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연구와 실험연구를 비교 설명하고(차이, 장단점, 실생활의 예 포함) 둘 간의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관연구와 실험연구를 비교 설명하고(차이, 장단점, 실생활의 예 포함) 둘 간의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1. 본론 – 상관연구
2.2. 본론 - 실험 연구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는 것이다. Boring(1954)은 실험 연구에서의 통제라는 개념을 병용법에서 도출해내었다. 우리가 통제를 살펴볼 수 있는 한 가지 방식은 직접 조작의 견지에서인데, 일치차이 병용법에 의하면 그것은 비교에 대한 근거를 이끌어 준다.
실험법에서의 통제는 세 가지 방식으로 고려되는데, 첫 번째로 비교의 목적으로 통제 조건이 있다, 두 번째로 독립변인의 수진이나 값이 생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 상황이 어떤 측면들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통제 될 수 있다. 마지막 경우의 예로서는 실험에 사용하는 도구의 유형이나 측정 방법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유형의 통제 - 비교, 생성, 일정-은 사실상 실험의 정의를 제공한다(Elmes, Kantowitz, Roediger Ⅲ, 1981, 2012 제 9판).
3. 결론
위에서 설명한 두 가지 연구 방법, 상관 연구와 실험 연구의 비교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 연구는 변인 사이의 상관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지만 인과 관계를 밝혀낼 수 없는 반면 실험 연구는 구체적 실험 설계를 통해 변인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주력한다.
둘째, 상관 연구는 주어진 현상을 조작, 통제 하지 않고 자연 조건 그대로의 변인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반면 실험 연구는 효과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핵심 변인 외의 다른 조건들을 최대한 조작 - 비교, 생성, 일정-을 통해 연구한다.
셋째, 상관 연구는 제 3변인의 혼입, 인과 관계의 방향을 알 수 없음 등의 이유로 연구 자체의 내부 타당성을 의심 받는 반면, 논리적 인과 추론 방법을 활용한 실험 연구는 원칙적으로 내부 타당성을 확보한다.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연구 방법을 통해 많은 심리학자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자연과학 연구자들이 각자의 논문을 구성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하나의 이론으로 형성해낸다. 이 과정 속에서 사실로 밝혀진(인정된) 것들을 통해 과학이 발전하고 종국에는 사회와 인류의 발전을 위해 기여한다. 호기심으로 시작한 하나의 연구가 아이디어를 꺼내놓은 연구자의 노력 구체적인 연구 목적 확립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상황에 맞는 연구 방법 적용을 통해 세계의 과학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 심리학 연구방법 제 9판, Elmes, Kantowitz, Roediger Ⅲ, 남종호 역, CENGAGE Learning, 2012.

추천자료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12.08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4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