 준다고 교육하였다)
①신생아는 sucking 능력이 증가되었다 .
②체중은 매일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3. 광선요법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객관적 자료>
①6/9
황달증상이 있다.
②생화학 검사
날짜
T-bililubin
6/9
5.6
③6/9 광선요법 start
#4
광선요법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장기목표>
황달 치료의 완료로 광선요법으로 인한 신체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황달의 증상이 사라진다.
- bililubin 수치가 정상범
위를 유지한다.
②광선요법으로 인한 합병증
이 나타나지 않는다.
<진단적 게획>
①v/s를 측정하면서 체온의
변동여부를 확인한다.
②대상자의 피부색과 상태를 주의깊게 관찰한다.
③대상자의 탈수 징후를 사정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
-필요시 정맥수액요법 시행.
④빌리부빈 수치를 2일에 1번 검사한다.
<치료적 계획>
⑤광선을 차단하는 eye sheild를 착용하고 1일 1회 교환한다.
⑥생식기 부위는 기저귀를
이용하여 가린다.
⑦체위변경을 2시간마다
한다.
⑧수유시간이나 8시간마다
광선치료를 중단한다.
①광선요법의 빛은 아기의 체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체온조절이 중요하다.
②.광선요법으로 인한 증상
완화정도 확인하기 위함.
③광선치료 시 10~20%수분이 더 제공되어야 한다.
④불필요한 광선치료를 막기 위함이다.
⑤광선요법에 의해 망막손상이 유발 되므로 위험을
방지하고 빛의 효과를 최대 화하기 위함이다.
⑥불임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⑦화상을 막고 광선을 신체 골고루 노출시킨다.
⑧시각적으로 자극도 주면서 지속적인 광선요법으로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중단하면서 치료한다.
①②활력징후를 측정할 때마다 체온의
변동여부와 대상자의 피부색 상태를 주
의깊에 관찰하였다.
- 피부상태 양호함.
③I&O 체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I/O
6/9
6/10
IN
P
192cc
192cc
O
155cc
175cc
OUT
U
8회
9회
S
2회
3회
④빌리루빈 수치를 검사하였다.
날짜
T-bililubin
6/11
1.2
⑤대상자가 eye sheild를 착용중임을 관찰하였다.
⑥기저귀를 교환할 때에는 광선치료를 중단하고 생식기부위를 가린 후에 다시 광선치료를 시작하였다.
⑦체위변경 해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⑧수유 시에는 안대를 제거하여 시각적
자극을 주었다.
①황달의 증상이 없고 정상적인 빌리루빈 수치를 회복했다.
②대상자는 광선요법으로 인한 합병증 즉, 안구손상, 체온상승, 피부손상, 탈수 등이
발생하지 않았다.
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①6/7 태생으로 재태기간 37주+1일된 SGA, IUGR.
②6/7
DR→NICU
poor sucking
③I/O
I/O
6/7
6/8
I
n
P
112cc
192cc
O
30cc
145cc
o
u
t
U
4회
9회
S
2회
4회
④체중변화
6/7 : 2180gm
6/8 : 2140gm
<장기 목표>
신생아는 적절한 영양공급으로 영양부족이 없다.
<단기 목표>
①신생아는 sucking 능력이 증가한다.
② 신생아는 정상적인 체중변화를 보일 것이다.
<진단적 계획>
① 매일 신생아의 sucking 능력을 사정한다.
② 매일 I/O를 체크한다.
③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④ 신생아의 수유요구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⑤ 신생아의 sucking 능력에 맞는 젖꼭지를 준비한다.
⑥ 3시간 마다 소량씩 신생아의 요구에 따라 수유한다.
⑦ 적절한 수유방법을 적용한다.
- 수유시 아기를 45°가 되도록 안아서 수유시키고 수유 후 트림을 시키고 오른쪽으로 눕힌다.
⑧ 모유가 준비되는 대로 젖병수유시 모유를 수유한다.
⑨처방된 fluid를 투여하고(비경구적 수액요법을 시행) 수액요법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필요시 (신생아가 쉽게 피로하거나 흡철, 기침, 연하반사가 약하면) 위관영양을 한다.
<교육적 계획>
어머니에게 모유 저장법 및 후에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① 신생아가 sucking을 할 수 있으면 가능한 젖병수유를 하고 sucking능력에 맞는 젖꼭지를 준비하기 위함이다.
② 영양상태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
③ 적절한 영양섭취를 한다면 체중이 증가한다.
④ 수유시 수유양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⑤ 미숙아용 젖꼭지는 우유가 더 잘 나오게 한다.
⑥미숙아는 소량씩 수유해야 소화도 잘되고 배고픔을 자주 느끼므로 sucking이 강해진다.
⑦ 역류방지를 위함이다.
⑧ 조산모유는 만삭모유에 비해 lactose 함유량은 적으나, 항감염 인자인 IgA, 칼로리, 단백질, 지방, Na, Cl은 더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소화가 잘 되고 장관 알레르기 발생이 적다.
⑨ 전해질 및 수분 등의 영양공급을 위해 수액요법을 실시한다.
①매일 신생아의 sucking 능력을 사정하였다.
② 매일 I/O를 확인하였다.
I/O
6/9
6/10
IN
P
192cc
192cc
O
155cc
175cc
OUT
U
8회
9회
S
2회
3회
③ 매일 오후 5시 체중을 체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6/9 2190g
6/10 2210g
4. 신생아의 수유요구를 사정하였다.
6/9 3시간 간격으로 W 20cc 먹음
6/10 3시간 간격으로 W 25CC 먹음
⑤ 미숙아용 젖꼭지 크기의 젖꼭지를 사용하였다.
⑥6/9 3시간 마다 30cc씩 담아 수유
6/10 ,14 3시간마다 40cc담아 수유
⑦수유 시 신생아의 몸이 45°가 되도록 안아서 수유시키고 수유 후에는 등을 두드려서 트림을 시켰다. 트림을 시키고 아기를 오른쪽으로 눕혔다.
⑧ 모유가 준비되는 대로 젖병에 넣어서 수유시간에 수유하였다.
⑨처방에 따라 담당 간호사 선생님께서 10%D/W 500cc IV 2gtt/min 으로 수액공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신생아의 상태가 호전되고 있어서 위관영양은 하지 않았다.
담당 간호사 선생님께서 어머니에게 모유 저장법 및 후에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시는 것을 관찰 하였다.
(NICU에서 쓰는 모유를 저장하는 비닐팩을 주고 모유를 담아서 NICU로 갔다주면 냉동실에 얼렸다가 해동시켜 젖병에 넣어 준다고 교육하였다)
①신생아는 sucking 능력이 증가되었다 .
②체중은 매일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3. 광선요법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객관적 자료>
①6/9
황달증상이 있다.
②생화학 검사
날짜
T-bililubin
6/9
5.6
③6/9 광선요법 start
#4
광선요법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장기목표>
황달 치료의 완료로 광선요법으로 인한 신체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황달의 증상이 사라진다.
- bililubin 수치가 정상범
위를 유지한다.
②광선요법으로 인한 합병증
이 나타나지 않는다.
<진단적 게획>
①v/s를 측정하면서 체온의
변동여부를 확인한다.
②대상자의 피부색과 상태를 주의깊게 관찰한다.
③대상자의 탈수 징후를 사정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
-필요시 정맥수액요법 시행.
④빌리부빈 수치를 2일에 1번 검사한다.
<치료적 계획>
⑤광선을 차단하는 eye sheild를 착용하고 1일 1회 교환한다.
⑥생식기 부위는 기저귀를
이용하여 가린다.
⑦체위변경을 2시간마다
한다.
⑧수유시간이나 8시간마다
광선치료를 중단한다.
①광선요법의 빛은 아기의 체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체온조절이 중요하다.
②.광선요법으로 인한 증상
완화정도 확인하기 위함.
③광선치료 시 10~20%수분이 더 제공되어야 한다.
④불필요한 광선치료를 막기 위함이다.
⑤광선요법에 의해 망막손상이 유발 되므로 위험을
방지하고 빛의 효과를 최대 화하기 위함이다.
⑥불임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⑦화상을 막고 광선을 신체 골고루 노출시킨다.
⑧시각적으로 자극도 주면서 지속적인 광선요법으로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중단하면서 치료한다.
①②활력징후를 측정할 때마다 체온의
변동여부와 대상자의 피부색 상태를 주
의깊에 관찰하였다.
- 피부상태 양호함.
③I&O 체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I/O
6/9
6/10
IN
P
192cc
192cc
O
155cc
175cc
OUT
U
8회
9회
S
2회
3회
④빌리루빈 수치를 검사하였다.
날짜
T-bililubin
6/11
1.2
⑤대상자가 eye sheild를 착용중임을 관찰하였다.
⑥기저귀를 교환할 때에는 광선치료를 중단하고 생식기부위를 가린 후에 다시 광선치료를 시작하였다.
⑦체위변경 해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⑧수유 시에는 안대를 제거하여 시각적
자극을 주었다.
①황달의 증상이 없고 정상적인 빌리루빈 수치를 회복했다.
②대상자는 광선요법으로 인한 합병증 즉, 안구손상, 체온상승, 피부손상, 탈수 등이
발생하지 않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