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구조와 기능 및 건강사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눈의 구조와 기능 및 건강사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눈의 구조와 기능 및
건강 사정

본문내용

대면법이란 검사자가 환자와 50cm~1cm의 거리를 두고 마주 앉아 환자의 왼쪽 눈을 가리고 오른쪽 눈과 검사자의 오른쪽 눈의 중간 지점에서 시표를 주변에서 중심으로 점차 이동시켜 물체를 동시에 두 사람이 볼 수 있으면 정상이라 판단한다. 반대쪽 눈의 시야도 같은 방법으로 검사한다. 이것은 검사자가 정상이라는 전제 아래 시행하며 쉽게 측정할 수 있으나 정확하게 못하므로 이상이 발견되면 시야계를 사용하여 검사한다. 주변 시야계는 회전하도록 된 반구형 모양이며 각도가 세분되어 있다. 정상 시야의 범위는 대략 위쪽 60도, 코쪽60도, 아래쪽70도, 귀쪽90도이다. 시야 결손이 나타나면 뇌질환, 녹내장, 망막박리를 의심한다.
③ 굴절검사
굴절은 광선이 각막, 전방, 수정체를 통과하여 망막에 물체의 상을 맺게 하는 것이다. 굴절이상은 검사하는 방법에 따라 모양근 마비성과 비마비성으로 나뉜다. 모양근 마비성 굴절이상 검사는 굴절력이 실제보다 증가한 환자에게 모양근 마비체를 투여하여 조절력을 감소시켜 눈의 굴절상태를 평가하는 것이다. 환자의 눈을 근거리에 놓고 폭주량을 측정하여 조절력을 산출한 뒤 눈의 굴절상태를 역산한 다음 검안렌즈 세트의 렌즈를 검안테에 끼우거나 안경검정기를 사용하여 가장 좋은 시력을 얻을 수 있는 렌즈를 결정한다. 비마비성 굴절이상은 주로 성인에서 모양근 마비제를 투여하지 않고 시행한다.
④ 검안경 검사
검안경 으로 망막, 혈관, 시신경유두, 황반 등 눈의 구조를 관찰한다.
ⅰ) 직상 검안법
안저가 약 15배 확대되어 보이며 환자나 관찰자의 굴절 이상을 교정할 수 있는 렌즈르 끼고 눈 가까이서 관찰한다.
ⅱ) 도상 검안법
넓은 안저 시야를 한꺼번에 볼 수 있으나 불과 4~5배밖에 확대되지 않으며 거꾸로 보인다. 검사자는 쌍안 도상 검안경을 쓰고 대물렌즈를 환자의 눈 앞에 두고 검사한다. 검안경 검사시에 동공을 확대시키지 않아도 중심망막과 시신경은 쉽게 볼 수 있지만, 황반, 혈관, 망막 주변부 등을 자세히 관찰하려면 homatropine과 같은 산동제를 투여해야 한다. 검안경은 70% 알코올 솜으로 닦아서 사용한다. 기구는 환자의 눈에 직접 대지 말고 눈 앞 3cm 앞에 놓고 검사하며 방을 어둡게 하여 검사한다.
ⅲ) 세극등 현미경검사
높은 확대율로 눈의 전방을 검사하는데 사용한다. 가막의 상처, 홍채의 염증, 조기 백내장, 전방 등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콘택즈 렌즈를 장치하면 유리체와 안전까지 검사할 수 있다.
ⅳ) 안저 촬영술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신경과 시신경 유두부의 모양이나 색깔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안저를 검사하는 것 으로 흔히 녹내장 환자에게 시행된다.
ⅴ) 안과 방사선검사
x-선 촬영, CT촬영으로 안와와 두 개 내의 종양이나 염증, 골절, 외안근의 비대 등을 알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김금순외 7명 공저, 「7번째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12, p.1659~ p.1665
- 한국간호과학회 성인간호학 편,「간호사 국가시험대비 문제집 성인간호학」, 신경림, 2010, p.897, 903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4.02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