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_고교평준화정책폐지론과유지론에관한각각의근거를제시하고고교평준화정책이교육기회의균등화에기여하였다는주장을비판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사회학_고교평준화정책폐지론과유지론에관한각각의근거를제시하고고교평준화정책이교육기회의균등화에기여하였다는주장을비판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교평준화 정책의 의의?
2. 고교평준화 정책 폐지론(고교평준화 정책의 부정적 측면)
3. 고교평준화 정책 유지론(고교평준화 정책의 긍정적 측면)
4. 고교평준화 정책이 교육 기회의 균등화에 기여였다는 주장에 대한 비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고교평준화 이전에 비해 중학교 학생들의 실력 전반적으로 하락하였다는 분석결과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중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하락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하락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학력저하로 이어졌다고 생각되어진다.
3) 학부모의 관심저해와 우수학생의 타지역 이주 증가
미국, 프랑스, 영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대부분 공립은 거주지역에 따라 학교를 배치 받는 학구제인 반면, 사립학교는 자율적으로 운영이 된다. 이것은 공립학교는 평준화이지만 사립학교는 학생과 학부모가 선택하고 경쟁하여 진학할 수 있도록 하고, 사학경영자들이 본인의 교육이념을 가지고 교육 할 수 있는 학교를 만들도록 학교의 자율성도 인정해주는 부분이라고 보여진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특수목적 고등학교를 운영하여 하고는 있지만 그마저도 평준화에 어긋난다며 폐지를 주장하는 집단이 있다.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학생의 능력을 알고 그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고교평준화로 인한 교육과정의 획일화는 학생들이 다양한 교육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막고 학부모들이 교육에 대한 관심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고, 우수한 학생들의 경우 자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기 위해 타지역으로 이주를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국내 타지역 이주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타국 유학의 형태로도 나타나고 있어, 우수인재들이 국외로 많이 빠져나가는 요인 중 하나가 교육 기회의 균등화에 기여하지 못한 부작용으로 볼 수도 있겠다.
이런 이유들로 확인해 볼 때 현재의 고교평준화정책으로는 교육의 기회는 확대된 것은 맞으나 각 학교의 운영상 자율성을 주고, 학교 내 프로그램을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개발하여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이 개선되어 학생들 본인의 학습능력 수준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선택권을 주게 된다면 그것이 진정한 교육 기회의 균등화에 기여하는 정책이라고 평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5. 참고문헌
▷ 두산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박과(한국학중앙연구원)
▷ 고교평준화제도 : 그 진실과 미신(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인적자원부, 2007)
▷ 평준화 지역과 비평준화 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 관련 변인 분석(장경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 고교 평준화 정책 분석: 춘천시 사례 연구(조동섭. 인문사회교육연구, 1999)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1.13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6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