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Blood transfusion (수혈)
본문내용
를 사용한다.
기관의 규정에 따라 생리 식염수로 혈관 장치를 유지한다.
의사에게 즉시 알린다.
활력징후를 관찰한다.
수액 공급과 배출을 확인한다.
남은 혈액, 백, 필터, 세트, 대상자의 혈액, 소변 샘플을 검사실로 보낸다.
발열성 반응
대상자의 백혈구, 혈소판, 또는 혈장 단백질에 대한 민감성
발열, 오한, 따뜻하고 홍조 띤 피부, 두통, 불안, 근육통
1. 즉시 수혈을 중지한다.
2. 처방대로 해열제를 투여한다.
3. 의사에게 알린다.
4. 생리 식염수 주입으로 정맥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알레르기 반응(경증)
주입된 혈장단백질에 대한 민감성
홍조, 가려움,
두드러기, 천명음
1. 기관의 규정에 따라 수혈을 멈추거나 속도를 늦춘다.
2. 의사에게 알린다.
3. 처방에 따라 약물(항히스타민제)을 투여한다.
알레르기 반응(중증)
항체-항원 반응
호흡곤란, 흉통,
순환 허탈, 심정지
1. 수혈을 중지한다.
2. 생리식염수로 정맥 개방성을 유지한다.
3. 의사에게 알린다.
4.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5. 필요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6. 처방대로 투약과 산소를 투여한다.
순환 과잉부담
너무 빨리 투여
기침, 호흡곤란, 수포음, 팽대된 경정맥, 빈맥, 고혈압
1. 대상자를 똑바로 앉힌다.
2. 수혈을 중지하거나 속도를 늦춘다.
3. 의사에게 알린다.
4. 처방에 따라 이뇨제와 산소를 투여한다.
패혈증
오염된 혈액 투여
고열, 오한, 구토,
설사, 저혈압
1. 수혈을 중지한다.
2. 생리식염수로 정맥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3. 의사에게 알린다.
4. 수액과 항생제를 투여한다.
5.혈액 배양을 위하여 혈액을 채취한다.
6. 남은 혈액과 세트를 검사실로 보낸다.
6) 수혈 시 주의사항
수혈이 처방되면 수혈 시간 직전에 혈액은행에서 혈액을 타옴
혈액의 온도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혈액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병동 냉장고에 혈액을 보관하면 안 됨
혈액은행에서 타온 혈액은 20분 이내에 수혈을 시작하며 30분 이상 실온에 방치하면 세균증식의 위험이 있음
혈액을 냉장고에서 한 번 꺼내면 투여시간을 지켜서 주입하여야 함
병원 규정에 따라 대상자에게 정확한 혈액을 투여해야 함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혈액에 바코드를 부착하도록 하고 있어야함
작은 바늘은 수혈속도를 늦추고 혈액세포를 파괴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혈액은 18~20G바늘로 투여하고 수혈은 Y자 모양의 수혈세트를 이용하거나 3way를 이용하여 수혈세트의 한쪽은 혈액에 연결하고 생리식염수는 다른 쪽에 연결함
생리식염수는 혈액 주입 전에 세트를 준비하여 사용하며 수혈 부작용 발생에 대비한다는 의미, 생리식염수 외에 다른 수액제제는 혈액과 같이 투여해서는 안되는데 이는 혈구세포를 응집하거나 응고하게 하는 원인임
수혈은 시작 후 4시간 이내에 마쳐야 하며, 혈액을 오래 주입할수록 패혈증의 위험은 높아짐
매 4~6unit의 수혈을 한 다음에는 수혈세트를 교환해야 함
7) 주사 및 수혈업무와 안전
혈액매개질환에 노출되는 가장 흔한 경로는 주사바늘 자상
주사바늘 자상은 의료인들이 바늘 뚜껑을 되씌우거나 주사바늘을 잘못 취급하거나 또는 주사 바늘을 대상자의 침상가에 두고 오는 경우에 흔히 발생
간호사들은 혈액매개병원균에 가장 흔히 노출되는 집단
바늘 없는 주사기(needle devices)와 같은 안전한 기구를 사용한다면 주사바늘 자상의 80% 이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주사바늘 자상의 발생빈도를 낮추기 위해 의료인에게 안전한 기구를 사용하도록 함
대상자에게 주사한 다음에 주사기를 빼면 바늘이 주사기 안으로 들어가도록 고안된 안전주사기(safety syringe)는 주사바늘 자상을 예방 하도록 개발됨
사용한 주사바늘이나 기타 뾰족한 기구들은 손상성 폐기물이므로 구멍이 뚫어지지 않고 새지 않는 재질로 만든 지정된 용기에 버리되 용기의 안전선을 넘도록 채워서는 안됨
사용한 바늘이나 주사기는 절대로 재사용하거나 사용한 주사바늘의 뚜껑을 되씌워서도 안됨
주사바늘이나 뾰족한 기구는 지정된 용기 외에 다른 용기에 버려서도 안됨
주사바늘에 뚜껑을 되씌워야 할 때에는 주사바늘 자상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한 바늘 뚜껑을 향해 뚜껑 속으로 바늘을 한속으로 집어넣는 방법(scoop method)을 씀
손상성 폐기물 박스
한 손으로 주사바늘을 뚜껑에 집어 넣기
2.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4),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p. 149~155
양선희 외 (2014),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p. 1060~1067
기관의 규정에 따라 생리 식염수로 혈관 장치를 유지한다.
의사에게 즉시 알린다.
활력징후를 관찰한다.
수액 공급과 배출을 확인한다.
남은 혈액, 백, 필터, 세트, 대상자의 혈액, 소변 샘플을 검사실로 보낸다.
발열성 반응
대상자의 백혈구, 혈소판, 또는 혈장 단백질에 대한 민감성
발열, 오한, 따뜻하고 홍조 띤 피부, 두통, 불안, 근육통
1. 즉시 수혈을 중지한다.
2. 처방대로 해열제를 투여한다.
3. 의사에게 알린다.
4. 생리 식염수 주입으로 정맥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알레르기 반응(경증)
주입된 혈장단백질에 대한 민감성
홍조, 가려움,
두드러기, 천명음
1. 기관의 규정에 따라 수혈을 멈추거나 속도를 늦춘다.
2. 의사에게 알린다.
3. 처방에 따라 약물(항히스타민제)을 투여한다.
알레르기 반응(중증)
항체-항원 반응
호흡곤란, 흉통,
순환 허탈, 심정지
1. 수혈을 중지한다.
2. 생리식염수로 정맥 개방성을 유지한다.
3. 의사에게 알린다.
4.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5. 필요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6. 처방대로 투약과 산소를 투여한다.
순환 과잉부담
너무 빨리 투여
기침, 호흡곤란, 수포음, 팽대된 경정맥, 빈맥, 고혈압
1. 대상자를 똑바로 앉힌다.
2. 수혈을 중지하거나 속도를 늦춘다.
3. 의사에게 알린다.
4. 처방에 따라 이뇨제와 산소를 투여한다.
패혈증
오염된 혈액 투여
고열, 오한, 구토,
설사, 저혈압
1. 수혈을 중지한다.
2. 생리식염수로 정맥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3. 의사에게 알린다.
4. 수액과 항생제를 투여한다.
5.혈액 배양을 위하여 혈액을 채취한다.
6. 남은 혈액과 세트를 검사실로 보낸다.
6) 수혈 시 주의사항
수혈이 처방되면 수혈 시간 직전에 혈액은행에서 혈액을 타옴
혈액의 온도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혈액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병동 냉장고에 혈액을 보관하면 안 됨
혈액은행에서 타온 혈액은 20분 이내에 수혈을 시작하며 30분 이상 실온에 방치하면 세균증식의 위험이 있음
혈액을 냉장고에서 한 번 꺼내면 투여시간을 지켜서 주입하여야 함
병원 규정에 따라 대상자에게 정확한 혈액을 투여해야 함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혈액에 바코드를 부착하도록 하고 있어야함
작은 바늘은 수혈속도를 늦추고 혈액세포를 파괴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혈액은 18~20G바늘로 투여하고 수혈은 Y자 모양의 수혈세트를 이용하거나 3way를 이용하여 수혈세트의 한쪽은 혈액에 연결하고 생리식염수는 다른 쪽에 연결함
생리식염수는 혈액 주입 전에 세트를 준비하여 사용하며 수혈 부작용 발생에 대비한다는 의미, 생리식염수 외에 다른 수액제제는 혈액과 같이 투여해서는 안되는데 이는 혈구세포를 응집하거나 응고하게 하는 원인임
수혈은 시작 후 4시간 이내에 마쳐야 하며, 혈액을 오래 주입할수록 패혈증의 위험은 높아짐
매 4~6unit의 수혈을 한 다음에는 수혈세트를 교환해야 함
7) 주사 및 수혈업무와 안전
혈액매개질환에 노출되는 가장 흔한 경로는 주사바늘 자상
주사바늘 자상은 의료인들이 바늘 뚜껑을 되씌우거나 주사바늘을 잘못 취급하거나 또는 주사 바늘을 대상자의 침상가에 두고 오는 경우에 흔히 발생
간호사들은 혈액매개병원균에 가장 흔히 노출되는 집단
바늘 없는 주사기(needle devices)와 같은 안전한 기구를 사용한다면 주사바늘 자상의 80% 이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주사바늘 자상의 발생빈도를 낮추기 위해 의료인에게 안전한 기구를 사용하도록 함
대상자에게 주사한 다음에 주사기를 빼면 바늘이 주사기 안으로 들어가도록 고안된 안전주사기(safety syringe)는 주사바늘 자상을 예방 하도록 개발됨
사용한 주사바늘이나 기타 뾰족한 기구들은 손상성 폐기물이므로 구멍이 뚫어지지 않고 새지 않는 재질로 만든 지정된 용기에 버리되 용기의 안전선을 넘도록 채워서는 안됨
사용한 바늘이나 주사기는 절대로 재사용하거나 사용한 주사바늘의 뚜껑을 되씌워서도 안됨
주사바늘이나 뾰족한 기구는 지정된 용기 외에 다른 용기에 버려서도 안됨
주사바늘에 뚜껑을 되씌워야 할 때에는 주사바늘 자상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한 바늘 뚜껑을 향해 뚜껑 속으로 바늘을 한속으로 집어넣는 방법(scoop method)을 씀
손상성 폐기물 박스
한 손으로 주사바늘을 뚜껑에 집어 넣기
2.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4),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p. 149~155
양선희 외 (2014),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p. 1060~1067
추천자료
혈액형 판정
수혈의 기본수칙과 수혈의 종류
[동맥경화증][암][AIDS][심장질환][간경화][대상포진][치매]동맥경화증, 암, 후천성면역결핍...
혈액과혈액성분
수혈(혈액성분 주입법)
혈액과 조혈기관장애 요약정리
[수혈][수혈 과정][수혈 부작용][수혈 주의사항][성인 수혈시 간호][아동 수혈시 간호][수혈 ...
수혈
혈액형과 성격의 상관관계
[검사][혈액검사][뇌혈류검사][심전도검사][견관절검사][경두개검사][FTC ISO검사][혈액][뇌...
[감염병, 전염병, 혈액매개감염병, 질병]감염병(전염병)과 혈액매개감염병, 감염병(전염병)과...
[질병, 질환, 혈액질병]질병(질환)과 혈액질병(혈액질환), 혈압질병(혈압질환), 질병(질환)과...
[손해배상]수혈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감염, 부당가압류 손해배상, 징벌적, 주가조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