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 appendicitis 간호 _ 충수염 간호_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 appendicitis 간호 _ 충수염 간호_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3
Ⅱ.
본 론 -------------------------------------------------------------
3

1. 충수염 Appendicitis -------------------------------------
3


가. 원인 ---------------------------------------------------
3


나. 임상증상 ------------------------------------------------
3


다. 치료 ----------------------------------------------------
4


1) 내과적 관리 --------------------------------------------
4


2) 외과적 관리 -------------------------------------------
4


라. 간호 -----------------------------------------------------
5

Ⅲ.
결 론 ---------------------------------------------------------------
5
Ⅳ.
공통과제 - 영양보조요법 -----------------------------------------
6
Ⅴ.
참 고 문 헌 --------------------------------------------------------
8
Ⅵ.
용 어 정 리 --------------------------------------------------------
8

본문내용

환자의 입까지 끌어당긴다. 끌어 올려 진 가는 철사를 PEG튜브 끝에 단단하게 묶고, 배관 쪽으로 빠져나와있는 봉합사를 잡아당겨 PEG 튜브의 끝이 복벽의 절개 부위를 통하여 복부 바깥으로 나오게 한다. 결국 PEG 튜브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버섯 모양의 카테터 끝과 내부 가로막대만이 위내에 남게 된다. 바깥으로 나온 PEG 튜브가 복벽에 단단히 부착되도록 한다. 그 뒤 바깥쪽으로 나온 PEG 튜브 끝에 접합 장치를 부착한다.
위루술 간호
- 위루관을 통한 음식의 주입은 삽입 당일이나 다음 날 시행한다.
- 음식 주입 전에 관의 위치를 확인해야 하며 매 4시간마다 위 내용물을 흡인하여 산도와 위 잔여물의 양을 측정한다.
※ PEJ(percutaneous endoscopic jejunostomy)일 경우의 간호 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흡인해서는 안된다.
- 잔여물의 양이 100cc 이상일 경우는 1시간 동안 음식을 주지 않는다.
- 관을 통해 음식이나 약물을 투여한 후에는 미지근한 생리식염수나 물 30-60cc로 반드시 관을 씻어 준다.
- 음식물 투여중이나 투여 후 1 시간 동안은 침대 머리를 30° 올린다.
- 음식물 주머니와 튜브는 매 24시간마다 교환하고 음식 주입 후마다 또는 매 6시간 마다 물로 씻어 준다.
- 절개 부위에 많은 양의 혈액 또는 위내용물이 나온다면 즉시 의사에게 알린다.
(위루관을 삽입한 후 48시간 동안은 관주위의 혈액이 섞인 장액의 분비물이 나올 수 있다.)
- 48시간이 지난 후, 관 삽입 주위의 피부를 비누와 물 또는 과산화수소로 닦는다.
- 필요하면 드레싱을 하고 염증 증상이 있을 경우 반드시 알린다.
- 삽입한 관이 잡아당기거나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한다.
3. 총 비경구 영양(Total Patenteral Nutrition; TPN)
총 비경구 영양은 누공이나 염증성 장질환이 있는 환자, 장폐색이 제거 된 후 위장관을 쉬게 하기 위해 사용하며 다음과 같은 환자들에게도 사용한다.
장의 흡수부전과 같은 허약성 질환자
적절한 양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없는 사람
위암이나 암으로 인한 악액질 있는 환자
항암제 투여나 방사선 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
과도한 대사요구가 있는 환자(예: 심한화상이나 과도한 상처 배액)
총 비경구 영양은 대개 고장성 용약을 주입하기 때문에 큰 정맥을 사용한다.
→ 쇄골 위와 쇄골 내 정맥, 팔오금정맥이나 상대정맥으로 삽입된 쇄골 및 카테터를 통해서 주입된다.
<카테터를 삽입하는 동안이나 후에 생길 수 있는 합병증>
① 흉막을 천공시켜서 기흉이나 혈흉을 초래 ②상완 신경얼기나 동맥의 손상
③ 색전증 ④ 쇄골밑 정맥의 혈전증과 감염 ⑤ 고혈장장증, 저혈당증 ⑥전해질의 불균형
Ⅴ. 참 고 문 헌
1.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p.397~398.
2. Review book
3. 이향련 외(200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P360-365
Ⅵ. 용 어 정 리
용어
발음기호

cathartics
[kθ:rtik]
배변의, 변이 통하는, 하제의
abdominal incisional hernia
[b|d:mnl n|sn |h3:rni]
복벽 반흔 헤르니아 : 복부 수술 부위의 복막, 복근의 봉합부전으로 장관이 복강 외로 탈출하는 헤르니아
acetaminophen
[si:tminfn,aest-]
아세트아미노펜 : 진통해열제의 성분명. 항염증 효과는 약하지만 진통 및 해열 효과가 뛰어나 발열이나 통증, 두통, 치통 등을 가라앉히는 데 널리 쓰인다.
IBS(Irritable Bowel Syndrome)
[|rtbl |bal |sndrom]
과민성대장증후군 : 배변장애, 복통, 복부팽만 등의 증상이 있으나 기질적인 병변이 없음이 확인된 예를 총망라한 임상 증후군이다
McBurney
막창자(맹장)와 막창자꼬리가 만나는 기저부의 위치는 배꼽과 오른쪽 위앞엉덩뼈가시(장골돌기, 누웠을 때 가장 높이 튀어나와 있는 우측 골반뼈 부위)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3등분했을 때 바깥에서 1/3 지점이다. 이곳을 맥버니점(McBurney point)이라고 말한다.
Psoas sign
[psːs san]
요근징후
intermittent
[|ntr|mtnt]
간헐적인, 간간이 일어나는
Rovsing's sign
좌하복부를 눌렀을 때 우하복부에 통증을 느끼거나 눌렀다 재빨리 떼었을 때 우하복부에 반발통을 느낌
Appe panperitonitis
충수돌기범복막염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10.17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