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출애굽기 21장 개요
2. 히브리 노예를 향한 하나님의 인권 선언(21:1-11)
3. 사형 (死刑)에 해당하는 범죄(21:12-17)
4. 피해 보상에 관한 법령(21:18-36)
참고문헌
2. 히브리 노예를 향한 하나님의 인권 선언(21:1-11)
3. 사형 (死刑)에 해당하는 범죄(21:12-17)
4. 피해 보상에 관한 법령(21:18-36)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른 뺨을 치면 왼 뺨까지도 돌려대라’(마 5:39)는 원수 사랑의 법으로 승화되었다. 이러한 사랑과 희생, 그리고 용서의 법이 곧 기독교의 근본정신이다.
· 고대근동 지역의 법전과 이스라엘 법
이스라엘의 법은 인간이 만든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진정한 통치자이신 하나님께서 친히 만드신 언약의 법이었다. 20:22-23:33은 이른바 '언약 법전’으로 법규가 지배적이다. 그러면서도 그 법규는 하나님의 축복과 보호가 약속되어 있으며, 이스라엘 백성이 앞으로 가나안에서 정착하게 될 사실을 전제하고 있다. 이 법은 인간의 일상사를 대상으로 하지만 그 궁극적인 지향점은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 유지를 위한 것인 만큼 종교적 색채가 짙은 법이다. 사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있어선 세속적 영역과 종교적 영역이 선명히 구별되지 않는다. 그들에게 인생이란 여호와 맺은 언약을 기반으로 여호와의 요구에 따라 사는 것을 의미했다. 이와 같이 하나님 앞에서 살아간다는 신전(神前)의식 때문에 그들은 새로운 상황에 부딪칠 때마다 율법 정신에 기초한 새로운 판례법이 적용되었는데, 그것은 하나님 앞에서 인간이 진실하려는 최선의 자세였다.
비옥한 반달 문화권에 속한 이스라엘로서는 일찍부터 문물이 발달했었던 그 주변 국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것도 사실이고 언약 법전의 많은 법규 내용들이 인근 앗시리아나 바벨론의 법전과 내용, 형식에 있어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은 삶의 내용(content)이 동일하며 인간의 일상사에서 추구하는 것이 거의 유사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지 구약성경의 법이 함무라비 법전 둥을 차용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함무라비 법전은 이스라엘과 맞지 않는 귀족 계급의 우위롤 전제해 두고 있다. 더욱이 이스라엘은 여호와 신앙에 앞서 법을 국가의 수호 체제로 여기거나 어느 한 개인의 유익을 위해 법불을 제정 적용하는 것올 용납하지 않았다. 이스라엘의 언약 신앙은 왕이라 하더라도 하나님이 주신 율법에 복종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스라엘의 언약 법전과 고대 근동의 법전은 큰 차이를 드러낸바, 이스라엘의 법은 인도적 정신, 윤리성의 강조, 저변에 깔린 여호와 신앙을 기초했다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즉 이스라엘의 법은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것은 세속적 가치 기준에 오염된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 삶의 준거를 항상 하나님의 뜻(법)에 두어야 한다(빌 1:27). 그럴 때만이 참 존재 의미와 가치를 지닐 수 있다. 하나님의 법을 떠난 정의와 법규는 궁극적으로 인간을 해롭게 하며 인간에게 가중한 부담만 제공할 뿐이다.
참고문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자원부 저, 출애굽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5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출애굽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03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
· 고대근동 지역의 법전과 이스라엘 법
이스라엘의 법은 인간이 만든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진정한 통치자이신 하나님께서 친히 만드신 언약의 법이었다. 20:22-23:33은 이른바 '언약 법전’으로 법규가 지배적이다. 그러면서도 그 법규는 하나님의 축복과 보호가 약속되어 있으며, 이스라엘 백성이 앞으로 가나안에서 정착하게 될 사실을 전제하고 있다. 이 법은 인간의 일상사를 대상으로 하지만 그 궁극적인 지향점은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 유지를 위한 것인 만큼 종교적 색채가 짙은 법이다. 사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있어선 세속적 영역과 종교적 영역이 선명히 구별되지 않는다. 그들에게 인생이란 여호와 맺은 언약을 기반으로 여호와의 요구에 따라 사는 것을 의미했다. 이와 같이 하나님 앞에서 살아간다는 신전(神前)의식 때문에 그들은 새로운 상황에 부딪칠 때마다 율법 정신에 기초한 새로운 판례법이 적용되었는데, 그것은 하나님 앞에서 인간이 진실하려는 최선의 자세였다.
비옥한 반달 문화권에 속한 이스라엘로서는 일찍부터 문물이 발달했었던 그 주변 국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것도 사실이고 언약 법전의 많은 법규 내용들이 인근 앗시리아나 바벨론의 법전과 내용, 형식에 있어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은 삶의 내용(content)이 동일하며 인간의 일상사에서 추구하는 것이 거의 유사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지 구약성경의 법이 함무라비 법전 둥을 차용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함무라비 법전은 이스라엘과 맞지 않는 귀족 계급의 우위롤 전제해 두고 있다. 더욱이 이스라엘은 여호와 신앙에 앞서 법을 국가의 수호 체제로 여기거나 어느 한 개인의 유익을 위해 법불을 제정 적용하는 것올 용납하지 않았다. 이스라엘의 언약 신앙은 왕이라 하더라도 하나님이 주신 율법에 복종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스라엘의 언약 법전과 고대 근동의 법전은 큰 차이를 드러낸바, 이스라엘의 법은 인도적 정신, 윤리성의 강조, 저변에 깔린 여호와 신앙을 기초했다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즉 이스라엘의 법은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것은 세속적 가치 기준에 오염된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 삶의 준거를 항상 하나님의 뜻(법)에 두어야 한다(빌 1:27). 그럴 때만이 참 존재 의미와 가치를 지닐 수 있다. 하나님의 법을 떠난 정의와 법규는 궁극적으로 인간을 해롭게 하며 인간에게 가중한 부담만 제공할 뿐이다.
참고문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자원부 저, 출애굽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5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출애굽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03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
추천자료
차일즈 구약신학
왕정시대의 시작과 멸망 -구약신학과의 만남(브루지만)
[신학][신학의 학문이론][신학의 교회론][신학의 규범][신학과 교리][신학과 출애굽기][신학...
역사로본 구약신학 요점 정리 입니다.[정확함]
[구약서론]구약 신학의 역사와 방법에 대하여
[구약신학] 레위기 1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선민 이스라엘의 법도와 사회 ...
[구약신학] 레위기 2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사형에 해당되는 여러 범죄들
[구약신학] 레위기 2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안식년과 희년
[구약신학] 레위기 2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순종의 축복과 불순종의 저주
[구약신학] 레위기 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사장 취임식
[구약신학] 레위기 1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 진단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자의 정결 예식
[구약신학] 레위기 2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종 서원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산모의 정결 규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