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 분만실 NSVD case study(A+받은 자료)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 분만실 NSVD case study(A+받은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린투여
activated PTT
22 ~ 41sec
31.7
- 헤파린`와파린 투여(정상/다소지연), DIC, 혈우병, 무섬유소원혈증
Bleeding Time
1~5 mm
혈액 응고 검사는 이러한 출혈 질환에 대한 선별 검사로, 특히 혈소판과 응고인자 중 어느 것에 양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선별하는 검사.
-> 05.23 분만 실시
F. 투약하고 있는 약물약품명
투약방법
약물의 작용(효과)
약물의 부작용
금기증
N-Saline 100ml
IV,
100ml
정주용&멸균용제
효능/효과
1.수분결핍시,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
(나트륩결핍)
2.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급속 투여:
대사성 산혈증
중외 5% DW 1000ml
IV
1000ml
탈수증, 수술전ㆍ후
등의 수분ㆍ전해질
보급
에너지 보급
대량ㆍ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산증, 수중독
주입정맥에서 혈전증
수분과다상태 환자
저장성 탈수증 환자
저칼륨혈증 환자
Hartman Solution
IV
1000ml
순환 혈액량 및 조직간액 감소시에 의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 산증의 보정
대량 or 급속투여에 의한 뇌부종,폐부종말초부종
젖산혈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고나트륨혈증 환자
신질환에서 기인한
신부전 환자
심부전 환자
고장성 탈수증 환자
oxytocin
주 10IU/ml
IV
자궁수축의 유발,
촉진 및 자궁출혈의 치료
쇼크, 자궁의 과도한 진통, 자궁파열, 경관열상
태아가사, 부정맥, 구역,구토
분만유도, 진통미약의 치료 목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제제를 투여중인 환자,
CPD, 전전치태반, 과도하게 강한 진통, 자궁절박파열 또는 태아 가사의 경우
상위태반조기박리 상태의 환자
ERUVIN INJ 0.2mg
(methylergometrine maleate)
IV
태반만출 후, 분만 후, 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자궁퇴축부전
-소화기계
: 구역, 구토, 복통, 설사
-순환기계
: 혈압상승, 혈압저하,
흉통, 빈맥, 서맥, 심계항진, 두통, 졸음, 어지러움, 드물게 발진이나 쇼크
임부, 분만중인 산모,
자간환자, 고혈압이나 임신중독증, 아두만출전,
중증 허혈성 심질환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폐색성 혈관질환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케로라
INJ
30mg/ml
IV
중등도 및 중증의 급성통증에 대한 단기요법
구역, 소화불량, 위장관 통증, 설사, 구토, 구내염, 때때로 부종,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고혈압, 심계항진
소화성궤양 또는 위장관 궤양/천공의 병력이 있는 환자, 위장관 출혈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출혈소인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1%주
(10mg/ml)
IV
1.[마취]경막외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표면마취
2.[내과적 사용]
심실성 부정맥
1) 쇽 : 쇽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혈압저하, 안면창백, 맥박이상, 호흡억제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중지 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악성고열(표면마취는 제외) : 원인 불명의 빈맥부정맥
1)(경막외마취)중독한 출혈 또는 쇽 상태의 환자
2)(경막외마취)주사부위 또는 그 주위에 염증 환자
3)(경막외마취)패혈증 환자
G. 기타 특수진단 검사
검사일 / 검사명
검사목적 및 방법
결과
<2016.05.18>
EKG
검사목적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얻기 위해 흉부벽에 전극을 위치시키는 비침습적인 검사방법
동성빈맥
<2016.05.10>
chest PA
검사목적
폐암,폐결핵,폐렴,기관지염,늑막염,기흉,심장병 등 흉부의 이상소견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검사방법
필요한 부위만을 X선을 통과시켜 촬영한다. 흉부의 경우 사진이 움직이지 않아야 하므로 숨을 참도록 한다.
이상 소견 없음.
<2016.05.10>
GBS
Group B streptococcal infection의 검사
2002년부터 미국산부인과학회에서 산전에서
검사를 권하는 항목이다.
35-37주사이의 모든 산모에게 질과 항문에서 채취하여 균 검사를 하게 된다.이 균이 신생아감염을 일으키게 되고, 신생아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No Group B streptococci
isolated.
<2016.05.18>
산모 초음파
검사목적:
초음파상에 나타난 정지된 상은 산부인과 진단에 유용하며, 움직이는 상은 태아의 심장과 신체의 움직임 같은 생존에 직접 관계가 있는 자료와 직접적인 양막천자나 질출혈의 원인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
37+4 wks, PO ,UX
BPD 9.5cm(38+4wks)
FL 6.7cm(37+5wks)
EBW 3100gm(37+3wks)
AFI : WNL
NST : reative
Non Stress Test(NST)
태동에 대한 태아심박수 변화를 통해 태아의 건강상태를 평가. (30~40분 소요)
태아 외부전자모니터기는 임부의 복부에, 자궁수축 변환기는 자궁저부에 부착.
반응 : 태아심음이 기준선보다 15박동이상, 15초 이상 지속 -> 20분 동안 2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
무반응 : 태아 건강문제를 의미하며, 20분 동안 태아심음이 기준선보다 15회이상 상승하지 않거나, 15초 이상 지속되지 않을 때.
태아 심박동 사정
NST를 사용하여 파악한다.
주기적 변화 : 자궁수축과 함께 FHT 변화 나타남
조기감퇴 : FHT는 자궁수축과 함께 시작해 수축이 끝나면 기본선으로 돌아옴
후기감퇴 : 자궁수축 시간보다 늦게 FHT 감소하여 수축 최정점 보다 늦게 FHT 최하점이 나타남
조기기형아
선발검사3
검사 방법
태아 목둘레 검사란 태아 목 뒷부분의 피부 아래 투명대의 두께를 측정하는 검사로 임신 11~13주 6일 사이에 초음파를 통해 측정
검사목적
다운증후군의 위험도를 측정하는 검사
@NT 1.20mm
H.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 실습지침서/춘해보건대 간호학과
이영숙외 /여성건강간호학 1 /현문사
유해영(2014), 여성건강간호학 1권, 현문사
송경애 저 /기본간호학 (상) /수문사
정문숙 외 4인(1999), 여성건강간호학, 정담미디어
대한의학회 (http://www.kams.or.kr/)
www.health.kr (의약품 정보)
google 이미지
  • 가격2,3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7.02.02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7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