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컴퓨터의이해,입력장치,qr코드,2차원코드,방송대컴퓨터의이해,방송대 컴퓨터의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컴퓨터의이해,입력장치,qr코드,2차원코드,방송대컴퓨터의이해,방송대 컴퓨터의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컴퓨터의 이해


목차

본문

1. 아래의 문제에 대하여 교재에서 관련내용을 확인한 후 인터넷이나 참고문헌을
참조하여 A4 용지 2페이지 내외로 서술하라.
(1) 컴퓨터에서 입력장치, 중앙처리장치,출력장치, 기억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2) 최신 스마트 폰 하나를 선정하고 입력장치, 중앙처리장치, 출력장치, 기억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2. 2차원바코드에 대하여 다음의 내용을 A4 용지 2페이지 내외로 서술 하라.

(가) 2차원 바코드의 종류와 사용 사례를 조사하라.

(나) 본인의 이름과 소속 학과명이 포함된 텍스트가 들어 있는 QR코드를 만들어서 보고서에 첨부하라. QR코드는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QR코드 만들기’를 검색하여 무료로 만들 수 있는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참고자료

본문내용

매우 용이하다.
직접 인코딩형은 원하는 정보를 직접 코드에 담은 칼라코드이다. 인덱스형에 비해서 많은 정보를 담는 오프라인형 코드이므로 고성능 카메라나 스캐너 등의 장비를 이용하게 된다. 코드에서 사용되는 색상의 수도 인덱스형에 비해 많게 구성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직접 인코딩형 코드는 방향 탐지 영역, 참조셀 영역, 데이터 영역 등으로 구성되는데, 참조 셀 영역은 인식 장비의 특성이 다르더라도 색상을 비교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직접 인코딩형의 예로는 20×10형태로 8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최대 100바이트의 정보를 직접 제공하는 칼라코드가 있다. 이러한 코드는 1cm×2cm 면적에서 명함정보, 물류 정보 등을 직접 표현할 수 있으며 그 정보량을 셀 크기를 늘림으로써 함께 증가시킬 수 있다.
혼합형은 위의 두 가지 방식의 정보를 하나의 코드에 담은 것이다. 인덱스형과 직접 인코딩형이 서로 나뉘어 있으며 인덱스 정보와 직접 인코딩된 정보를 함께 담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정보량에 따라 자유롭게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3, QR코드
바코드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그것보다는 조금 더 복잡한 모자이크가 바로 QR코드이다. 1994년 도요타의 자회사인 덴소웨이브(DensoWave)가 개발한 흑백 모자이크 패턴의 2차원 바코드다
2차원 코드는 1차원 바코드의 대안으로 정보의 양을 늘리기 위해 바코드의 자릿수를 늘리거나 여러 바코드를 나열하는 방법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는 표시 면적을 크게 하거나 복잡한 판독작업을 수반함으로써 인쇄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를 야기했다. 90년대 들어 다양한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바코드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작은 공간에 더 다양한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즉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코드’에 관한 요구에 부응하는 2차원 코드가 출연하게 되었다.
기존의 바코드는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담는다. 2차원 코드는 처음에는 바코드를 적층·중복(Stack)하는 방식을 택했다가 정보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로세로 두 방향으로, 즉 격자무늬(Matrix)로 정보를 담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1) QR코드의 장점
QR코드(QuickResponseCode)는 문자 그대로 빠른 응답이 가장 근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바코드에 비해 작은 공간을 활용하여 100배가 넘는 대용량 저보 저장이 가능하다는 점, 오류 복원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기존 바코드와 비교하여 QR코드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다양한 형식 및 대용량 정보 저장이 가능
바코드에 담을 수 있는 정보량은 20자리 정도이며 영어, 숫자만 기록 가능한 반면, QR코드는 숫자, 영어, 한자, 한글, 기호, 바이너리, 제어코드 등 다양한 종류의 언어와 형식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바코드와 달리 QR코드는 데이터베이스가 없어도 그 자체로 해당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정보량은 숫자만 저장할 경우 최대 7, 089자를 담을 수 있고, 한자나 한글은 최대 1, 817자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한자 한 글자를 13bit로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2차원 바코드에 비해 20% 이상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사진, 동영상, 음성 등은 바이너리 데이터로 저장 가능하다. 하나의 QR코드에 저장할 수 있는 사진, 동영상, 음성 용량은 최대 3KB 정도이다.
QR코드 수납 가능 문자 수
문자 형태 수납 가능 문자 수
숫자(Only) 최대 7, 089문자
영어+숫자 최대 4, 296문자
Binary(8비트) 최대 2, 953비트
한자 최대 1, 817문자
② 바코드 1/10의 작은 공간
바코드는 가로줄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표현하는 한계 때문에 큰 면적을 필요로 하지만, QR코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정보를 표현할 수 있어 바코드와 동일한 정보량을 1/10정도의 작은 공간만으로 나타낼 수 있다.
③ 오염과 훼손에도 인식되는 판독력
한번 손상된 바코드는 복원이 불가능하지만 QR코드는 자체적으로 오류 정정 기능이 있어 펜이나 얼룩이 묻어 오염되거나 한쪽이 찢어져 코드의 일부가 훼손되는 경우에도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손상된 QR코드도 인식에는 문제가 없다. 손실된 코드는 최대 30%까지 복원이 가능하다.
오류 복원 레벨에는 총 네 개의 단계가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환경 및 코드 크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공장 등 더러워지기거나 훼손이 쉬운 환경에서는 레벨Q(20%)또는 H(30%)를 선택해야 하며, 깨끗하고 데이터 크기가 큰 경우에는 레벨 L(7%)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벨M(15%)을 많이 사용한다.
④ 어느 방향에서도 인식이 가능
가로 방향으로 스캔해야만 인식 가능한 바코드와는 달리, QR코드는 세 개의 위치 검출 패턴(위치 찾기 심벌)을 통하여 360도 어느 방향에서든지 고속 인식이 가능하다. 이 패턴은 QR코드의 인식 위치 및 회전된 각도를 표시함으로써 QR코드가빠르고 안정적으로 인식되도록 도와준다.
(나) 본인의 이름과 소속 학과명이 포함된 텍스트가 들어 있는 QR코드를 만들어서 보고서에 첨부하라.
아래) QR코드의 모양과 부분 명칭
*QR코드 만드는 법
1, 네이버, 다음 등에서 QR코드 만들기를 입력
http://qr.naver.com/ 등에서
2, 나만의 QR코드 만들기로 들어가 로그인 한 후, 지시에 따르면 된다.
스타일, 사용자 지정 등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모양의 QR코드를 만들 수 있다.
참고 자료
김명주, 컴퓨터의 이해, 이한출판사, 2012
강환수, 조진형, 신용현 공저, 유비쿼터스 시대의 컴퓨터개론, 학술정보, 2006
김대수, 컴퓨터개론, 성능출판사, 2011
남시병, 마이크로프로세서, 두양사, 2007
황인선; 조정래 공저, 컴퓨터 이해와 활용, 기한재, 2009
박은숙, 박윤선 , 소셜 모바일 시대 QR코드 마케팅 전략[전자책], 한빛미디어, 2011
이언배, 곽덕훈, 김강현, 손진곤, 이병래, 컴퓨터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3
  • 가격2,9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7.03.23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0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