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지학E형 2017년-1)오처드그래스 2)톨페스큐 3)화이트클로버 4)소리쟁이 5)쑥, 제시한 5가지 목초 및 목초지 잡초에 대해, 아래의 내용을 설명. 초지학4E 과제물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지학E형 2017년-1)오처드그래스 2)톨페스큐 3)화이트클로버 4)소리쟁이 5)쑥, 제시한 5가지 목초 및 목초지 잡초에 대해, 아래의 내용을 설명. 초지학4E 과제물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오처드그래스
1) 보통명(Common name), 학명(속명, 종명)
2) 직접 촬영한 식물 사진 – 직접 촬영이 가능한 장소 소개
3) 성상 - 재배법, 방제법
2. 톨페스큐
1) 보통명, 학명
2) 직접 촬영한 식물 사진 – 직접 촬영이 가능한 장소 소개
3) 성상 - 재배법, 방제법
3. 화이트클로버
1) 보통명, 학명
2) 직접 촬영한 식물 사진 – 직접 촬영이 가능한 장소 소개
3) 성상 - 재배법, 방제법
4. 소리쟁이
1) 보통명, 학명
2) 직접 촬영한 식물 사진 – 직접 촬영이 가능한 장소 소개
3) 성상 - 재배법, 방제법
5. 쑥
1) 보통명, 학명
2) 직접 촬영한 식물 사진 – 직접 촬영이 가능한 장소 소개
3) 성상 - 재배법, 방제법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족한 척박한 땅에서도 번성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사람이 관리하지 않는 잔디밭은 토끼풀로 뒤덮이게 된다. 파종은 봄과 가을에 가능하며, 봄 파종 시기는 2월에서 3월이며 가을 파종 시기는 8월 말에서 9월 초에 하게 된다. 파종량은 3kg, 파종 깊이는 5m가 적절하다.
화이트클로버에 자주 발생하는 병해에는 탄저병이 있으며, 예방 및 방제의 방법으로 내병성 품종 선발, 종자소독, 식물체 소각, 윤작 등의 방법이 이용된다.
4. 소리쟁이
1) 보통명, 학명
보통명은 소리쟁이 Curled dock이며, 학명 Rumex crispus L. 이다. 식물계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마디풀목의 식물이다. 여러해살이 풀로 습지근처에서 자라며, 높이가 30~80cm 까지 자란다. 줄기가 곧게 서고 세로에 줄이 많으며 녹색 바탕에 흔히 자줏빛을 띄며, 줄기 잎은 어긋나고 양 끝이 좁으며 주름이 있고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다.
2) 직접 촬영한 식물 사진 직접 촬영이 가능한 장소 소개
습지 근처에서 발견이 가능하다.
3) 성상 - 재배법, 방제법
소리쟁이는 3~11월에 걸쳐 생육하고 종자와 뿌리에 의해 번식하는 다년생 식물로 물기가 있는 땅이면 어디에서든지 잘 자라는 식물이다. 유럽이 원산지인 소리쟁이는 마디풀과에 속하는데 마디풀과는 세계적으로 30속 800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1속 58종이 있다. 종자는 내화피로 싸여있으며 그 길이는 5mm쯤이며 밤색으로 단단하게 익는다. 뿌리는 토양 속 깊숙이 파고들어 양분을 많이 저장할 수 있다. 민간에서는 어린순을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한방에서는 약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목초지, 과수원, 잔디밭, 공터 등의 다양한 곳에 자생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잡초로 여겨진다. 목초지나 골프장에 발생하여 예초 작업으로 뿌리와 줄기가 끊어져도 그 자리에서 또 다른 성체가 발생하는 생명력이 강한 잡초이다. 크로버, 쇠뜨기 등에 있어 방제효과가 탁월한 선택성 제초제 디캄바 액제와 비선택성 제초제인 글리포세이트가 사용되고 있으나 전면적으로 살포시 다른 작물이나 잔디, 목초에 약해의 우려가 있어 사용 시에 매우 주의를 요한다.
5. 쑥
1) 보통명, 학명
보통명은 쑥 Foremost mugwort, 학명은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이다.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쑥속(Artemisia)의 식물이다. 쑥은 다년생 초본으로 현재까지 쑥속에 속하는 식물 400여종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약 300여종이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다. 7월에서 9월에 꽃이 피는 식물로 여러해살이 풀이다. 쑥은 줄기에 능선이 있으며 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자줏빛으로 7월에서 9월에 피며 머리모양꽃차례가 원줄기 끝의 원뿔모양꽃차례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쑥은 그 생명력이 강하여 어느 장소에서든지 잘 자라며, 다른 식물이 자신의 영역에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며 자신의 영역을 지켜나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직접 촬영한 식물 사진 직접 촬영이 가능한 장소 소개
길거리 어디에서든지 발견이 가능한데, 보통 사람들이 걸어 다니는 인도 구석에서도 쉽게 발견된다.
3) 성상 - 재배법, 방제법
쑥은 지혈, 진해, 거담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예로부터 약용으로 인기가 좋다. 쑥은 어디에서든지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서 별 다른 관리를 하지 않아도 잘 자라며 번식력이 매우 강하다. 햇볕을 좋아하나 그늘 진 곳에서도 잘 자라며, 습한 곳보다는 약간 건조한 곳을 선호한다.
쑥 중에서 활용도가 뛰어난 약쑥을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약쑥은 종자번식을 하는데, 뿌리를 이용한 포기 나누기를 이용하여 심기도 한다. 포기나누기는 3월에서 4월경 땅 속에 있는 줄기를 캐내어 뿌리를 적절한 간격으로 잘라서 밭에 흩뿌리기로 한다. 씨를 뿌린 후에는 위를 흙으로 살짝 덮고 사방을 짚으로 살짝 덮어주는 것이 좋다. 약쑥 밭에서는 일반 쑥이 자주 출현하게 되는데, 이는 미리 제거해 주지 않으면 일반 쑥이 번성하여 약쑥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성장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하여야 한다.
\
쑥은 그 성장이 매우 빠르고 그 번식력이 강하여 다른 작물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로 잡초로 분류된다. 쑥은 제초제를 매년 주기적으로 살포하는 것으로 방제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제초제로 글라신액제, 글라이포세이트 혼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쑥을 방제하기 위해서 토양처리를 할 경우에는 발아억제제인 스톰프를 사용한다.
Ⅲ. 결 론
초지는 단순히 목초나 사료작물을 제공이라는 이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초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자연재해 시에 토양의 유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초지식물의 광합성으로 깨끗한 산소를 공급하는 점에서 환경보전의 의미도 가지고 있으며, 많은 동식물의 생존에 필요한 장소를 제공할 수도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초지의 비율이 경작지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편으로 초지에 대한 개발과 관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오처드그래스, 톨페스큐, 화이트클로버는 초지용 주요 목초로 분류되는데, 이러한 점에서 이러한 목초들의 품종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도 다양한 개발을 위한 연구들이 지속되어 초지학의 연구가 더욱 활발해 지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 참고문헌
이효원, 김창호, 김종덕 <초지학>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김동암 <초지학> 선진문화사 2001
박병훈, 김상덕 <생활주변의 식물> 유한문화사 2014
김진수, 이상훈, 이병헌 <톨페스큐의 효율적인 형질전환을 위한 몇 가지 요인의 영향> Plant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research, Vol.2004 [2004]
박남일, 이인용, 박재읍 <소리쟁이속 잡초종자의 발아 특성> 한국잔디학회지 24(1) 31-35 1229-3253 2010
박주아, 최미옥, 김한석 <소리쟁이 부위별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분석>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제8권 제4호 통권 제24호 (2010년 11월) pp.193-201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3.31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