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병동)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과병동)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본문내용

액을 줄일 수 있다.
간호수행
활력징후를 하루에 4번 측정하였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부종유발요인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수분과 염분 제한에 대해 교육하였다.
대상자가 반좌위을 취하게 침상머리를 올려주었다.
간호평가
부종유발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수분과 염분제한에 대한 교육을 이해하였다.
호흡곤란이 사라진다.
간호진단
수술 후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S : 이거 너무 신경 쓰여서 불편하다. 자꾸 손이 간다.
O : 5/4~5/12 Rt. jugular HD cath insertion 시행
5/12 AVF formation 및 perm cath insertion
hemodialysis(월,수,금) 시행
카테터 손으로 자꾸 만지는 모습을 보임
WBC 3.90
간호목표
- 단기 : 대상자의 지식정도를 파악한다.
- 장기 : .
간호계획
① v/s을 규칙적으로 측정한다.
② 간호 전, 후에 손을 씻는다.
③ 국소감염의 증상/징후를 파악하기 위해 catheter 부위를 사정한다.
④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⑤ 충분한 영양 및 수분 섭취 할 것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① 감염을 예고하는 고체온 관찰
② 손위생은 감염 예방의 가장 쉬운 방법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사항이므로 간호 전, 후 대상자의 접촉 전 후에는 알콜겔을 이용하거나 손을 씻도록 한다.
③감염을 예고하는 시술부위의 발적, 열감, 통증, 화농성배액물 등을 관찰하기 위함이다. 또한 catheter부위를 관찰함으로써 봉합부위의 호전정도를 파악한다. 또한 급성 감염이나 염증의 위험성을 사정한다.
④ 항생제를 투여함으로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⑤충분하고 적절한 영양 섭취를 통해 상처와 봉합부위의 치유를 증진시킨다.
또한 적절한 단백질-칼로리 섭취는 감염에 대한 숙주의 저항력을 높이고 화학요법에 대한 신체 방어 능력을 증진시킨다.
간호수행
① 4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② 대상자와 접촉 전, 후 간호 전, 후에 알콜겔을 이용하여 손 소독하였고, 모든 수행의 시작 전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 감염을 예방한다.
③ catheter 부위의 드레싱 시 감염의 증상이나 징후를 사정한다.
④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충분한 영양 및 수분 섭취 할 것을 교육한다.
간호평가
접촉 전후 알콜겔을 이용하여 손 소독을 시행 또는 비누로 손을 씻었다. 카테터 삽입 부위의 oozing이나 삼출물, 발적 등이 나타나지 않음
충분한 영양 섭취에 대한 교육을 시행 후 시행한다.
<교육계획안>
교육적 요구
대상자 측면: "both arm save" 의미와 "AVF" 수술 후에 대한 적절한 간호법을 알지 못하고 있음.
교육적 측면: "both arm save" 의미와 "AVF" 수술 후의 간호법을 알려주어 증상 악화를 예방하고 대상자와 의료자 모두 치료에만 전념할 수 있다.
교육일자
2016년 5월 13일 9시 00분
교육환경
0932호실, 이 X X 님의 병실
학습주제
"both arm save" 의미와 "AVF" 수술 후에 대한 적절한 대처법
학습목표
정보제공을 통해 환자 및 보호자가 스스로 적절한 간호법을 수행 할 줄 안다.
학습내용
교육매체
1. "both arm save" 의미
먼저 이 알림판은 크게 3가지의 경우에 쓸 수 있다.
첫 번째, AVF 수술을 받고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두 번째, 조만간에 AVF 수술을 받을 환자
세 번째, 신장 기능의 부전으로 언제든지 AVF 수술을 할 수도 있는 환자.
이렇게 세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지금 현재 강XX 님은 첫 번째 경우에 해당하시고 앞으로 혹시라도 다른 의료인이나 어떤 누군가가 해당 팔에 압력을 가하거나 처치를 하려고 한다면 “나는 AVF 수술을 해서 오른 쪽 팔에는 아무런 처치를 받을 수 없다”라고 말씀 하셔야 합니다. 본인 또한 해당 팔으로는 무리한 일을 하는 것을 삼가셔야 합니다. 그리고 특히 본원 같은 경우는 실습생들이 굉장히 자주 오기 때문에 특히나 강XX님은 말하는데 있어 조금 제약이 되므로 옆에 계신 보호자분이 꼭 한번 더 주의를 주시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그전에 담당 간호사는 필히 학생 간호사들에게 주의해야 할 환자의 정보들을 꼭 당부 해야 할 것입니다.
2. AVF 수술 후 간호방법
1) 수술 후 관리
(1) Thrill, Pulsation, Bruit check
(2) BR with op site arm elevation (수술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유지) -> 베개 제공
(3) 수술직후부터 채혈, 정맥주사는 물론 압박 금지
(ex : BP check, compression, lateral position on affected site)
(4) 부종과 통증 관찰
① 과도한 통증, 수술부위 차가움, 저림 증상 등
② 이를 경감시키기 위해 2-3일정도 베개 및 탄력붕대로 지지
PRN) AAP 650mg 1T P.O
(5) 운동 : 혈관확장과 탄력강화를 위해 실시
① 일반적으로 수술 후 24시간에 시작, 늦어도 4~5일에는 실시
② 한 번 할 때 20회씩 하루 5회 이상 반복
(6) 소독은 24시간 경과 후 실시
(7) PRN) antiplatelet agent start
① AV fistula : aspirin
② AV graft : dipyridamole, aspirin
2) 장기적 관리
(1) 상처부위 부기가 심한 경우 : EB를 느슨하게 감아둠
(2) 수술 후 1~2일부터 공운동 시작(AVG는 공운동 필요 없음)
① 팔운동은 HD 시작 전까지 혈관 확장과 탄력강화를 위해 실시
② 5∼10초 정도 공을 쥐었다 펴는 운동을 반복
③ 가능한 손가락 자주 움직이기
④ 퇴원 후에도 지속적으로 시행
⑤ 효과 높이기 위해 팔 운동 시 수술 부위 제외한 윗부분에 더 운 물수건으로 찜질 가능
⑥ 팔 운동 시에는 통증이 없는 것이 정상이며 만약 통증이 있다 면 운동시간을 줄이고 그래도 계속되면 의사에게 알리도록 함
(3) thrill & bruit 약해지거나 소실 될 경우 외과의사에게 의뢰하거 나 Doppler or ultrasonography를 위해 방사선과에 의뢰한다.
(4) 2~3주후에 S/O
인터넷 자료
(인쇄물)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7.01.23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7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