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Ⅱ. 본론 ---------------------------------------------- 1~7
1. 진단적 치료절차를 위한 간호
(1)심리적 준비
(2)치료절차의 수행
(3)치료절차 후지지
(4)치료절차 동안 놀이의 활용
2. 수술절차
(1)수술 전 간호
(2)수술 후 간호
3. 개심술
Ⅲ. critical thinking ------------------------------------ 7~8
Ⅳ. 용어정리 -------------------------------------------- 8
Ⅴ. 참고문헌 -------------------------------------------- 8
Ⅱ. 본론 ---------------------------------------------- 1~7
1. 진단적 치료절차를 위한 간호
(1)심리적 준비
(2)치료절차의 수행
(3)치료절차 후지지
(4)치료절차 동안 놀이의 활용
2. 수술절차
(1)수술 전 간호
(2)수술 후 간호
3. 개심술
Ⅲ. critical thinking ------------------------------------ 7~8
Ⅳ. 용어정리 -------------------------------------------- 8
Ⅴ. 참고문헌 -------------------------------------------- 8
본문내용
h 10번
mess와 hemostat를 이용하여 chest tube 를 삽입하고 5호 silk로 suture tie하여 고
정시킨다.
⑩ 피부와 흉골절개 부위 봉합 (closure of the wound)
- 흉골은 steel-wire, 흉골아래 는 5호 silk로 interrupted suture, 흉골외막
(periosteum)은 1-0 chromid catgut, 피하조직은 30- chromic catgut, skin은 3호
silk은 3호 silk로 suture한 후 dressing gauze로 덮고 chest-tube는 Y-gauze로 덮는
다.
(3) 수술 후 간호
- VSD 수술후 bundle of His의 손상으로 heart block나타날 수 있음 -> pacemaker를
부착시켜 심박
동 유지
- 중심정맥압은 8~10cm(sternal angle)가 유지되도록 수액이나 수혈 -> 수술후 첫 24시
간 동안에는
normal saline과
dextrose를 투여
Ⅲ. Critical thinking
Q : 000이 개심술을 하게 되었다고 가정한 후 이에 대해 부모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교육이 되려면?
A : 우선 000의 부모님에게 개심술이 어떤 수술인지에 대해 설명하여, 지금 000은
심실 중격 결손을 앓고 있기 때문에 이를 교정하기 위한 심장 절개 수술을 할 것임
을 알려준다. 이때, 000의 부모님이 수술에 대해 불안과 걱정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심리적 지지를 제공해 주기 위해 이 수술은 000의 선천적 심장 질환을 교정하기
위한 시술이기 때문에 수술 후에는 심장에 무리가 덜 가고 호흡곤란도 완화되며 전 보다 더 건강해 질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 해준다. 그리고 수술 전에 시행하는 검사 에 대해 설명 하여 000의 수술에 대한 절차를 자세히 알려준다. 또한 수술 후 회 복되는 기간은 대략 4~6주가 걸린다는 내용을 알리고 수술 흉터 자국에 대한 걱정이 있다면 추후 건강 회복 시 흉터 치료를 받도록 권장한다. 그리고 000은 현재 다운 증후군을 앓고 있고, 개심술을 시행 하게 되면 면역기능이 쉽게 저하되어 감염위험이 있기 때문에 부모님에게 000과 접촉 시 손 씻기를 철저히 하고 000이 사용하는 물건을 소독하여 감염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한다.
Ⅳ. 용어정리
- 심도자법 : 심장의 해부학적 확인을 위해 시행하는 침습적 방법, 말초혈관을 통해 심장
으로 방사선 불 투과성 카테터를 삽입, 조영제를 투입하여 관찰함
- subcutaneous tissue : 피하조직
- Stryker saw(electric sternotome) : 수술용 전기톱
- sternum : 흉골
- tagging: 표지, 표시하기
- Arterial infusion: 국소동맥내주입
- ascending aorta: 오름대동맥, 상행대동맥
- double purse string suture: 이중 쌈지봉합
- mosquito : 작은지혈집게
- Venous return : 복귀 정맥혈
- cardioplegic solution: 심장정지액
- total cardiopulmonar bypass : 심폐 우회술
- ice saline(cardioplegic solution) : 심장 정지액
- mersilene, ethibond : 수술용 바늘
- hemostat : 지혈집게
- bundle of His : 히스근속
- heartv block: 심장 차단
- pacemaker : 심장박동기
Ⅴ. 참고문헌
김영혜 외(2011).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pp153~165
윤혜상 (2004). 수술실환자간호. 청구문화사. pp 215~217
mess와 hemostat를 이용하여 chest tube 를 삽입하고 5호 silk로 suture tie하여 고
정시킨다.
⑩ 피부와 흉골절개 부위 봉합 (closure of the wound)
- 흉골은 steel-wire, 흉골아래 는 5호 silk로 interrupted suture, 흉골외막
(periosteum)은 1-0 chromid catgut, 피하조직은 30- chromic catgut, skin은 3호
silk은 3호 silk로 suture한 후 dressing gauze로 덮고 chest-tube는 Y-gauze로 덮는
다.
(3) 수술 후 간호
- VSD 수술후 bundle of His의 손상으로 heart block나타날 수 있음 -> pacemaker를
부착시켜 심박
동 유지
- 중심정맥압은 8~10cm(sternal angle)가 유지되도록 수액이나 수혈 -> 수술후 첫 24시
간 동안에는
normal saline과
dextrose를 투여
Ⅲ. Critical thinking
Q : 000이 개심술을 하게 되었다고 가정한 후 이에 대해 부모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교육이 되려면?
A : 우선 000의 부모님에게 개심술이 어떤 수술인지에 대해 설명하여, 지금 000은
심실 중격 결손을 앓고 있기 때문에 이를 교정하기 위한 심장 절개 수술을 할 것임
을 알려준다. 이때, 000의 부모님이 수술에 대해 불안과 걱정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심리적 지지를 제공해 주기 위해 이 수술은 000의 선천적 심장 질환을 교정하기
위한 시술이기 때문에 수술 후에는 심장에 무리가 덜 가고 호흡곤란도 완화되며 전 보다 더 건강해 질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 해준다. 그리고 수술 전에 시행하는 검사 에 대해 설명 하여 000의 수술에 대한 절차를 자세히 알려준다. 또한 수술 후 회 복되는 기간은 대략 4~6주가 걸린다는 내용을 알리고 수술 흉터 자국에 대한 걱정이 있다면 추후 건강 회복 시 흉터 치료를 받도록 권장한다. 그리고 000은 현재 다운 증후군을 앓고 있고, 개심술을 시행 하게 되면 면역기능이 쉽게 저하되어 감염위험이 있기 때문에 부모님에게 000과 접촉 시 손 씻기를 철저히 하고 000이 사용하는 물건을 소독하여 감염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한다.
Ⅳ. 용어정리
- 심도자법 : 심장의 해부학적 확인을 위해 시행하는 침습적 방법, 말초혈관을 통해 심장
으로 방사선 불 투과성 카테터를 삽입, 조영제를 투입하여 관찰함
- subcutaneous tissue : 피하조직
- Stryker saw(electric sternotome) : 수술용 전기톱
- sternum : 흉골
- tagging: 표지, 표시하기
- Arterial infusion: 국소동맥내주입
- ascending aorta: 오름대동맥, 상행대동맥
- double purse string suture: 이중 쌈지봉합
- mosquito : 작은지혈집게
- Venous return : 복귀 정맥혈
- cardioplegic solution: 심장정지액
- total cardiopulmonar bypass : 심폐 우회술
- ice saline(cardioplegic solution) : 심장 정지액
- mersilene, ethibond : 수술용 바늘
- hemostat : 지혈집게
- bundle of His : 히스근속
- heartv block: 심장 차단
- pacemaker : 심장박동기
Ⅴ. 참고문헌
김영혜 외(2011).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pp153~165
윤혜상 (2004). 수술실환자간호. 청구문화사. pp 215~217
추천자료
[자폐][자폐증][자폐아][자폐성아동][자폐증아동]자폐(자폐증) 고찰과 자폐아(자폐성아동, 자...
[자폐][자폐증][자폐성아동][자폐아][자폐아동][자폐장애]자폐(자폐증, 자폐성아동, 자폐아)...
아동의 공격성(공격적 행동)의 정의, 아동의 공격성(공격적 행동)의 증가 요인, 아동의 공격...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의 의미,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 놀이...
(가족치료 연구와 임상사례) 이혼한 편모가정의 아동문제 상담 - 편모가정, 가족치료, 개입사...
주의력결핍 (ADHD) 아동 이해와 치료적 접근 방법
[언어발달지체아][언어발달지체아동]언어발달지체아(언어발달지체아동)의 언어발달과정, 감각...
[자폐성 장애(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자폐성 장애(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의 개념, ...
아동복지실천대상의 특성과 개별접근방법 및 놀이치료에 대한 이해와 정리 {아동복지실천대상...
아동상담이론 - 상담과 심리치료의 차이를 이해하고 아동상담과 일반상담의 차이를 통해 아동...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아동의 정신분열증 (Cos: Childhood-Onset Schizo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