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목차
제3장 시민으로서 지녀야 할 의식
제4장 시민으로서 지녀야 할 기능
제5장 시민으로서 지녀야 할 지식
제6장 시민교육의 주체
제7장 시민교육의 방법
제8장 정치 시민교육
제9장 인권 시민교육
제10장 소비자 시민교육
제11장 노동 시민교육
제12장 다문화 시민교육
제13장 미디어 시민교육
제14장 환경 시민교육
제15장 세계 시민교육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제4장 시민으로서 지녀야 할 기능
제5장 시민으로서 지녀야 할 지식
제6장 시민교육의 주체
제7장 시민교육의 방법
제8장 정치 시민교육
제9장 인권 시민교육
제10장 소비자 시민교육
제11장 노동 시민교육
제12장 다문화 시민교육
제13장 미디어 시민교육
제14장 환경 시민교육
제15장 세계 시민교육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3장 시민으로서 지녀야할 의식
1. 인간의 존엄성 존중의식
① 민주주의의 가장 기본적인 가치는 ‘인간의 존엄성’ 존중
② 시공간의 조건 없이 인간의 존엄성은 보장되어야 하고 다른 목적과 수단으로 이용되어서는 안됨
③ 자유는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데 있어서 꼭 필요한 조건
④ 인간은 성, 인종, 신분, 종교, 지위 등으로 인해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되는 평등한 존재
2. 공정성과 정의에 대한 의식
(1) 공정성(fairness)
옳은 것과 그른 것, 좋은 것과 나쁜 것,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 등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서 합리적 ․ 객관적 ․ 중립적인 입장에서 정확하게 분별해 내는 것
(2) 정의로운 분배와 공정한 절차에 대한 의식
① 현대 사회의 정의란 분배적 정의를 가리키며 모든 사람에게 각자가 받아야 할 마땅한 몫을 주는 것
② 정의로운 사회는 모든 시민이 자신의 응분의 몫을 누리는 사회
③ 롤즈(Rawls) 순수한 절차적 정의: 결과 자체가 아니라 과정의 공정성
(3) 부정의에 대한 감각
① 정당한 기대가 충족되지 못한 상황에 대한 감수성
② 자신과 타인의 권리가 침해당하는 것에 대한 감각 ․ 분노
③ 타인이 피해를 당했을 경우에 대한 부 정의감: 바람직한 시민의식
④ 부정의감의 유형: 나와 관련된 부정의한 상황에 대한 부정의감, 나와 관련 없는 타인과 관련된 부정의한 상황에 대한 부정의감
3. 준법의식
① 법치주의 원리: 모든 국가권력은 국민의 의사를 대표하는 의회에서 만든 법률에 따라 행사되어야 한다는 것
② 적법한 절차에 따라 시민의 의사를 반영한 법이 만들어지는 것이 법치주의 정신 실현
③ 법은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약속으로 성실히 준수하는 노력을 하여야 함 → 민주주의 실현과 복지수준 함양
- 중략 -
1. 인간의 존엄성 존중의식
① 민주주의의 가장 기본적인 가치는 ‘인간의 존엄성’ 존중
② 시공간의 조건 없이 인간의 존엄성은 보장되어야 하고 다른 목적과 수단으로 이용되어서는 안됨
③ 자유는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데 있어서 꼭 필요한 조건
④ 인간은 성, 인종, 신분, 종교, 지위 등으로 인해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되는 평등한 존재
2. 공정성과 정의에 대한 의식
(1) 공정성(fairness)
옳은 것과 그른 것, 좋은 것과 나쁜 것,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 등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서 합리적 ․ 객관적 ․ 중립적인 입장에서 정확하게 분별해 내는 것
(2) 정의로운 분배와 공정한 절차에 대한 의식
① 현대 사회의 정의란 분배적 정의를 가리키며 모든 사람에게 각자가 받아야 할 마땅한 몫을 주는 것
② 정의로운 사회는 모든 시민이 자신의 응분의 몫을 누리는 사회
③ 롤즈(Rawls) 순수한 절차적 정의: 결과 자체가 아니라 과정의 공정성
(3) 부정의에 대한 감각
① 정당한 기대가 충족되지 못한 상황에 대한 감수성
② 자신과 타인의 권리가 침해당하는 것에 대한 감각 ․ 분노
③ 타인이 피해를 당했을 경우에 대한 부 정의감: 바람직한 시민의식
④ 부정의감의 유형: 나와 관련된 부정의한 상황에 대한 부정의감, 나와 관련 없는 타인과 관련된 부정의한 상황에 대한 부정의감
3. 준법의식
① 법치주의 원리: 모든 국가권력은 국민의 의사를 대표하는 의회에서 만든 법률에 따라 행사되어야 한다는 것
② 적법한 절차에 따라 시민의 의사를 반영한 법이 만들어지는 것이 법치주의 정신 실현
③ 법은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약속으로 성실히 준수하는 노력을 하여야 함 → 민주주의 실현과 복지수준 함양
- 중략 -
추천자료
2010년 2학기 평생교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여성교육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다문화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육기관의 다문화교육프로그램)
2013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학습자유형, 어휘선정방법론)
2014년 2학기 여성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감명깊은 구절, 인용한이유, 성별관련시각)
2014년 2학기 지역사회교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노인교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다문화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편견 세가지)
2016년 1학기 평생교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여성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감명깊은 구절, 인용한이유, 성별관련시각)
2017년 1학기 노인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2020 하류노인이 온다를 읽고 느낀점)
2017년 1학기 평생교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여성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감명 깊은 구절 5개 인용, 인용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