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호흡기계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호흡기계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1
Ⅱ.
본 론 --------------------------------------------------------
1

1. 호흡기 구조 -----------------------------------------
1


1) 상부호흡기계 ---------------------------------------------------
1


2) 하부호흡기계 ---------------------------------------------------
2


2. 호흡기 기능 -----------------------------------------
4


1) 호흡생리 --------------------------------------------------------
4


2) 호흡조절 --------------------------------------------------------
7

Ⅲ.
결 론 --------------------------------------------------------
8
Ⅳ.
용 어 정 리 --------------------------------------------------

Ⅴ.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산소와 실제 결합되어 있는 혈색소가 차지하는 비율
- PaO2가 100mmHg일 때
: 동맥혈의 산소포화도는 98% 정도이고 PaO2가 40mmHg일 경우 약 75%.
혈색소의 산소 해리곡선(oxygen-hemoglobin dissociation curve)
- 동맥혈 산소분압과 혈색소의 산소포화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S자형 곡선
→ 혈색소와 산소의 친화성을 나타냄.
- PaO2가 95mmHg일 때 혈색소의 산소포화도는 97%이며 PaO2가 70mmHg로 감소하여 도 산소포화도는 크게 낮아지지 않음.
BUT, PaO2가 20~60mmHg인 급경사부분에서는 산소분압이 낮아지면 산소포화도는 급격 히 저하되고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이 저하.
- PaO2가 60mmHg일 때 산소포화도는 85% 정도로 그 이하가 되면 산소운반장애가 발생
→ 조직으로 산소를 해리하기 위해 유지할 최소 동맥혈 산소분압.
- 곡선 이동
좌측이동
산소와 혈색소의 친화성이 강하여 주어진 산소분압 하에서 많은 혈색소가 산화, 반면 조직으로의 산소유리는 적어짐.
원인: 알칼리증, 체온저하, PaO2의 저하 등.
우측이동
친화성이 낮음을 의미, 주어진 산소분압 하에서 산화포화도는 감소하고 조 직으로의 산소 유리는 증가.
원인: 산증, 체온 상승, PaO2의 상승, 2/3-DPG의 상승 등.
이산화탄소
- 세포 대사에 의해 분당 약 200mL 생산, 세포 대사결과 생성된 CO2는 모세혈관 내로 확 산되고 95%는 혈색소와 결합하고 5% 정도는 혈장에 용해된 상태로 운반.
- 혈장에 녹아있는 CO2는 분압을 형성하여 PaCO2를 측정할 수 있으며 혈액과 세포 간에 확산성 이동을 한 후 적혈구의 혈색소와 결합한 CO2는 허파꽈리로 이동하여 배출 됨.
(5) 산염기 균형
허파에서는 H+의 균형을 유지.
호흡 질환이나 장애가 생기면 호흡성 산증 또는 호흡성 알칼리증 및 H+불균형이 발생. 호흡성 산증
이산화탄소가 축적되어 고탄산혈증(hypercapnia)이 발생
호흡성 알칼리증
이산화탄소 부족으로 발생
2) 호흡 조절
호흡
- 숨뇌(연수, medulla oblongata)와 다리뇌(뇌교, pons)의 호흡중추, 호흡근육운동 및 의식 적으로 호흡을 유도할 수 있는 대뇌겉질(대뇌피질, cerebral cortex)의 작용으로 이루어짐.
(1) 신경성 조절
숨뇌
- 날신경(원심신경, efferent nerve)
: 숨뇌연수호흡중추에서 나오는 신경
: 가로막의 운동을 지배하는 가로막신경과 갈비뼈사이근의 운동을 지배하는 가슴신경.
- 들신경(구심신경, afferent nerve)
: 미주신경에 있으며 주로 허파에서 시작.
: 피부, 비강, 후두 및 복부 내장에서 시작하여 호흡중추에 이르는 것도 있음. [그림 7-10]
다리교
지속흡입중추(apneustic center)
다리교 하부 2/3가 되는 영역. 지속적으로 흡기운동
호흡조정중추(pneumotaxic center)
다리교 상부 1/3이 되는 영역. 지속흡입중추를 억제
기도
- 압력 변화에 반응 하는 뻗침수용기(신장수용기, stretch receptor)가 있어 허파가 팽창 되면 흡기가 차단.
→ Hering-Breuer 반사라고 하고 허파의 과잉 팽창을 예방.
(2) 중추화학수용체
중추화학수용체(central chemoreceptor)
- 숨뇌에 있으며 뇌척수액의 수소 이온의 농도에 민감하게 반응.
- 이산화탄소는 혈액뇌장벽을 잘 통과하여 물과 결합한 후 H2CO3의 형태로 전환되고 이 것은 다시 HCO3-이온과 H+이온으로 해리 됨.
-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변화하면 뇌척수액 속의 수소이온 농도도 변화하여 pH에 영향 줌 →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되면 화학수용체를 자극하여 호흡수가 빨라지고 과다환기 발생
(3) 말초화학수용체
대동맥토리(aortic body)와 목동맥토리(경동맥소체, carotid body)에 있는 말초화학수용체 (peripheral chemoreceptor)는 동맥혈맥의 산소분압이 감소될 때 반응, 호흡중추를 자극.
저산소혈증이 발생하면 말초화학수용체를 자극, 이것은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환기 증가.
대동맥굴(대동맥동, aortic sinus)과 목동맥팽대(경동맥동, carotid sinus)에는 압력수용기 (baroreceptor)가 있어 혈압의 급격한 상승에 반응하며 호흡 중추를 일시적으로 억압하여 호흡을 느리고 얕게 함.
Ⅲ. 결론
우리는 간호학 시나리오에서 000 환아를 간호하기에 앞서 호흡에 대한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000의 증상에는 호흡곤란이 있었는데, 이는 호흡기계의 기능에서 환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환기란 기도를 따라 폐로 드나드는 공기의 흐름인데 000은 염증 때문에 호흡곤란이 있었던 것이다. 현재 000은 낮은 환기관류비기 때문에 관류는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나 환기가 부족한 상태다. 000이 정상적인 가스교환을 하기 위한 필요조건에는 허파꽈리 내의 충분한 산소 농도, 산소와 결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혈색소, 혈애긍ㄹ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허파꽈리 내 산소의 확산 세포에 필요한 충분한 산화 혈색소의 운반능력, 운반된 산소를 사용하는 세포의 능력이 있기 때문에 000의 충분한 기도확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 기도의 저항이 클수록 호흡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기도저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000의 머리를 젖혀주어 기도저항을 최소로 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용어정리
용어

표면활성제
지질단백질로 허파꽈리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고 허파 조직에 탄력을 유지하게 된다. 허파꽈리가 확장될 때의 자극으로 생산된다.
큰 포식세포
세균이나 이물질을 허파꽈리 표면으로부터 포식하여 제거한다. 큰 포식세포는 미생물을 림프관으로 운반하거나 세기관지로 이동시켜 점액섬모청소로 배출한다. 큰포식세포는 감염에 대항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방어 기전의 하나이다.
Ⅴ. 참고문헌
1.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Ⅰ). 경기: 수문사
2.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상). 서울:현문사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10.17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