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 case study 입니다.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신부전 case study 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문헌고찰 (만성신부전)
3.연구기간 및 방법
4.간호과정
5.결론
6.참고문헌

본문내용

린정(DomprinTab) (항구토제)
용량과 용법
성인 및 청소년(12세 이상, 35kg 이상): 돔페리돈으로서 1회 10mg(레보도파 투여시 5mg)을 1일 3회 식전에 경구투여한다. 1일 최대 복용량은 30mg
적응증
오심, 구토 증상의 완화
부작용
복부압박감, 드물게 속쓰림, 매우 드물게 일과성 장경련
투약시 주의사항
이 약은 주로 간에서 대사되므로 간손상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할 경우에는 주의해야 한다.
필름코팅 정제는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며 유당 불내성, 갈락토오스혈증 혹은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부전이 있는 환자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약의 투여로 의해 간뇌의 내분비기능조절이상, 추체외로증상 등의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 약 투여시에는 유효성과 안전성을 충분히 고려해서 사용한다.
2. 간호과정 적용
주관적 자료
손, 발이 계속 붓는 것 같아요. 아프고 무거워요.
객관적 자료
all extremity pitting edema severe함.
혈액검사
10/17
알부민
2.1
요소질소 Bun
77.81
크레아티닌
12.92
매 시간 BP check.SBP/DBP
10/17
10am
160/100
12pm
170/100
6pm
170/90
Hourly urine output 5~10cc 이하 check됨.
IV line remove한 site로 계속적으로 oozing이 새어 나옴.
간호진단
신장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 위험성
간호목표(장/단기)
장기 목표
단기목표
환자의 혈액검사 상 체액균형이 이루어 질 것이다.
환자의 수분균형이 안정적이 될 것이다.
환자의 혈압이 안정적이게 될 것이다.
환자는 몸의 부종이 가라앉았다고 말 할 것이다.
간호계획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체액과다로 인한 호흡곤란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효율적 호흡과 안위를 증진할 수 있는 Fowler's position을 취한다.
사지 부종이 심하기 때문에 팔, 다리에 베개로 받쳐 올려준다.
간호수행
1시간마다 활력징후 check하여 high BP check될 경우 상체를 올려 혈압이 떨어질 수 있도록 position을 취해 주었다.
체액과다로 인한 호흡곤란이 있지 않은지 자주 확인 하고, fluid 속도가 너무 빨리 들어가지는 않는지 확인하였다.
hourly urine output check하며, total I/O poor할 시 담당 간호사에게 알려 PRN lasix 투여할 수 있도록 했다.
간호평가 및 재조정
사지 부종은 감소되었으나,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았다.
적기에 사용한 injection으로 수분균형은 안정적이었다.
주관적 자료
손등에서 자꾸 물이 새어나와요.
너무 피부가 얇아진 것 같아요. 상처도 잘 나요.
손, 발이 너무 창백해요. 왜 이렇게 차갑죠?
객관적 자료
all extremity pitting edema severe함.
침상난간에 닿아 있을 시 난간 그대로의 눌리는 모습 보임.
IV line remove한 site로 계속적으로 oozing이 새어 나옴.
간호진단
부종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 장애
간호목표(장/단기)
장기 목표
단기목표
욕창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환자의 사지 부종은 감소될 것이다.
상처부위에서 흐르는 체액이 없어질 것이다.
간호계획
사지 부종이 심하기 때문에 팔, 다리에 베개로 받쳐 올려준다.
2시간마다 position change 취해주며 눌리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한다.
피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한다.
피부를 긁어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
간호수행
부종이 특히 심한 사지에 베개로 elevation시켜주어 부종이 빠질 수 있도록 했다.
2시간마다 position change해주며 lateral position시 lower쪽 body가 구겨진 시트와 닿아있지 않는지, body에 깔려 눌리지 않는지 확인하고 자세변경 해주었다.
대, 소변으로 인해 기저귀가 축축하여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건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자주 통풍 시켰다.
손톱을 짧게 깎아 손톱으로 인한 피부손상이 없도록 했다.
끈끈한 테이프는 뗄 때 피부의 벗겨짐이 있을 수 있어, 자극이 되지 않는 실리콘 테이프를 사용하였다.
간호평가 및 재조정
체위변경 시 눌려서 변형되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간지럽다고 피부를 긁어도 피부가 벗겨지거나 긁히진 않았다.
Ⅴ. 결론
환자는 입원 시부터 intubation후 ventilator care를 받아왔고, extubation후 후두부종으로 지속적인 대화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불편감에 대해서는 표현을 잘 하는 편이었다.
본인이 신부전 치료를 위해 식이조절도 하고 약도 잘 복용하던 중이었지만, 입원 전 컨디션이 좋지 않아 식사를 거르고 약을 잘 먹지 못해 이렇게까지 된 것에 대해 후회가 된다고 말씀하기도 했다.
급성 신부전과는 달리 만성 신부전의 경우 지속적으로 안 좋아질 수 밖에 없을뿐더러, 신부전의 진행을 늦출 수 있도록 하는 치료도 병원에서 전문적인 care를 받지 않는 한, 개인이 할 수 있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
이 대상자의 경우에도 고령인 데다가, 대다수의 만성 신부전 환자들이 고령의 노인이거나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환자들이 많아 병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 같다.
병원에서는 환자에 대해 형식적인 F/U 이상으로 지속적인 교육이나 환자의 인식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등을 이용하여 환자들이 의식을 가지고 효과적으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환자들과 대화해보면 생각 이상으로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효과적인 치료를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환자 본인과 가족들의 인식이 가장 중요 하겠지만, 병원에서는 환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들을 마련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나도 환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그들을 교육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을 수 있게 하는 사례연구였던 것 같다.
▶ 참고문헌
전신자 외 (2005), 성인간호학 하 (제 4판), 서울 : 현문사
유해영 (2003), 인체해부학 (개정판), 서울 : 현문사
외 다양한 네이버 블로그 참조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6.12.29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55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