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환아의 진단명과 전반적 질병경과 및 치료과정
3) 문헌 고찰
<병태생리>
4) 간호과정
5) 간호진단
2) 환아의 진단명과 전반적 질병경과 및 치료과정
3) 문헌 고찰
<병태생리>
4) 간호과정
5) 간호진단
본문내용
하는지 알게 되면 더욱 협조적인 자세로 치료에 임하게 될 것이다.
[진단적]
5/12
5/13
5/14
BP
120/90
110/80
120/80
T
36.8
37
36.5
P
82
82
86
R
22
22
20
1. V/S을 매일 측정하였다.
2. 대상자의 WBC 결과를 관찰하였다.
5/10
참고치
단위
WBC
8.04
4.0~
10.0
×109/L
3. 환자 care시 항상 손을 깨끗이 씻었다.
4. 처치 시 상황에 알맞게 청결과 멸균법을 지켰다.
5. 방문객을 제한하고 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할 것을 교 육하였다.
6. 처방에 따라 H-2 200mg / 2ml / A (중외)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7. 대상자와 가족에게 약물과 관련된 감염위험성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8. 감염을 예방활동을 교육하였다.
- 올바른 손 씻기 방법
- 식사 전후, 화장실 다녀온 후 등 꼭 손을 씻고, 사람이 많은 곳은 되도록 피한다.
1. 대상자의 V/S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1. 대상자는 부작용 없이 약물을 잘 투여받고 상태가 호전 되고 있다.
2. 대상자의 신체에 손상이 없다.
3. 대상자와 가족이 자발적으로 감염예방활동을 생활화 하고 있다.
#4 예후와 관련된 불안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subjective data]
“이제 더 이상 병원에 오기 싫어요.”
“언제까지 재발하는 거죠? 완쾌될 수는 없는 건가요?”
[objective data]
*대상자는 2016년 5월 10일 Nephrotic syndrome으로 본원에 입원함.
*과거력
1998년 부산 백병원에서 신증후군 진단받음.
2000년 10월 15~20일까지 부산 백병원에 입원함.
2003년 3월 17~27일까지 부산 백병원에 입원함.
2006년 1월 26일에 다시 재발하여 신증후군이라고 본원에서 진단받음.
*v/s (2pm)
5/12
5/13
5/14
BP
120/90
110/80
120/80
T
36.8
37
36.5
P
82
82
86
R
22
22
20
날짜
불안의 정도
5/12
8점
5/13
6점
5/14
5점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증상이 약간씩 호전됨에 따라 대상자의 불안 정도는 감소하고 있다. 불안의 정도는 10점을 극심한 불안이고, 0점을 불안하지 않다는 정도로 측정하였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불안이 사라진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불안의 정도가 3점 이하로 감소한다.
2. 대상자는 정상적인 활력징후를 유지한다.
3. 대상자는 질병에 대한 지식을 안다.
[진단적]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매 duty때 마다 측정한다.
2. 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1. 대상자가 불안한 감정을 말로 표현하게 하고, 경청한다.
2. 불안 경감을 위해 대상자의 보호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3. 불안을 완화 할 수 있는 명상요법, 심상요법, 근육이완요법을 시행한다.
명상: 명상은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정신을 현재에 집중하며 과거와 미래에 대한 두려움, 걱정, 불안, 의심을 흘려보내는 기술로 명상을 할 때는 이완과 정신집중을 하고 호흡법, 전신 이완, 심상요법을 함께 시행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근육이완요법: 얼굴에서 시작하여 발까지 체계적인 방법으로 근육을 수축/이완시키는 운동으로 호흡운동과 함께 실시한다.
심상요법: 자신의 상상력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Dossey, 2000)으로, 대상자가 독립적으로, 혹은 도움을 받아 수행할 수 있는데 도움을 받아 심상요법을 시행하는 것을 지시적 심상요법이라고 함.
[교육적]
1. 신증후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명상요법, 심상요법, 근육이완요법을 지도한다.
1.대상자는 활력징후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자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2.대상자의 불안양상을 사정함으로써 불안의 정도를 알 수 있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3.불안한 감정을 말로 표현함으로써 불안의 정도와 양상을 알 수 있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4.정서적인 지지를 위해 보호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5,7. 불안의 정도를 감소 시킬 수 있는 환경이나 비약물적인 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6.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불안의 정도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진단적]
1.매 duty마다 V/S를 확인 하였다.
5/15(6am)
5/15(2pm)
5/15(9pm)
BP
120/90
120/80
130/90
BT
36.4
36.5
36.7
P
78
86
78
R
20
20
20
날짜
불안의 정도
5/12
8점
5/13
6점
5/14
5점
2.매일 오후 2시에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치료적]
4.대상자의 불안과 걱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경청하였다.
5.불안경감을 위해 대상자의 보호자와 함께 있도록 하였다.
8.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심호흡을 격려하고, 명상을 하도록 도와드리고 등마사지를 실시하였다.
[교육적]
9. 신증후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10. 심호흡법에 대한 교육을 하고 명상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명상: 명상은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정신을 현재에 집중하며 과거와 미래에 대한 두려움, 걱정, 불안, 의심을 흘려보내는 기술로 명상을 할 때는 이완과 정신집중을 하고 호흡법, 전신 이완, 심상요법을 함께 시행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근육이완요법: 얼굴에서 시작하여 발까지 체계적인 방법으로 근육을 수축/이완시키는 운동으로 호흡운동과 함께 실시한다.
심상요법: 자신의 상상력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Dossey, 2000)으로, 대상자가 독립적으로, 혹은 도움을 받아 수행할 수 있는데 도움을 받아 심상요법을 시행하는 것을 지시적 심상요법이라고 함.
1. 대상자는 정상적인 활력징후를 유지하고 있다.
2. 대상자는 점점 불안의 정도가 낮아지고 있으나 아직 3점 이하 도달하지 못하였다.
3.대상자는 질병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알고 있다.
[진단적]
5/12
5/13
5/14
BP
120/90
110/80
120/80
T
36.8
37
36.5
P
82
82
86
R
22
22
20
1. V/S을 매일 측정하였다.
2. 대상자의 WBC 결과를 관찰하였다.
5/10
참고치
단위
WBC
8.04
4.0~
10.0
×109/L
3. 환자 care시 항상 손을 깨끗이 씻었다.
4. 처치 시 상황에 알맞게 청결과 멸균법을 지켰다.
5. 방문객을 제한하고 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할 것을 교 육하였다.
6. 처방에 따라 H-2 200mg / 2ml / A (중외)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7. 대상자와 가족에게 약물과 관련된 감염위험성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8. 감염을 예방활동을 교육하였다.
- 올바른 손 씻기 방법
- 식사 전후, 화장실 다녀온 후 등 꼭 손을 씻고, 사람이 많은 곳은 되도록 피한다.
1. 대상자의 V/S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1. 대상자는 부작용 없이 약물을 잘 투여받고 상태가 호전 되고 있다.
2. 대상자의 신체에 손상이 없다.
3. 대상자와 가족이 자발적으로 감염예방활동을 생활화 하고 있다.
#4 예후와 관련된 불안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subjective data]
“이제 더 이상 병원에 오기 싫어요.”
“언제까지 재발하는 거죠? 완쾌될 수는 없는 건가요?”
[objective data]
*대상자는 2016년 5월 10일 Nephrotic syndrome으로 본원에 입원함.
*과거력
1998년 부산 백병원에서 신증후군 진단받음.
2000년 10월 15~20일까지 부산 백병원에 입원함.
2003년 3월 17~27일까지 부산 백병원에 입원함.
2006년 1월 26일에 다시 재발하여 신증후군이라고 본원에서 진단받음.
*v/s (2pm)
5/12
5/13
5/14
BP
120/90
110/80
120/80
T
36.8
37
36.5
P
82
82
86
R
22
22
20
날짜
불안의 정도
5/12
8점
5/13
6점
5/14
5점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증상이 약간씩 호전됨에 따라 대상자의 불안 정도는 감소하고 있다. 불안의 정도는 10점을 극심한 불안이고, 0점을 불안하지 않다는 정도로 측정하였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불안이 사라진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불안의 정도가 3점 이하로 감소한다.
2. 대상자는 정상적인 활력징후를 유지한다.
3. 대상자는 질병에 대한 지식을 안다.
[진단적]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매 duty때 마다 측정한다.
2. 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1. 대상자가 불안한 감정을 말로 표현하게 하고, 경청한다.
2. 불안 경감을 위해 대상자의 보호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3. 불안을 완화 할 수 있는 명상요법, 심상요법, 근육이완요법을 시행한다.
명상: 명상은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정신을 현재에 집중하며 과거와 미래에 대한 두려움, 걱정, 불안, 의심을 흘려보내는 기술로 명상을 할 때는 이완과 정신집중을 하고 호흡법, 전신 이완, 심상요법을 함께 시행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근육이완요법: 얼굴에서 시작하여 발까지 체계적인 방법으로 근육을 수축/이완시키는 운동으로 호흡운동과 함께 실시한다.
심상요법: 자신의 상상력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Dossey, 2000)으로, 대상자가 독립적으로, 혹은 도움을 받아 수행할 수 있는데 도움을 받아 심상요법을 시행하는 것을 지시적 심상요법이라고 함.
[교육적]
1. 신증후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명상요법, 심상요법, 근육이완요법을 지도한다.
1.대상자는 활력징후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자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2.대상자의 불안양상을 사정함으로써 불안의 정도를 알 수 있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3.불안한 감정을 말로 표현함으로써 불안의 정도와 양상을 알 수 있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4.정서적인 지지를 위해 보호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5,7. 불안의 정도를 감소 시킬 수 있는 환경이나 비약물적인 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6.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불안의 정도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아동간호학2수문사 P1227~1230>
[진단적]
1.매 duty마다 V/S를 확인 하였다.
5/15(6am)
5/15(2pm)
5/15(9pm)
BP
120/90
120/80
130/90
BT
36.4
36.5
36.7
P
78
86
78
R
20
20
20
날짜
불안의 정도
5/12
8점
5/13
6점
5/14
5점
2.매일 오후 2시에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치료적]
4.대상자의 불안과 걱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경청하였다.
5.불안경감을 위해 대상자의 보호자와 함께 있도록 하였다.
8.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심호흡을 격려하고, 명상을 하도록 도와드리고 등마사지를 실시하였다.
[교육적]
9. 신증후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10. 심호흡법에 대한 교육을 하고 명상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명상: 명상은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정신을 현재에 집중하며 과거와 미래에 대한 두려움, 걱정, 불안, 의심을 흘려보내는 기술로 명상을 할 때는 이완과 정신집중을 하고 호흡법, 전신 이완, 심상요법을 함께 시행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근육이완요법: 얼굴에서 시작하여 발까지 체계적인 방법으로 근육을 수축/이완시키는 운동으로 호흡운동과 함께 실시한다.
심상요법: 자신의 상상력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Dossey, 2000)으로, 대상자가 독립적으로, 혹은 도움을 받아 수행할 수 있는데 도움을 받아 심상요법을 시행하는 것을 지시적 심상요법이라고 함.
1. 대상자는 정상적인 활력징후를 유지하고 있다.
2. 대상자는 점점 불안의 정도가 낮아지고 있으나 아직 3점 이하 도달하지 못하였다.
3.대상자는 질병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알고 있다.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척추협착증]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Spinal stenosis] 케이스스터디(case...
제왕절개 케이스, 제왕절개, OBGY케이스, 산부인과, C/S case. OBGY case, 간호학과 실습 산과
지역사회간호학) 가족간호과정, 가족 케이스 스터디, 가정 간호과정, 가정 케이스스터디, 지...
Acute endocarditis 급성 심내막염 케이스 스터디 A+ (심내막염 케이스, 급성 심내막염 케이...
급성 췌장염 케이스 스터디(Acute pancreatits 케이스, Acute pancreatits CASE STUDY, Acute...
불안정형 협심증 케이스(Unstable angina 케이스,Unstable angina 간호과정, Unstable angina...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자궁근종 케이스,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간호과정, 자궁...
요골골절 케이스(radius fracture 케이스, radius fracture 간호과정, radius fracture 간호...
갑상선암 (갑상선 암 케이스, 갑상선 케이스, 갑상선, 갑상선 암 간호과정, Thyroid cancer ...
급성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증 케이스, 심근경색증 ...
폐렴 케이스 스터디 (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
A+_ 임신성 당뇨병 케이스, 임신성 당뇨 케이스,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임신...
A+) Stomach cancer, 위암 케이스 스터디, 위암 case, 위암 사례연구, 위암 간호과정, 위암 c...
양극성 장애 케이스(조울증 장애)A+ Bipolar Disorder, 양극성장애 case, 양극성장애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