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지도] 영유아의 놀이 발달(영유아의 놀이 발달에 대해 각 시기마다 특징적으로 일어나는 놀이) - 영아(2세 미만)의 놀이발달, 2세아의 놀이발달, 유아(3-5세)의 놀이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놀이지도] 영유아의 놀이 발달(영유아의 놀이 발달에 대해 각 시기마다 특징적으로 일어나는 놀이) - 영아(2세 미만)의 놀이발달, 2세아의 놀이발달, 유아(3-5세)의 놀이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아(2세 미만)의 놀이 발달
1) 감각운동놀이
2) 사물놀이
3) 상징놀이
4) 사회적 놀이

2. 2세아의 놀이 발달
1) 사물놀이
2) 상징놀이
3) 사회적 놀이

3. 유아(3~5세)의 놀이 발달
1) 사회적 놀이
2) 가상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호적인 놀이가 증가한다는 점이다. 보완적인 놀이는 각 영아가 다른 활동을 하지만 두 역할이 상호 보완되는 활동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호적인 놀이는 차례를 지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2세아의 초기에는 공통의 목적이 있는 활동에 참여하지만, 놀이의 목적과 주제는 영아들 스스로 창안한다. 예를 들어, 두 명의 영아는 트럭을 만들기 위해 블록을 가지고 함께 작업한다.
2세아의 후반기에는 영아들 간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에 중요한 구분이 있다. 예를 들면, 놀이 활동에서 한 영아는 주도자가 되고, 한 영아는 그의 안내를 따르는 역할을 한다. 즉 한 영아는 건물 만드는 것을 지휘하고, 다른 영아는 그의 지휘 하에 블록을 쌓는다.
또한 Parten(1932)이 연구한사회적 놀이 발달에 의하면, 2세아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놀이 형태는 혼자놀이(solitary play)와 방관자적 놀이(onlooker play)라고 하였다. 혼자놀이는 다른 친구들이 주위에 있을지라도 자기 자신의 세계 속에서 전적으로 혼자놀이를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방관자적 놀이는 다른 친구가 놀이하는 것을 쳐다보면서 구경꾼으로 참여하는 것이며, 질문을 하거나 제언을 하기도 하지만 적극적인 참여는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병행놀이(parallel play)도 이 시기에 나타나는데, 각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활동을 하는 것이다. 친구의 존재도 인식하고, 자기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다른 사람의 존재도 인식하지만, 각자는 여전히 따로따로 놀이를 한다.
3. 유아(3~5세)의 놀이 발달
3세에서 5세 사이의 유아들에게 나타나는 놀이 발달의 특징은 사회적 놀이가 증가하며, 가상놀이(상징놀이)가 확장된다는 점이다.
1) 사회적 놀이
Parten(1932)이 연구한 사회적 놀이 발달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병행놀이는 모든 연령의 집단에서 흔하게 관찰된다고 한다. 병행놀이는 사회적으로 덜 성숙한 수준의 혼자놀이와 사회적으로 복잡한 수준의 협동 사이의 전환점에 나타나며, 유아들이 협동을 하도록 끌어낸다.
3세와 4세의 유아들에게는 연합놀이(associative play)가 많이 나타난다. 연합놀이는 각 유아가 별개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병행놀이와 유사하지만, 연합놀이에서는 공유하고 빌려주고 차례를 지키고 친구의 활동에 참여하며 폭넓은 의사소통을 한다.
4세 유아는 높은 수준의 사회적 성숙을 나타내는 협동놀이(cooperative play)를 한다. 협동놀이는 2명 혹은 그 이상의 유아들이 공동의 목표가 있는 놀이에서 참여자가 개별적으로 부여된 역할에 따라 행동하는 놀이다. 예를 들어, 모래놀이에서 도시를 만들자는 공동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한 유아는 길을 만들고, 한 유아는 다리를 만들고, 한 유아는 터널을 파는 것과 같은 것이다.
2) 가상놀이
3세 이후의 가상놀이의 발달 경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상놀이의 한 요소인 탈상황화의 형태는 3세 유아의 경우, 사용하는 대체 장난감은 실제 사물과 거리가 점점 더 멀어져, 어떤 면에서는 유사하지도 않은 사물을 사용한다. 3세 유아는 가상 장난감으로 놀이하는 방식이 실제 그 사물이 사용되는 방식과는 아주 다른 것이 된다. 예를 들어, 공을 빗이라고 가상할 수 있고, 공을 가지고 자기의 머리를 빗는 행동을 한다.
3세에서 6세는 가상놀이의 황금시기라 불린다. 어떤 시기도 그렇게 열심히 환상의 세계에 빠지는 시기는 없기 때문이다. 처음에 일어나는 덜 성숙한 가상놀이의 형태는 혼자하는 가상놀이로서, Parten(1932)이 말하는 혼자놀이 유형과 일치한다. 좀더 발전된 가상놀이는 병행놀이 상태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것인데, 예를 들면 2~3명의 유아들이 겉으로는 같이 놀고 있는 것 같으나 각각 다른 환상 속에 빠져 있는 경우다. 가장 성숙한 가상놀이의 형태는 극놀이나 사회극놀이로 불리는 집단적 가상놀이로서, 여러 명의 유아가 집단 속에서 각자의 역할을 맡아하면서 집단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시기는 자유놀이의 모든 에피소드를 가상놀이에 포함하는 활동이 증가된다. 이러한 증가는 집단적 사회극 놀이가 많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오미경, 이은미 외 저, 놀이지도, 공동체 2016
신혜원, 민성혜 외 저, 보육 교사론, 양서원 2016
이숙재 저, 영유아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4
권혜진, 김경은 외 저, 아이와 교사가 즐거운 놀이지도, 양서원 2016
하정연, 좌승화 외 저, 영유아 놀이지도, 공동체 2015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10.30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2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