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터가 정확히 760mmHg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1atm 의 대기압은 불가능하다.
② 플라스크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하여 플라스크에 증류수를 가득 담아 부피를 측정하는데 증류수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부피 측정에서 약간의 오차가 생긴 것 같다.
③ 플라스크에 은박지를 씌우고 바늘로 작은 구멍을 뚫어 기체가 새어 나갈 수 있게 하는데 기체가 새어 나간 만큼 공기가 들어오므로 오차가 생기게 된다.
3) 생각해볼 사항이나 궁금했던 점
-알루미늄박으로 뚜껑을 만들고 작은 구멍을 뚫어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이렇게 하면 플라스크안의 아세톤이 증발하면서 공기가 안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는데 이렇게 하면 오차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오차율을 줄이는 방법이 궁금하였다.
-아세톤의 끓는점은 56℃인데 끓는물의 온도를 77℃로 측정하였다. 21℃나 되는 차이가 발생한 이유가 궁금하였고 생각해보니 플라스크 안의 아세톤 이외의 액체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생기거나 플라스크 안의 아세톤의 색과 물 모두 투명한 색이므로 아세톤이 기화되는 것을 잘 파악하지 못했을 수도 있었다.
9. 참고문헌
서명
출판사
저자
출판연도
참고페이지
일반화학실험
천문각
대한화학회
2011
55-59
http://blog.naver.com/p900720?Redirect=Log&logNo=10015315405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5555&cid=40942&categoryId=3225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1532&cid=40942&categoryId=32227
★과제
1. 실험책 p.58 생각해볼 사항 1번, 4번
1번. 이 실험에 사용하는 액체 시료는 어떠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실험 목적에 가장 적합하겠는지 생각해보자.
아세톤은 끓는점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도 쉽게 기화하므로 쉽게 증발하는 기체의 몰질량을 결정하는 이번 실험 목적에 적합하다.
4번. 이 실험에서 플라스크를 물 속 깊이 잠기도록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기화한 시료가 물에 잠기지 않은 부분에서 냉각되는 것을 막고 열전달을 균일하게 하여 온도차이에 의한 대류를 방지하여 남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2.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에서 실험책 p.55 식(5-1)으로 유도해볼 것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이 이고, 이므로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에 대입하여 유도 하면 이므로 이다.
② 플라스크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하여 플라스크에 증류수를 가득 담아 부피를 측정하는데 증류수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부피 측정에서 약간의 오차가 생긴 것 같다.
③ 플라스크에 은박지를 씌우고 바늘로 작은 구멍을 뚫어 기체가 새어 나갈 수 있게 하는데 기체가 새어 나간 만큼 공기가 들어오므로 오차가 생기게 된다.
3) 생각해볼 사항이나 궁금했던 점
-알루미늄박으로 뚜껑을 만들고 작은 구멍을 뚫어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이렇게 하면 플라스크안의 아세톤이 증발하면서 공기가 안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는데 이렇게 하면 오차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오차율을 줄이는 방법이 궁금하였다.
-아세톤의 끓는점은 56℃인데 끓는물의 온도를 77℃로 측정하였다. 21℃나 되는 차이가 발생한 이유가 궁금하였고 생각해보니 플라스크 안의 아세톤 이외의 액체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생기거나 플라스크 안의 아세톤의 색과 물 모두 투명한 색이므로 아세톤이 기화되는 것을 잘 파악하지 못했을 수도 있었다.
9. 참고문헌
서명
출판사
저자
출판연도
참고페이지
일반화학실험
천문각
대한화학회
2011
55-59
http://blog.naver.com/p900720?Redirect=Log&logNo=10015315405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5555&cid=40942&categoryId=3225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1532&cid=40942&categoryId=32227
★과제
1. 실험책 p.58 생각해볼 사항 1번, 4번
1번. 이 실험에 사용하는 액체 시료는 어떠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실험 목적에 가장 적합하겠는지 생각해보자.
아세톤은 끓는점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도 쉽게 기화하므로 쉽게 증발하는 기체의 몰질량을 결정하는 이번 실험 목적에 적합하다.
4번. 이 실험에서 플라스크를 물 속 깊이 잠기도록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기화한 시료가 물에 잠기지 않은 부분에서 냉각되는 것을 막고 열전달을 균일하게 하여 온도차이에 의한 대류를 방지하여 남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2.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에서 실험책 p.55 식(5-1)으로 유도해볼 것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이 이고, 이므로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에 대입하여 유도 하면 이므로 이다.
추천자료
소비자의 감정(즐거움과 환기)이 인터넷 쇼핑 몰에 미치는 영향
[실험보고서] 분몰랄 부피
몰부피 측정 실험
분몰랄 부피 측정
Victor Meyer 법을 이용한 분자량 측정
[우주][태양계][태양][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우주의 나이, 태...
[일반물리학실험] 원운동과 구심력 - 원운동을 하는 물체의 질량, 운동반지름, 그리고 구심력...
[일반화학 실험] 01-밀도 : 고체와 액체 물질의 질량과 부피를 확정하여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반화학실험] 평형분배 예비 및 결과 보고서 :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용매 사이에서의 용질...
[물리화학실험] 평행분배 (예비) :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용매 사이에서 용질의 평형분배 고찰...
일반화학실험 레포트 예비+결과레포트 1학기 분입니다.
[일반물리학 실험] 원운동과 구심력 : 원운동을 하는 물체의 질량, 운동 반지름, 그리고 구심...
기체 상수 측정 & 탄산염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