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공학-세포내 구성물 및 입체구조해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백질 공학-세포내 구성물 및 입체구조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X선 결정구조해석 –단백질의 결정구조-
II. 생물의 신체 대부분은 단백질로 되어있다
III. 지질 – 자기 조직화하는 세포막 분자
IV. 정보전달물질 – 단백질과 결합하는 ligand 분자
VI. 당질 –에너지원 및 이물질을 감지하는 안테나 분자-

본문내용

1. X선 결정구조해석 –단백질의 결정구조-
1)X선에 대해서
1895년 11월 8일은 독일의 과학자 뢴트겐(1845~1923)에 의해 발견. 0.01~수십nm 정도 범위의 파장을 갖는 전자파, 0.1~수Å의 단파장을 경X선, 수Å~500Å정도를 연X선으로 분류.
결정구조해석에는 0.5~3Å정도의 연X선을 이용.

2)단백질 X선 결정구조해석의 역사
섬머(1887~1955) : 1926년에 작두콩의 아세톤 추출액에서 urease의 결정을 얻음
버널(1901~1971) : 펩신 단백질 결정의 X선 회절상을 처음으로 촬영.
페르츠(1914~2002) : X선 회절상 촬영을 통해 헤모글로빈의 입체구조 해명
켄드루(1917~1997) : 파장 6Å의 X선을 이용, 미오글로빈의 결정구조 해명

3)X선 회절
-펩타이드 구성 원자간 거리는 1~2Å
-카보닐 이중결합과 펩타이드 결합의 이중결합은 상호간의 공명구조를 가짐.
-X선은 펩타이드 사슬을 구성하는 각 원자의 전자에 의해 산란.
-원자의 중심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전자의 존재확률이 높아 X선의 산란확률 증가.
-즉. X선이 강하게 산란되는 곳에서 원자의 존재확률도 높다.
-브래그 법칙을 충족시키는 반사선은 간섭효과에 의해 강도가 향상.
-이러한 간섭효과 등에 의해 생겨나는 빛의 파동을 회절이라 함.
  • 가격1,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6.10.25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012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