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case study -십이지장궤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 case study -십이지장궤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의심되는 질환명
2. 병태생리
3. 진단검사
4. 간호진단 및 중재

본문내용

있어 수면내시경으로 시행하기도 한다.
조직검사
H.pylori 유무 확인
혈청검사
H.pylori 유무 확인
혈청검사를 통해 H.pylori 균이 있는지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다.
대변잠혈검사
H.pylori 감염시 IgG 항체를 생성헌다
출혈이 있는 경우 출혈이 멈춘 후 15일 까지는 잠혈반응검사가 양성으로 나올 수 있다.
간단하며 비 침습적인 검사로 소화관 출혈 발견을 위한 선별검사로 사용 되고 있다.
위액분석검사
무산증과 Zollinger Ellison 증후군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요소호기검사
H.pylori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위 내에 H.pylori가 있으면 요소를 대사해 다량의 와 암모니아로 분해한다. 이를 이용해 대상자에게 탄소 동위원소 요소를 물과 함께 마시게 하고, 20분 뒤에 풍선을 불게 하여 의 양을 기록한다. 의 양에서 의 양을 추정하여 H.pylori 의 유무를 거의 정확하게 밝혀낸다.
방법: 방사성 carbon(C-13/C-14) 경구투여.
결과: H.pylori는 urea를 대사하여 corbon을 만들고, 이는 폐를 통해 배출, 호흡을 통한 carbon의 양을 측정
간호: 이 검사로 방사성 물질이 체내에 축적되지 않으며 C-13, C-14는 유해하지 않음을 설명
검사
방법
결과
생검 urease 검사
내시경을 통해 조직을 떼어 gel이 담긴 urea에 투여
H.pylori가 만들어내는 urease가 있으면 gel 변색
생검
검체물에 H.pylori가 있는지 현미경으로 관찰
H.pylori가 있으면 감염
ELISA test
H.pylori에 대항하는 IgG여부를 혈액에서 확인
양성일 경우 과거 또는 현재의 감염
요소호흡검사
방사성carbon(C-13/C-14) 경구투여
H.pylori는 urea를 대사하여 carbon을 만들고, 이는 폐를 통해 배출. 호흡을 통한 carbon양 측정
대변 항원 면역검사
대변 검체물에서 H.pylori 확인
급성감염 의미
4. 간호진단 및 중재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은자 이건너꺼에 써놨다♡♡
간호진단
출혈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목표설정
단기목표 : ① v/s 측정 시 정상수치를 기록한다.
② CBC의 분석 결과 정상수치를 기록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가 퇴원하기 전까지 출혈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1. 15분마다 대상자의 v/s을 측정한다.
2. 2시간마다 대상자의 I/O를 check한다.
3. 대상자에게 출혈증상이 있는 지 수시로 관찰한다.
4. 대상자나 보호자에게 합병증 증상을 교육하고 증상유발 시 알리도록 당부한다.
5. CBC검사 후 정상 수치 회복을 위해 IV로 혈액을 주입한다.
6. 심한 출혈 시 의사 처방 하에 약물 주입을 한다.
간호중재
1. 15분마다 대상자의 v/s을 측정했다.(120/80,88,20,36.7)
2. 2시간마다 대상자의 I/O를 check해 무뇨나 핍뇨 등의 이상증상이 없는지 check했다.
3. 대상자에게 출혈증상이 있는 지 수시로 관찰했다.
4. 대상자나 보호자에게 합병증의 증상을 교육하고 그러한 증상유발 시 알려야 함을 당부했다.
5. CBC검사 후에 여전히 수치가 인 경우 정상 수치 회복을 위해 IV로 혈액을 주입했다.
6. 심한 출혈 시 의사와 상의 후 약물()을 주입했다.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약복용(아스피린, NSAIDs) + 음주, 제산제 + 아스피린 복용
간호진단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 건강관리
목표설정
올바른 약물 사용과 생활습관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1. 대상자에게 올바른 투약 방법을 교육한다.(용량, 투여방법, 작용, 부작용 등)
2. 대상자에게 올바른 식이요법을 교육한다.
3. 증상이 완화되더라도 처방된 기간동안 약을 계속 복용해야함을 교육한다.
4. 과도한 음주를 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5. 식사시간에 스트레스를 피하고 식후 편안함을 갖도록 교육한다.
간호중재
1. 음주 시 아스피린과 NSAIDs를 병용해선 안 됨을 교육했다. 제산제와 아스피린을 병용 시 효과가 경감됨을 설명했다.
2. 올바른 식이요법에 우유나 크림이 포함된 음식과 자극적인 음식을 먹지 않도록 교육했다.
3. 처방된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해야하고 그렇지 않으면 생기는 부작용을 설명했다.
4. 과도한 음주로 인해 유발되는 증상 등을 설명하고 금주를 권했다.
5. 식사시간에 스트레스를 피하고 식후 편안함을 갖도록 교육했다.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공복 시나 새벽에 상복부 통증 호소. 속쓰림. 오심. 구토
간호진단
과도한 산분비와 관련된 급성통증
목표설정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통증척도검사를 이용해 대상자의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2. 통증이 극심 할 경우, 의사 처방 하에 제산제(Amphojel)를 사용한다.
3. 의사의 처방 하에 위산분비억제제(Ranitidine)을 투여한다.
4. 통증이 완화되는 자세를 취하도록 교육한다.
5. 올바른 식이요법을 교육한다.
6. 불안 완화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간호중재
1. 통증척도 검사를 이용해 객관적인 통증 정도를 사정했다.
2. 통증이 심할 경우, 의사와의 상의 후 제산제(Amphojel)를 사용해 산의 중화작용을 하여 통증을 경감시켰다.
3. 의사의 처방 하에 위산분비억제제(Ranitidine)을 투여했다.
4. 통증이 완화되는 자세를 찾아 취하도록 교육했다.
5. 올바른 식이요법에 우유나 크림이 포함된 음식물과 자극적인 음식을 먹지 않도록 교육했다.
6. 불안 시 위산을 증가시키므로 불안완화를 하는 것이 중요함을 설명했다.
<출처>
조경숙 외(2014).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http://m.blog.naver.com/toolmex/100146621900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1.do?DS_CODE=b26c5891-7293-4e85-8dba-b0de28c4f37e&main_content_id=disease/duodenal_ulcer.htm&content_id=&cPage=31&DP_CODE=FS2&MENU_ID=005
http://bhan.tistory.com/314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11.29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3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