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장애개론 용어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사소통장애개론 용어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으며 쉽게 음성피로를 느끼며 심한 경우 후두 및 목 주변에 통증이 온다.
(23) 기능적 무성증: 속삭이는 목소리로 말하는 것이 특징. 기침을 시키면 정상적인 발성을 산출한다. 기능적 무성증은 히스테리 또는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인 요 인에 의해 발생되며 전환성 실성증은 히스테리성 무성증이란 용어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24) 성대낭종(intracordal cyst): 성대 점막 아래에 주머니 모양의 물혹이 생기는
질병.
(25) 변성장애(mutational voice disorder): 소리변환장애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 변성기의 불안정한 상태가 1년 이상 계속되는 것.
(26) 발성장애(dysphonia): 발성의 주체인 성대를 긴장시키는 후두연골 ·후두근·
경근, 진동원이 되는 폐 또는 흉복부의 모든 기관 및 그것들을 지탱해 주는 전 신기관의 장애로 인하여 발성하는 데 받게 되는 여러 가지 장애를 말한다.
(27) 기질성 발성장애: 성대로부터 후두까지의 급·만성 염증으로 인한 성대의
변질에서 오는 것.
(28) 후두염: 다양한 원인으로 식도 기능에 이상이 생기거나 위산 분비가 증가하면 서 위산이 분비가 증가하면서 위산이 식도를 거쳐 상부 식도 괄약근을 통해
기도로 역류하면서 점막에 손상을 일으키는 것.
5) 신경언어장애
(1) 신경언어장애 :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원인으로 신경계가 손상되어 생기는 언어장애
현상
(2) 교차실어증 : 오른손잡이 환자가 우반구 손상으로 인하여 보이는 실어증
(3) 중추성 안면마비 : 안면신경핵 자체의 손상이나 안면신경핵으로부터 피질 사이의 뇌손상 은 병소 부위와의 대측 안면의 아랫부분만이 마비
(4) 실행증 : 숙련된 운동이나 몸짓이 부자연스럽거나 동작이 소실된 상태의 장애
(5) 실어증(aphasia): 대뇌상해나 중풍 등에 의한 뇌의 병변으로 언어표현 빛 언어 이해 장애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와 관련한 운동구어장애, 실행증,실독증, 실서증 등의 기타장애를 동반 할 수 도 있다.
(6) 구어실행증(verbal apraxia): 대뇌 손상으로 인해 구어 산출을 조정하는 피질
프로그램의 방해로 인해서, 구어 관련 근육의 느림, 약증, 불협응 등의 증상 발 생하는 조음 및 구어의 오류가 나타난다.
(7) 운동구어 장애: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입술, 안면 근육, 혀,
후두 및 인두 등의 부위의 약화나 마비가 주요원인이 된다. 이로 조음(발음)의 문 제가 두드러지며 발화시 조음기관의 모든 기관에서 장애가 나타나 구어표현의 문 제가 나타난다.
(8) 브로카 영역(Broca’s area): 언어의 생성 및 제어와 관련 있는 좌반구 하측 전두엽의 일부 영역
(9) 베르니케 영역(Wernicke area): 대뇌 겉질에서 문자를 읽거나 언어를 듣거나 이해하는 영역이다
(10) 전두엽(frontal lobe): 대뇌반구의 일부로 중심구보다 전방에 있는 부분으로
기억력·사고력 등의 고등행동을 관장한다.
(11) 후두엽(occipical lobe): 뇌의 뒤쪽에 위치해 있으며 시각 영역과 인접해 있어
시각 정보를 분석하고 통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12) 자연회복: 특정한 치료없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뇌의 부증이나 뇌압 등이 정 상화되면서 나타나는 회복현상.
(13) 마비성구어장애 : 중추신경계 혹은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해 구어산출과
관련된 근육들을 조절의 실패로 나타나는 구어장애
(14) 브로카 실어증: 브로카 영역이라 불리는 좌반구 하측 전두엽 영역에 손상을 입 어 말을 잘하지 못하고 전치사, 접미사 및 다른 문법적 장치를 이해하지 못하는 언어 장애.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동작 표현은 할 수 있는 표현 실어증을 말한다.
(15) 베르니케 실어증(Wernicke's aphasis): 뇌의 베르니케 영역에 손상이 생겨서 다른 사람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의 말은 유창하지만 무의미한 언어를 생성해내는 실어증
(16) 전도성 실어증(conduction aphasia): 이해력과 표현력이 비교적 양호하지만 상대방의 말을 따라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이는 실어증 유형의 하나이다.
(17) 각회: 측두엽과의 경계에 위치한 두정엽의 한 부위. 좌반구의 이 부위가 손상 되면 전도성 실어증이 발생한다.
(18) 대뇌(cerebrum): 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추신경계의 중추로 운동, 감각,
언어, 기억 및 고등 정신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
(19) 소뇌(cerebellum): 중주신경계의 일부분으로 대뇌의 기능을 보조하여 자발적
운동의 조절과 평형을 유지하는 기관
(20) 실서증(agraphia): 스스로 감정을 글로 쓰는 것. 받아쓰기, 사자 등의 글쓰는
행위가 대뇌의 국한성 병변에 의해서 장애를 받는 것을 말한다.
(21) 실독증(alexia): 실독증은 시각 능력에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쓰여져 있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한다.
(22) 실인증: 대뇌손상으로 인한 인식의 장애. 감각장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감각 자극의 인식에 어려움을 겪는 증상. 주로 중추 신경계 기능장애로 발 병한다.
(23) 신경언어장애선별검사(STAND): 뇌졸중에 기인한 실어증 환자들의 말·언어수행 력을 측정하는 검사.
(24) 외상성 뇌손상: 머리에 충격이 비교적 약하게 가해졌을 때 뇌의 육안적 구조
변화(주로 부종과 출혈 등)은 초래되지 않았으나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동시 다 발적인 신경세포들의 기능이상으로 일시적으로(몇 초에서 몇 분 동안) 뇌 기능(의 식, 인지, 감각, 운동 등)의 감소 혹은 소실된 상태를 의미하는 진단명
(25) 명칭 실어증: 사물이나 대상의 이름을 대지 못하는 언어 장애.
(26) 노인성 치매: 노화로 인해 뇌의 신경세포가 서서히 없어져 뇌조직이 소실되고
뇌가 위축되는 퇴행성 변화가 생겨 정신적인 능력과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점차 사라지게 되는데 것. 심한 건망증과 기억력 장애가 주 증상
(27) 측두엽: 청각 수용 영역인 피질 측면부. 각 뇌반구의 외측, 즉 관자놀이 부근
에 위치하며, 청각 정보가 일차적으로 전달되는 피질 영역이다
  • 가격3,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11.08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2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