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치와 사회 기말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정치와 사회 기말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북한의 산림 현황

2. 북한의 산림정책

3. 북한의 산림 복구 방안

본문내용

업이 적합할 듯하며, 어느 정도 수혜적 협력이 마무리되고 호혜적 협력의 기반이 마련이 되었을 때에는 경제림 조성, 생태관광, 탄소조림 등과 같은 대칭적 상호주의를 표방하는 호혜적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지원협력에서 개발협력으로 장기적 역량 강화를 위한 중장기적인 지원, 주로 프로그램 형태의 개발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녹화기구에서는 북한 산림녹화를 준비하기 위해 통일준비원회 주관으로 세 가지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임놈복합경영 중심의 북한 산림녹화계획 연구로, 북한의 산림녹화를 위해 식량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임농복합경영 방식을 제안하고 시범단지 조성의 필요성 및 남북산림분야의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는 임농복합단지 배후 농촌지역 개별협력 방안을 개발하기 위해 2000년대 수행한 대북 농업지원사업의 지속가능성과 적정협력 차원에서 재평가하고 이를 통해 북한 임농업복합단지 부변 상황에 적합한 농업협력사업을 개발하고 정책방안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UN기후변화 대응 매커니즘을 활용한 남북 경헙 방안 연구로, 기후변화협약에서 논의되고 있는 UN REDD+(Reducing Emission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메커니즘을 활용한 북한지역 산림황폐화 방지와 산림복원의 남북경협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북한의 산림복구를 위한 국제적 지원은 UN과 일부 선진국에 의해 북한 황폐산림 복구 및 조림 사업이 미미하게나마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북한의 산림황폐화를 걱정하는 민간단체들이 많아져 북한의 산림 복구사업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통일에 대비하여 북한의 산림복구는 장래 통일 조국의 산림부국을 준비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사업인 동시에 우리나라의 대북협력사업의 하나로 적극 추진되어야 하므로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함께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박경석(2013). 북한의 산림현황 및 산림정책. 제15권 제3호 KREI 북한농업동향.
윤여창, 박동균, 홍성각(1999). 산림부문 남북한 협력 과제 추진 전략. 북한연구학회보 제3권 제2호.
\'북한 산림 황폐화로 동·식물 61종 멸종 위기…남북 산림면적 역전\" http://www.voakorea.com/a/3290725.html
국립산림과학원, 원격탐사를 통한 북한 산림정보 구축http://blog.daum.net/kfri9612/326
  • 가격6,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1.21
  • 저작시기201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6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