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간호력이란?
2.입원생활 관련 주의사항
3.통증 사정 - NRS; Numeric Rating Scale(숫자통증척도)
4.낙상위험 사정도구-Morse Fall Scale
1.내과적 무균법
2.격리의 목적
3.격리의 유형
2.입원생활 관련 주의사항
3.통증 사정 - NRS; Numeric Rating Scale(숫자통증척도)
4.낙상위험 사정도구-Morse Fall Scale
1.내과적 무균법
2.격리의 목적
3.격리의 유형
본문내용
폐기물 봉지 만들기
-오염된 물질들은 병동을 떠나기 전에 쓰레기 붕지를 넣고 묶는다.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비닐 주머니에 넣어서 정해진 규칙대로 분리수거 한다.
-감염성이 높은 격리병실 환자와 접촉된 쓰레기는 병실에서 한 번 싸고 병실 밖에서 다른 사람이 깨끗한 비닐에 싸서 이중포장을 한다.
-“생물학적 위험”표시 주머니 : 액체, 반액체, 감염가능성 있는 물질, 건조 혈액이나 감염가능성이 있는 물질처럼 고형화되고 취급 도중 빠져나올 수 있는 폐기물 처리시 사용한다.
2.격리의 목적
감염자를 감염가능한 기간중, 다른 사람들로부터 떼어 두는 것을 말하고 감염자로부터 배출된 병원체가 감수성자나 보균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에게 전파하는 것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전염병대책의 하나이다.
격리분류
대상
목적
독실
가운
장갑
마스크
폐기물 처리
완전격리
디프테리아, 수두, 천연두, 대상포진
전염성 높은 악성 병원균이 공기나 접촉을 통해 전파됨을 막기 위해
필요함
모든 문을 닫아야 한다.
방에 출입하는 모든 사람 착용 필요
착용
착용
오염물질은 플라스틱 쓰레기 통에 버리고 반드시 표기한다.
접촉격리
급성 호흡기 감염, 감기, 상처감염, 헤르페스, 농가진, 옴
엄격한 격리는 필요 없으나 비말접촉 혹은 직접 접촉으로 감염됨을 방지하기 위해
의복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으면 필요
동일 유기체에 감염된 대상자는 동실 가능
오염 가능성 있으면 필요
오염 가능성 있으면 필요
오염 가능성 있으면 필요
위와 같음
호흡격리
후두염, 홍역, 뇌막염, 백일해
오염물질이나 기침, 재채기, 호기시 전염 전파 막기 위해
필요
동일 유기체에 감염된 대상자는 동실 가능
불필요
불필요
필요
위와 같음
결핵격리
객담에 항산성균 배풀되거나 흉부 X-선 상 결핵이 의심되는 환자
결핵균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특별 통풍장치가 필요
문을 닫는다
의복이 오염 될 가능성이 있으면 필요
불필요
대상자가 기침을 하며 입을 막지 않으면 필요
청결히 하고 방부제로 소독한다.
장격리
위장염, A형 간염, 욕창, 감염된 피부
배설물과의 직접, 간접 접촉을 통한 전파 예방을 위해
위생상태 불량하면 필요
의복이 오염 될 가능성이 있으면 필요
감염물질을 접촉시에 필요
블필요
완전 격리와 동일
배액/분비물 관리
농양, 감염된 화상,감염된 피부, 욕창
배액, 분비물과의 직접, 간접 접촉으로 감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위생상태 불량하면 필요
의복이 오염 될 가능성이 있으면 필요
감염물질을 접촉시에 필요
블필요
위와 같음
혈액/체액 관리
B형 간염, 매독, 말라리아, 에이즈
감염된 혈액이나 체액의 직접, 간접 접촉을 통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위생상태 불량하면 필요
의복이 오염 될 가능성이 있으면 필요
감염된 혈액이나 체액과 접촉시 필요
블필요
사용된 주사바늘은 바늘 폐기용 쓰레기통에 버린다.
역격리
(보호격리)
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림프종, 감염 안된 화상
면역, 저항력 낮은 대상자를 감염성 유기체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문 닫은 독방.
경우에 따라 무균실 필요
가운
장갑
마스크
3.격리의 유형
-오염된 물질들은 병동을 떠나기 전에 쓰레기 붕지를 넣고 묶는다.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비닐 주머니에 넣어서 정해진 규칙대로 분리수거 한다.
-감염성이 높은 격리병실 환자와 접촉된 쓰레기는 병실에서 한 번 싸고 병실 밖에서 다른 사람이 깨끗한 비닐에 싸서 이중포장을 한다.
-“생물학적 위험”표시 주머니 : 액체, 반액체, 감염가능성 있는 물질, 건조 혈액이나 감염가능성이 있는 물질처럼 고형화되고 취급 도중 빠져나올 수 있는 폐기물 처리시 사용한다.
2.격리의 목적
감염자를 감염가능한 기간중, 다른 사람들로부터 떼어 두는 것을 말하고 감염자로부터 배출된 병원체가 감수성자나 보균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에게 전파하는 것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전염병대책의 하나이다.
격리분류
대상
목적
독실
가운
장갑
마스크
폐기물 처리
완전격리
디프테리아, 수두, 천연두, 대상포진
전염성 높은 악성 병원균이 공기나 접촉을 통해 전파됨을 막기 위해
필요함
모든 문을 닫아야 한다.
방에 출입하는 모든 사람 착용 필요
착용
착용
오염물질은 플라스틱 쓰레기 통에 버리고 반드시 표기한다.
접촉격리
급성 호흡기 감염, 감기, 상처감염, 헤르페스, 농가진, 옴
엄격한 격리는 필요 없으나 비말접촉 혹은 직접 접촉으로 감염됨을 방지하기 위해
의복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으면 필요
동일 유기체에 감염된 대상자는 동실 가능
오염 가능성 있으면 필요
오염 가능성 있으면 필요
오염 가능성 있으면 필요
위와 같음
호흡격리
후두염, 홍역, 뇌막염, 백일해
오염물질이나 기침, 재채기, 호기시 전염 전파 막기 위해
필요
동일 유기체에 감염된 대상자는 동실 가능
불필요
불필요
필요
위와 같음
결핵격리
객담에 항산성균 배풀되거나 흉부 X-선 상 결핵이 의심되는 환자
결핵균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특별 통풍장치가 필요
문을 닫는다
의복이 오염 될 가능성이 있으면 필요
불필요
대상자가 기침을 하며 입을 막지 않으면 필요
청결히 하고 방부제로 소독한다.
장격리
위장염, A형 간염, 욕창, 감염된 피부
배설물과의 직접, 간접 접촉을 통한 전파 예방을 위해
위생상태 불량하면 필요
의복이 오염 될 가능성이 있으면 필요
감염물질을 접촉시에 필요
블필요
완전 격리와 동일
배액/분비물 관리
농양, 감염된 화상,감염된 피부, 욕창
배액, 분비물과의 직접, 간접 접촉으로 감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위생상태 불량하면 필요
의복이 오염 될 가능성이 있으면 필요
감염물질을 접촉시에 필요
블필요
위와 같음
혈액/체액 관리
B형 간염, 매독, 말라리아, 에이즈
감염된 혈액이나 체액의 직접, 간접 접촉을 통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위생상태 불량하면 필요
의복이 오염 될 가능성이 있으면 필요
감염된 혈액이나 체액과 접촉시 필요
블필요
사용된 주사바늘은 바늘 폐기용 쓰레기통에 버린다.
역격리
(보호격리)
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림프종, 감염 안된 화상
면역, 저항력 낮은 대상자를 감염성 유기체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문 닫은 독방.
경우에 따라 무균실 필요
가운
장갑
마스크
3.격리의 유형
추천자료
[간호][간호사례][가와사키병 간호 사례][위암 간호 사례][실어증환자 간호][수혈 간호][뇌수...
[환자간호][관절염][골절][무의식][실어증][두부수술][천식]관절염환자간호 사례, 골절환자간...
[간호관리][간호관리 정의][간호관리 과정][간호관리 중재][간호관리와 간호관리자][간호관리...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과제> 수술 전 간호, 수술 중 간호, 수술 후 간호(회복실)
방송통신대) 전략적 간호관리 간호학 - 1.건강관리조직(예:병원) 갖는 특성 설명, 2.과학적 ...
폐렴 간호 case,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폐렴 사례관리, 폐렴 간호진단, 아동간호학 케...
[전략적간호관리]1. 보건의료 시스템을 재구성하게 하는 압력요인, 간호사와 환자에게 미치는...
2017년 전략적간호관리) 1 과학적관리론 인간관계론 비교, 간호사들이 신명나게 일하게 하기 ...
2017년 전략적간호관리 1 과학적관리론 인간관계론 비교, 간호사들이 신명나게 일하게 하기위...
[간호의 역사] 현대 간호의 기원과 간호조직(영국, 미국, 유럽-독일,프랑스,스칸디나비아제국...
[간호전문직] 간호전문화의 발전과정(미국의 간호 전문화과정, 간호전문화과정의 통합)
한국 문화와 간호(제도화 간호의 역사, 한국고유문화와 간호, 우리나라의 간호)
한국 간호의 미래과제(정보간호, 경영간호, 전문간호, 예술간호)
[모성간호A+]자연분만 케이스 자연분만 간호과정 자연두정태위분만 간호과정 자연분만 case 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