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출애굽기 7장 개요
2. 바로 앞에 재차 나선 모세 (7:1-7)
3. 재앙의 전조(7:8-13)
4. 피로 변한 나일강(7:14-25)
참고문헌
2. 바로 앞에 재차 나선 모세 (7:1-7)
3. 재앙의 전조(7:8-13)
4. 피로 변한 나일강(7:14-25)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는 어떠한 의지도 용납지 않으신다. 그런데 이 죽음의 강 사건은 당시에 유일회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더 큰 문제점이 있다. 오늘날 물질을 우상으로 삼은 인간은 황금을 손에 넣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그 결과 공해로 죽어 가는 강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물질을 절대시하는 인간에게 내린 하나님의 저주로 볼 수 있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요구하시는 것은 자연을 정복하고 다스리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사는 것이다(창 1: 28). 그러나 오늘날 인간은 자연을 가꾸기보다는 도리어 파괴하고 있으니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 근동 종교에 있어서 피의 의미
이스라엘 종교에 있어 피는 여호와 하나님께 속한 것으로서 생명을 의미했다(창9:4). 그러기에 이스라엘 종교의 제사의식에 있어 피가 갖는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레 3, 4장). 생명이 피 속에 있다는 이러한 이스라엘의 신앙은 고대 근동 국가에 있어서의 피의 의미와 차이점이 있는데 특히 본장의 나일 강의 재앙과 연결시켜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스라엘의 회생 제사에서 피는 그 안에 있는 속죄의 능력과 생명적 신비의 요소를 연결시켜 죄를 대속하고 새 생명을 얻게 해주는 것인 반면 이방 종교에 있어서의 제물은 속죄에 대한 헌물이라기보다 신의 음식이라는 데 주안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방 종교는 피와 생명과의 관계를 반드시 종교적 상징으로 해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근동 지역에서 피는 죽음과 관계된 공포의식 가운데 하나로 사용되어졌던 바, 피는 지하세계의 신들에게 바쳐지는 제사나, 저주와 죽음의 제사들에서만 사용되었다.
이처럼 피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애굽인들에게 나일 강이 피로 변한 사실은 곧 저주를 의미하며, 자신들의 신이 다른 신에게 패배했음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즉 이를 자신들에게 임할 재앙의 전조로 알았기에 두려워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에게 있어서 이러한 나일강의 변화는 정반대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함께 하신다는 놀라운 증거의 하나였다.
참고문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자원부 저, 출애굽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5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출애굽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03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
· 근동 종교에 있어서 피의 의미
이스라엘 종교에 있어 피는 여호와 하나님께 속한 것으로서 생명을 의미했다(창9:4). 그러기에 이스라엘 종교의 제사의식에 있어 피가 갖는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레 3, 4장). 생명이 피 속에 있다는 이러한 이스라엘의 신앙은 고대 근동 국가에 있어서의 피의 의미와 차이점이 있는데 특히 본장의 나일 강의 재앙과 연결시켜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스라엘의 회생 제사에서 피는 그 안에 있는 속죄의 능력과 생명적 신비의 요소를 연결시켜 죄를 대속하고 새 생명을 얻게 해주는 것인 반면 이방 종교에 있어서의 제물은 속죄에 대한 헌물이라기보다 신의 음식이라는 데 주안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방 종교는 피와 생명과의 관계를 반드시 종교적 상징으로 해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근동 지역에서 피는 죽음과 관계된 공포의식 가운데 하나로 사용되어졌던 바, 피는 지하세계의 신들에게 바쳐지는 제사나, 저주와 죽음의 제사들에서만 사용되었다.
이처럼 피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애굽인들에게 나일 강이 피로 변한 사실은 곧 저주를 의미하며, 자신들의 신이 다른 신에게 패배했음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즉 이를 자신들에게 임할 재앙의 전조로 알았기에 두려워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에게 있어서 이러한 나일강의 변화는 정반대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함께 하신다는 놀라운 증거의 하나였다.
참고문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자원부 저, 출애굽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5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출애굽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03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