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태(conception)
2. 수정(fertilization)
3. 착상(implantation)
-참고문헌
2. 수정(fertilization)
3. 착상(implantation)
-참고문헌
본문내용
효소가 분비되는데, 이 효소는 자궁내막 속으로 배포 전체가 묻힐 때까지 파고들어 갈 힘을 준다.
배포가 착상할 때 영양배엽과 접하고 있는 모체조직의 상처로 일부 여성은 가벼운 착상 출혈을 경험하기도 한다.
손가락 모양의 융모막융모는 영양막 외층에서 발생하고 자궁내막의 혈액이 가득찬 곳으로 파고 들어간다.이 융모들은 모체 혈관계에서 산소와 영양소를 얻어내고, 모체 혈액 내로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보낸다.
착상 후의 자궁내막을 탈락막이라고 한다.
< 탈락막 구분 >
기저탈락막(decidua basalis)
배포와 직접 닿은 자궁내막, 즉 수정란이 착상한 아랫부분
피포탈락막(decidua capsularis)
배포를 덮고 있는 자궁내막
진탈락막(decidua vera)
그 외 나머지 자궁내막
- 융모 중 기저탈락막과 접하고 있는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의 융모(활평융모막)는 사라진다. 기저탈락막과 접하는 융모는 점점 증식하여 변생융모막이 되며 나중에 태반이 된다. 임신 초에는 수정란이 자궁 강 내 전체를 채우지 못하므로 피포탈락막과 진탈락막 사이에 공간이 있으나, 점차 태아가 커지면 자궁 강을 꽉 채워 피포탈락막과 진탈락막은 서로 융합된다. 융모막융모는 융모성선자극호르몬(human choronic gonadotropin hormone, hCG)을 분비하고, hCG는 황체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를 자극하여 임신 동안 배란과 월경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참고문헌
유은광 외 (2015),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p397~402
이영숙 외 (2014),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p255~259
배포가 착상할 때 영양배엽과 접하고 있는 모체조직의 상처로 일부 여성은 가벼운 착상 출혈을 경험하기도 한다.
손가락 모양의 융모막융모는 영양막 외층에서 발생하고 자궁내막의 혈액이 가득찬 곳으로 파고 들어간다.이 융모들은 모체 혈관계에서 산소와 영양소를 얻어내고, 모체 혈액 내로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보낸다.
착상 후의 자궁내막을 탈락막이라고 한다.
< 탈락막 구분 >
기저탈락막(decidua basalis)
배포와 직접 닿은 자궁내막, 즉 수정란이 착상한 아랫부분
피포탈락막(decidua capsularis)
배포를 덮고 있는 자궁내막
진탈락막(decidua vera)
그 외 나머지 자궁내막
- 융모 중 기저탈락막과 접하고 있는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의 융모(활평융모막)는 사라진다. 기저탈락막과 접하는 융모는 점점 증식하여 변생융모막이 되며 나중에 태반이 된다. 임신 초에는 수정란이 자궁 강 내 전체를 채우지 못하므로 피포탈락막과 진탈락막 사이에 공간이 있으나, 점차 태아가 커지면 자궁 강을 꽉 채워 피포탈락막과 진탈락막은 서로 융합된다. 융모막융모는 융모성선자극호르몬(human choronic gonadotropin hormone, hCG)을 분비하고, hCG는 황체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를 자극하여 임신 동안 배란과 월경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참고문헌
유은광 외 (2015),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p397~402
이영숙 외 (2014),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p255~25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