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연구계기--------------------------------------------------
Ⅱ본론
문헌고찰
‘귀’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만성중이염 정의,원인,분류------------------------------------
만성중이염 진단적 검사--------------------------------------
만성중이염 증상--------------------------------------------
만성중이염 치료--------------------------------------------
만성중이염 간호중재-----------------------------------------
만성중이염 합병증-------------------------------------------
만성중이염 퇴원후 간호---------------------------------------
간호사례
간호력----------------------------------------------------
간호사정--------------------------------------------------
신체사정--------------------------------------------------
진단적검사-------------------------------------------------
처방된 약물------------------------------------------------
간호과정--------------------------------------------------
Ⅲ결론
실습소감 및 개선사항----------------------------------------
Ⅳ문헌고찰
--------------------------------------------------------
연구계기--------------------------------------------------
Ⅱ본론
문헌고찰
‘귀’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만성중이염 정의,원인,분류------------------------------------
만성중이염 진단적 검사--------------------------------------
만성중이염 증상--------------------------------------------
만성중이염 치료--------------------------------------------
만성중이염 간호중재-----------------------------------------
만성중이염 합병증-------------------------------------------
만성중이염 퇴원후 간호---------------------------------------
간호사례
간호력----------------------------------------------------
간호사정--------------------------------------------------
신체사정--------------------------------------------------
진단적검사-------------------------------------------------
처방된 약물------------------------------------------------
간호과정--------------------------------------------------
Ⅲ결론
실습소감 및 개선사항----------------------------------------
Ⅳ문헌고찰
--------------------------------------------------------
본문내용
요. 진통제 좀 주세요” 라고함
객관적 자료
-NRS 10점 중 5점 checked.
-통증의 괴로움으로 눈물 보임
간호진단
수술 후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및
기대결과
- 대상자는 통증이 많이 완화 되었다고 말한다.
- 통증 정도 사정 점수가 0점으로 감소된다.
- 대상자는 통증조절 방법을 습득한다.
- 통증으로 인한 눈물을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 수술로 인한 통증이기에 먼저 수술 부위 통증완화를 위해 통증양상, 통증주기,통증정도 사정하여 dr.notify후 처방된 진통제를 5분 내로 투여한 뒤 30분내로 통증을 호전 시킨다.
간호중재
[진단적]
1. 3~4시간 마다 통증수준(통증 부위, 심도, 양상)
을 사정한다.
2. 2시간마다 V/S을 사정한다.
[교육적]
1. 대상자에게 통증의 원인과 통증조절 방법을 설명한다.
2. 보호자가 대상자 곁에서 지지하도록 교육한다.
3. 수술 부위를 위로 하여 눕도록 교육한다.
[치료적]
1. 처방된 진통제 투여
이론적
근거
[진단적]
1. 통증정도 5점으로 통증관리 필요하다.
2. 대상자의 통증에 따른 신체변화사정을 알 수 다.
[교육적]
1. 대상자가 통증의 원인을 알고 스스로 그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2. 대상자 혼자보다는 보호자가 같이 있으로써 정서가 안정되어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
3. 적절한 체위를 적용함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킨다.
[치료적]
1.진통제를 투여함으로서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통증이 많이 완화 되었다고 표현하였다.
- 통증 정도 사정 점수가 0점이다.
- 대상자는 통증조절 방법을 습득하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
#2. 수술 부위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대상자가 “소독한 수술 부위가 끈적 끈적 해요” 라고 함
-대상자가 “ 추워요” 라고 함
객관적 자료
-소독한 수술 부위의 oozing 관찰됨
-수술 전 채혈한 WBC 수치 6.46 10^3/ul 가 금일 9.56 10^3/ul checked.
-BT 37.6 도 checked.
간호진단
수술 부위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및
기대결과
-대상자는 정상 범위의 체온을 유지한다.
-백혈구 수치가 정상 범위이다.
-수술부위가 깨끗하고 분홍색이며, 농성 배액물이 없다.
간호계획
-해열제 투여, tepid massage를 시행하여 1시간 내로 정상 체온을 유지하도록 하고 수술 부위 소독하여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대상자 스스로도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
간호중재
[진단적]
1.체온을 4시간 간격으로 모니터 하고 이를 기록하며, 상승 시 즉시 보고한다.
2.백혈구 수치를 모니터하고 하강 혹은 상승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교육적]
1.보호자에게 tepid massage 교육함.
2.수분 섭취 교육함.
[치료적]
1.해열제 투여.
2.수술 부위 재소독함.
이론적
근거
[진단적]
1.감염시 체온상승이 나타남.
2.감염시 백혈구 수치 상승함.
[교육적]
1.수분이 증발하면서 열을 내려준다.
2.열은 인체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수분섭취가 필요하다.
[치료적]
1.해열제는 고열은 완화시킨다.
2.소독으로 인해 수술 부위 감염의 위험성을 줄인다.
간호평가
-열 36.8도 check 되었다.
-수술 부위 oozing sx 없음.
-백혈구 수치가 6.21 10^3/ul 로 감소되었다.
#3.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대상자가 “머리를 감았어요. 괜찮죠?”라고 함.
-대상자가 “수술 부위에 한 붕대가 너무 불편해서 풀고 싶어요”라고 함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수술 부위 붕대가 젖어있음.
-대상자의 수술 부위 붕대가 풀려있음.
# 간호진단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간호목표
및
기대결과
- 대상자가 수술 후 수술 부위 관리에 대해 필요성을 알수 있다.
- 대상자가 수술 부위 이상증상 시 바로 간호사에게 알릴 수 있다.
- 수술 부위가 청결하게 유지된다.
간호계획
- 대상자와 가족에게 수술 부위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설명 들은 뒤부터 올바른 수술 부위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간호중재
[진단적]
1.4시간 마다 OP site 부위 oozing,pus sx 없는지 확인한다.
[교육적]
1.OP site 부위에 물이 닿지 않도록한다.
2.OP site 부위 이상 증상시 간호사에게 바로 알리도록 한다.
3.대상자와 상호작용시 차분하고 지지적이며 신뢰감 있는 태도를 유지한다.
[치료적]
1.필요시 항생제 연고를 도포한다.
이론적
근거
[진단적]
1. OP site oozing,pus 등의 이상증상시 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교육적]
1.OP stie 부위에 물이 닿으면 감염될 위험성이 높다.
2.대상자 OP stie 부위에 신경쓸 수 있다.
3.대상자에게 신뢰감 있는 태도를 유지함으로써 제공되고 있는 정보의 신뢰도를 높인다.
[치료적]
1.항생제 연고는 이차감염을 예방할수 있다.
간호평가
- 수술 부위 감염예방을 위해 스스로 관리 할 수 있다.
- 수술 부위 청결하게 유지가 잘 되고 있다.
Ⅲ. 결 론
실습소감 및 개선사항
신경과 안과에서만 일했었던 내가 생소한 질환인 만성 중이염 환자에 대한 치료와 간호에 대 해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내과질환만 보다가 외과질환에 대해 치료와 간호를 하다 보니 긴장되고 살짝 무섭기도 하였 지만 수술 전 후 나의 간호중재에 대해 호전을 보이고 자신의 질환에 대해 지식을 쌓아가는 대 상자를 보니 뿌듯 하고 이 질환에 대해 자신감도 생겼다.
수술 후 대상자 교육의 중요성을 간과하여 수술 부위의 감염 위험성이 있었는데 앞으로는 수술 후 처치에 대해서도 미리 대상자에게 교육하여 대상자가 입원 후 부터 퇴원까지 최상의 컨디션 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신경 쓸 것이다.
이번 사례를 통해 많은 지식을 얻었으며 이 지식이 앞으로 대상자와 나와의 관계에 신뢰도를 높여 줄 것 이며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기를 바란다.
Ⅳ. 참 고 문 헌
1. (2005)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 (2006) 박상연 외. 성인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 정담미디어.
3. (2010)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객관적 자료
-NRS 10점 중 5점 checked.
-통증의 괴로움으로 눈물 보임
간호진단
수술 후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및
기대결과
- 대상자는 통증이 많이 완화 되었다고 말한다.
- 통증 정도 사정 점수가 0점으로 감소된다.
- 대상자는 통증조절 방법을 습득한다.
- 통증으로 인한 눈물을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 수술로 인한 통증이기에 먼저 수술 부위 통증완화를 위해 통증양상, 통증주기,통증정도 사정하여 dr.notify후 처방된 진통제를 5분 내로 투여한 뒤 30분내로 통증을 호전 시킨다.
간호중재
[진단적]
1. 3~4시간 마다 통증수준(통증 부위, 심도, 양상)
을 사정한다.
2. 2시간마다 V/S을 사정한다.
[교육적]
1. 대상자에게 통증의 원인과 통증조절 방법을 설명한다.
2. 보호자가 대상자 곁에서 지지하도록 교육한다.
3. 수술 부위를 위로 하여 눕도록 교육한다.
[치료적]
1. 처방된 진통제 투여
이론적
근거
[진단적]
1. 통증정도 5점으로 통증관리 필요하다.
2. 대상자의 통증에 따른 신체변화사정을 알 수 다.
[교육적]
1. 대상자가 통증의 원인을 알고 스스로 그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2. 대상자 혼자보다는 보호자가 같이 있으로써 정서가 안정되어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
3. 적절한 체위를 적용함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킨다.
[치료적]
1.진통제를 투여함으로서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통증이 많이 완화 되었다고 표현하였다.
- 통증 정도 사정 점수가 0점이다.
- 대상자는 통증조절 방법을 습득하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
#2. 수술 부위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대상자가 “소독한 수술 부위가 끈적 끈적 해요” 라고 함
-대상자가 “ 추워요” 라고 함
객관적 자료
-소독한 수술 부위의 oozing 관찰됨
-수술 전 채혈한 WBC 수치 6.46 10^3/ul 가 금일 9.56 10^3/ul checked.
-BT 37.6 도 checked.
간호진단
수술 부위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및
기대결과
-대상자는 정상 범위의 체온을 유지한다.
-백혈구 수치가 정상 범위이다.
-수술부위가 깨끗하고 분홍색이며, 농성 배액물이 없다.
간호계획
-해열제 투여, tepid massage를 시행하여 1시간 내로 정상 체온을 유지하도록 하고 수술 부위 소독하여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대상자 스스로도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
간호중재
[진단적]
1.체온을 4시간 간격으로 모니터 하고 이를 기록하며, 상승 시 즉시 보고한다.
2.백혈구 수치를 모니터하고 하강 혹은 상승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교육적]
1.보호자에게 tepid massage 교육함.
2.수분 섭취 교육함.
[치료적]
1.해열제 투여.
2.수술 부위 재소독함.
이론적
근거
[진단적]
1.감염시 체온상승이 나타남.
2.감염시 백혈구 수치 상승함.
[교육적]
1.수분이 증발하면서 열을 내려준다.
2.열은 인체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수분섭취가 필요하다.
[치료적]
1.해열제는 고열은 완화시킨다.
2.소독으로 인해 수술 부위 감염의 위험성을 줄인다.
간호평가
-열 36.8도 check 되었다.
-수술 부위 oozing sx 없음.
-백혈구 수치가 6.21 10^3/ul 로 감소되었다.
#3.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대상자가 “머리를 감았어요. 괜찮죠?”라고 함.
-대상자가 “수술 부위에 한 붕대가 너무 불편해서 풀고 싶어요”라고 함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수술 부위 붕대가 젖어있음.
-대상자의 수술 부위 붕대가 풀려있음.
# 간호진단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간호목표
및
기대결과
- 대상자가 수술 후 수술 부위 관리에 대해 필요성을 알수 있다.
- 대상자가 수술 부위 이상증상 시 바로 간호사에게 알릴 수 있다.
- 수술 부위가 청결하게 유지된다.
간호계획
- 대상자와 가족에게 수술 부위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설명 들은 뒤부터 올바른 수술 부위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간호중재
[진단적]
1.4시간 마다 OP site 부위 oozing,pus sx 없는지 확인한다.
[교육적]
1.OP site 부위에 물이 닿지 않도록한다.
2.OP site 부위 이상 증상시 간호사에게 바로 알리도록 한다.
3.대상자와 상호작용시 차분하고 지지적이며 신뢰감 있는 태도를 유지한다.
[치료적]
1.필요시 항생제 연고를 도포한다.
이론적
근거
[진단적]
1. OP site oozing,pus 등의 이상증상시 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교육적]
1.OP stie 부위에 물이 닿으면 감염될 위험성이 높다.
2.대상자 OP stie 부위에 신경쓸 수 있다.
3.대상자에게 신뢰감 있는 태도를 유지함으로써 제공되고 있는 정보의 신뢰도를 높인다.
[치료적]
1.항생제 연고는 이차감염을 예방할수 있다.
간호평가
- 수술 부위 감염예방을 위해 스스로 관리 할 수 있다.
- 수술 부위 청결하게 유지가 잘 되고 있다.
Ⅲ. 결 론
실습소감 및 개선사항
신경과 안과에서만 일했었던 내가 생소한 질환인 만성 중이염 환자에 대한 치료와 간호에 대 해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내과질환만 보다가 외과질환에 대해 치료와 간호를 하다 보니 긴장되고 살짝 무섭기도 하였 지만 수술 전 후 나의 간호중재에 대해 호전을 보이고 자신의 질환에 대해 지식을 쌓아가는 대 상자를 보니 뿌듯 하고 이 질환에 대해 자신감도 생겼다.
수술 후 대상자 교육의 중요성을 간과하여 수술 부위의 감염 위험성이 있었는데 앞으로는 수술 후 처치에 대해서도 미리 대상자에게 교육하여 대상자가 입원 후 부터 퇴원까지 최상의 컨디션 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신경 쓸 것이다.
이번 사례를 통해 많은 지식을 얻었으며 이 지식이 앞으로 대상자와 나와의 관계에 신뢰도를 높여 줄 것 이며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기를 바란다.
Ⅳ. 참 고 문 헌
1. (2005)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 (2006) 박상연 외. 성인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 정담미디어.
3. (2010)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HCC,LC 케이스스터디
소아천식 케이스스터디
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스터디
치매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췌장암(pancreatic cancer)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T-ICH (Traumatic-Intracerebral Hemorrhage) 외상성 뇌내출혈
[성인간호학] [척추협착증]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Spinal stenosis] 케이스스터디(case...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정신간호학 케이스스터디 A+
직장암, 대장암 케이스스터디
Osteoporosis(골관절염) 케이스스터디
폐렴 케이스스터디 a+
천식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3개 완벽!
성인간호실습 ER 신장결석(신결석, 요로결석) 케이스스터디(문헌고찰, 간호과정) A+성적! 만...
성인 폐암 케이스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