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학개론_내담자와 상담자의 관계형성을 위한 기초적인 방법을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학개론_내담자와 상담자의 관계형성을 위한 기초적인 방법을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1. 본론 – 정신역동이론(정신분석이론)
2.2. 본론 - 행동주의적 이론
2.3. 본론 - 인본주의적 이론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행하는지 알아보았다. 정신분석학의 경우, 상담의 매우 초기적인 단계로서 상담자의 능력이 중시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내담자는 끈끈한 관계보다는 동맹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문제 해결을 위한 파트너로서의 위치밖에 차지하지 못하였다.
여기에서 더욱 발전된 행동주의적 접근법에서는 내담자의 목표와 행동 변화가 주된 상담의 과정이었기에 상담자는 내담자의 조력자 및 조언자로서 그 위치가 조금은 변경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본주의적 접근법에서는 적극적인 관계형성 기법을 이용하여 내담자의 긍정적 모습을 최대한 끌어내고 그가 가진 모든 잠재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무조건적 긍정, 공감적 이해 역할까지 담당하는 상담자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관계 형성 방법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고도화 되었고 각 학파에서의 차이점 외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화해왔다.
먼저 상담자는 ‘경청’하는 자세로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 선택적으로 주목해야 한다. 이는 곧 모든 말을 다 들을 수 없는 물리적 제한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더 비중에 두어야 할 내담자의 말과 행동을 선택하는 것이다. 내담자는 말과 행동을 경청하는 상담자의 모습을 좋아한다. 경청은 내담자로 하여금 생각이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북돋워 주며, 자신의 방식으로 문제를 탐색하게 한다.
또한 ‘반영’ 단계를 걸쳐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서 표현된 감정, 생각 및 태도를 상담자가 참신한 다른 말로 부연설명 해준다. 이것은 내담자의 자기이해를 도와줄 뿐만 아니라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가 이해받고 있다는 인식을 주게 된다. 내담자의 표면감정 뿐만 아니라 강의 저류처럼 보이지 않는 내면 감정을 정확히 파악하여 내담자에게 전달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수많은 기법들은 결국 상담자의 역량에 의해 그 쓰임새를 인정받는다. 경청과 반영, 동맹관계 형성 등은 모두 말로하면 편하게 이해되지만 막상 진행하기는 쉽지 않다는 사실을 상담자가 아니어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내담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문제 행동을 교정하고 결국에는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을 발전시킬 수 있는 상담자의 자질은 결국 내담자와의 관계 형성 기술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참고문헌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강경미, 대명사, 2011.
상담의 기술 3판, Clara E. Hill, 주은선 역, 학지사, 2012.
상담심리학 5판, 이장호, 이동귀, 박영 Story, 2014.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12.13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4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