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이론
3. 설계
4. 실험
5. 결과
2. 이론
3. 설계
4. 실험
5. 결과
본문내용
때 트랜스포머의 , 부하저항 , 으로 한다.
※, 이론 값, 2차 근사
(이 때 이다.)
● 커패시터입력필터의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을 그려본다.
● 오실로스코프를 이용, AC결합한 후 의 파형을 최대 크게 한 후 의 파형을 그린다.
● Ripple전압 및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직류전압을 정확히 계산한다.
※ 정확한 이다.
4. 실험
▶ 실험 #1 브리지 정류회로
● 브리지 정류회로의 직류출력전압의 이론값과 측정값을 구한다.
이론값
2차 근사
DVM
12.2v
17.25v
9.5v
10.98v
10.09v
DSO
12.3v
17.39v
9.4v
<표 1 브리지 정류회로 측정>
● 브리지 정류회로의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을 그려본다.
<그림 7 브리지 정류회로의 입력 파형> <그림 8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 파형>
▶ 실험 #2 커패시터입력필터
● 커패시터입력필터의 직류출력전압의 이론값과 측정값을 구한다.
이론값
2차 근사
DVM
3.02V
4.27V
2.84V
4.27V
2.87V
DSO
3.05V
4.31V
2.89V
<표 2 커패시터입력필터 측정>
● 커패시터입력필터의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을 그려본다.
<그림 9 커패시터입력필터의 입력 파형> <그림 10 커패시터입력필터의 출력 파형>
● 커패시터입력필터의 값 을 구한다.
,
● 오실로스코프를 이용, AC결합한 후 의 파형을 최대 크게 한 후 의 파형을 그린다.
<그림 11 파형 확대>
● Ripple전압 및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직류전압을 정확히 계산한다.
5. 결론
▶ 오실로스코프의 사용 목적 중 하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 하여 회로에 인가된 전압의 위상차와 주파수 등의 다양한 정보를 얻는 데 있다. 이번 실험 에서는 브리지 정류회로와 커패시터 입력필터 회로에 인가 된 전압의 위상차에 대하여 확인 해보았는데,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파형을 측정 하였을 때 브리지회로, 커패시터입력필터 회로의 이론상의 파형과 흡사함을 보인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정류기에 교류전압을 인가 하였을 때 출력전압이 직류로 변화됨을 알았고 특히 커패시터 입력필터에서 정확한 직류출력 전압을 구해 보았는데 그 값이 테스터기로 회로의 출력 전압을 쟀을 때와 흡사한 값이 나왔다. 따라서 커패시터입력필터회로를 사용 시 리플 전압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출력 값의 변동, 파형의 변동이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 이론 값, 2차 근사
(이 때 이다.)
● 커패시터입력필터의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을 그려본다.
● 오실로스코프를 이용, AC결합한 후 의 파형을 최대 크게 한 후 의 파형을 그린다.
● Ripple전압 및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직류전압을 정확히 계산한다.
※ 정확한 이다.
4. 실험
▶ 실험 #1 브리지 정류회로
● 브리지 정류회로의 직류출력전압의 이론값과 측정값을 구한다.
이론값
2차 근사
DVM
12.2v
17.25v
9.5v
10.98v
10.09v
DSO
12.3v
17.39v
9.4v
<표 1 브리지 정류회로 측정>
● 브리지 정류회로의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을 그려본다.
<그림 7 브리지 정류회로의 입력 파형> <그림 8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 파형>
▶ 실험 #2 커패시터입력필터
● 커패시터입력필터의 직류출력전압의 이론값과 측정값을 구한다.
이론값
2차 근사
DVM
3.02V
4.27V
2.84V
4.27V
2.87V
DSO
3.05V
4.31V
2.89V
<표 2 커패시터입력필터 측정>
● 커패시터입력필터의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을 그려본다.
<그림 9 커패시터입력필터의 입력 파형> <그림 10 커패시터입력필터의 출력 파형>
● 커패시터입력필터의 값 을 구한다.
,
● 오실로스코프를 이용, AC결합한 후 의 파형을 최대 크게 한 후 의 파형을 그린다.
<그림 11 파형 확대>
● Ripple전압 및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직류전압을 정확히 계산한다.
5. 결론
▶ 오실로스코프의 사용 목적 중 하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 하여 회로에 인가된 전압의 위상차와 주파수 등의 다양한 정보를 얻는 데 있다. 이번 실험 에서는 브리지 정류회로와 커패시터 입력필터 회로에 인가 된 전압의 위상차에 대하여 확인 해보았는데,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파형을 측정 하였을 때 브리지회로, 커패시터입력필터 회로의 이론상의 파형과 흡사함을 보인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정류기에 교류전압을 인가 하였을 때 출력전압이 직류로 변화됨을 알았고 특히 커패시터 입력필터에서 정확한 직류출력 전압을 구해 보았는데 그 값이 테스터기로 회로의 출력 전압을 쟀을 때와 흡사한 값이 나왔다. 따라서 커패시터입력필터회로를 사용 시 리플 전압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출력 값의 변동, 파형의 변동이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추천자료
건축 의학 전기.전자 광물(돌)의 이용
[전기전자]스티키토 만들기
1교시 <방사선 이론> 전기전자공학
[예비] 전기전자실험 커패시터의 직병렬 연결
[예비] 전기전자실험 인덕터의 직병렬 연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6 결과보고서-공통베이스 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25 결과보고서-A급 공통이미터 전력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3결과보고서-공통이미터 증폭기
[전기전자공학개론] 연산, 비반전, 반전 증폭기
[기초전기전자실험] 다이오드 특성 실험
[전자전기] (결과) 기초 정전기 실험
[전기전자회로] P-SPICE 예제
[기초 전기전자] 전류, 전압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