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의 아동복지법과 일본의 아동복지법 공통점
2. 한국의 아동복지법과 일본의 아동복지법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한국의 아동복지법과 일본의 아동복지법 공통점
2. 한국의 아동복지법과 일본의 아동복지법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종교, 사회적 신분, 재산, 장애유무, 출생지역, 인종 등에 따른 어떠한 종류의 차별도 받지 아니하고 자라나야 하며, 완전하고 조화로운 인격발달을 위하여 안정된 가정환경에서 행복하게 자라나야 하고, 아동에 관한 모든 활동에 있어서 이익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명시하여 두 나라 아동복지법의 기본 이념은 일맥상통함을 알 수 있다.
Ⅳ 참고자료
- 최정섭, “사회복지법제론”, 법문사, 2012
- 법제처, “아동복지법”, 2016
- 김미숙, “아동청소년복지 수요에 기반한 복지공급체계 재편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 미즈시마 레오, “일본의 영유아 보육법제에 대한 고찰”, 한국법제연구원, 2012
- 이나림, “일본의 복지제도와 한국복지제도의 비교연구”, 신라대, 2015
Ⅳ 참고자료
- 최정섭, “사회복지법제론”, 법문사, 2012
- 법제처, “아동복지법”, 2016
- 김미숙, “아동청소년복지 수요에 기반한 복지공급체계 재편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 미즈시마 레오, “일본의 영유아 보육법제에 대한 고찰”, 한국법제연구원, 2012
- 이나림, “일본의 복지제도와 한국복지제도의 비교연구”, 신라대, 20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