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호흡기계
2. 신경계
3. 내분비계
1) 뇌하수체와 태반 호르몬
① 에스트로겐
② 프로게스테론
③ 융모성선자극호르몬
④ 태반 락토젠
⑤ 프로락틴
⑥ 옥시토신
2) 갑상선호르몬
3) 부갑상선호르몬
4) 인슐린
-참고문헌
2. 신경계
3. 내분비계
1) 뇌하수체와 태반 호르몬
① 에스트로겐
② 프로게스테론
③ 융모성선자극호르몬
④ 태반 락토젠
⑤ 프로락틴
⑥ 옥시토신
2) 갑상선호르몬
3) 부갑상선호르몬
4) 인슐린
-참고문헌
본문내용
저하(정맥확대: 하지 에 부종, 정맥류)
담낭의 탄력성 저하, 운동력 감 소, 담낭질환의 빈도 증가
덥고, 땀이 많이 남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syncytiotrophoblast에서 분비됨. 임신 60~70일에 최고에 이르고 4개월 후에 떨어지며, 산후 2주에 사라짐
체온 0.5C 상승
임신 초기에 황체 유지
간질세포가 남자 태아의 고 환에 영향을 미침
면역적 성질을 지닐 수 있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황체는 첫 몇 주 후에는 필요하 지 않다. 태반이 충분한 호르몬 을 생산
남자 태아의 testosterone치가 상승
이물질 단백에 반응하는 lympho
- cyte를 억제
임신오조증을 일으킴
진단적 가치:
포도상기태, 자연유산 후나 융모 상피암 후 hCG 존속
임신에 대한 호르몬검사의 기본
절박유산 시는 저하
다태임신 시 상승
Human platental lactogen(hPL)이나 chorionic growth hormone(CGH)은 syncytiotro-phoblast에서 분비. 임신 5주나 6주에 검출됨.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분만 2주 후에 사라짐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작용 과 유사
당 대사 : 에너지로 이용 가능한 지방산의 형성에 필 요한 lipolysis의 증가로 임 부의 당 대사율 저하
혈당치를 상승하게 하는 원 인
인슐린의 기능 억제
hydrocoticone과 인슐린의 공동작용으로 유방의 포상 을 발달시키는 작용을 함
분비되는 양은 태반 크기에 의함
당대사의 변화:
당은 단지 태아를 위한 에너지 임
임부에게 당뇨병을 유발시킬 수 있음 (인슐린을 분비하는
langehans β세포를 자극)
태아 췌장은 12주부터 인슐린을 분비: 임부의 인슐린은 태반을 통과하지 않음. 태아에게 지속적 인 고혈량이 나타나면 태아의 췌장에서 인슐린이 과량 분비됨. 출산 때 신생아는 저혈당이 되 며 뇌 발달의 장애 가능성이 있 음
수유를 위한 유방 준비
정상 임신의 지표가 되는 hPL (hCS,CGH)의 순환치의 조사를 위해 필요함
인체의 정맥, 뇌, 신경, 내분비계, 자 궁내막, 탈락막 등 에서 분비되며 양 수에도 포함되어 있음
생식기계, 발기, 사정, 배란, 항체형성, 자궁운동성, 출 산, 사출반사기능
심맥관계: 혈소판 증가
prostaglandins은 임신 2기로 유 산을 일으키곤 한다. 말기에 분 만 유도에 사용
임신 중 호르몬의 요인
호르몬 및 근원
근원적 작용
임상적 중요성
< 난소, 황체 >
릴락신
경관유연성 증가
관절이완
< 뇌하수체 >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뇌 하수체 전엽에서 분비
난포자극호르몬(FSH): 뇌 하수체 전엽에서 분비
prolactin(PRL):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뇌하수체 전엽 에서 분비
β-endorphins 과
cncephaline: 뇌하수체의 중간엽에서 분비
oxytocin: 뇌하수체 후엽에 서 분비
임신 중 뚜렷하게 저하되 며 분만 후 6~8주에 임신 전 상태로 서서히 상승
임신 중 뚜렷하게 저하: 분만 후 10~12일간 낮은 상태
분만 3주 후 증가
수유: 태반만출 후 유선세 포에 lactose, casein, 지방 의 분비 자극, 폐성숙, 임 신 유지
기미, 흑선, 유두, 유륜, 외 음부의 검은색
진통효과
자궁수축
progesterrone에 의해 작 용이 억제 됨
유즙을 사출시키기 위해 유선에서 평활근 상피세 포를 자극
분만 후 인슐린 요구가 저 하된 이유(태반만출로 hPL 저하)
임신 중 배란 중지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기 능
estrogen 고농도가 유선의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에 산전에는 수유작용이 일 어나지 않음
착색변화는 임신의 객관 적, 추정적 징후; 보통 분 만 후 사라짐
불편감 완화
분만 유도시 사용
분만 중, 후에 근육수축 작용, 유두자극 시 분비
수유 시 유선의 평활근세 포 자극으로 유즙이 사출 됨
< 갑상선 >
thyroxcin: 뇌하수체 전엽 자극으로 갑상선에서 분비
갑상선 증대로 기능이 20% 증가, BMR 말기에 25%증가, BMR는 분만 후 1주 내에 임신 전 상 태로 되돌아감. 출산 후 6주 안에 정상적인 크기 로 회복
심계항진, 빈맥, 불안정,
열에 대한 내성이 없어 지 고, 피로, 땀이 많이 남
참고문헌
이경혜 외 (2011),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p. 282-292
담낭의 탄력성 저하, 운동력 감 소, 담낭질환의 빈도 증가
덥고, 땀이 많이 남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syncytiotrophoblast에서 분비됨. 임신 60~70일에 최고에 이르고 4개월 후에 떨어지며, 산후 2주에 사라짐
체온 0.5C 상승
임신 초기에 황체 유지
간질세포가 남자 태아의 고 환에 영향을 미침
면역적 성질을 지닐 수 있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황체는 첫 몇 주 후에는 필요하 지 않다. 태반이 충분한 호르몬 을 생산
남자 태아의 testosterone치가 상승
이물질 단백에 반응하는 lympho
- cyte를 억제
임신오조증을 일으킴
진단적 가치:
포도상기태, 자연유산 후나 융모 상피암 후 hCG 존속
임신에 대한 호르몬검사의 기본
절박유산 시는 저하
다태임신 시 상승
Human platental lactogen(hPL)이나 chorionic growth hormone(CGH)은 syncytiotro-phoblast에서 분비. 임신 5주나 6주에 검출됨.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분만 2주 후에 사라짐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작용 과 유사
당 대사 : 에너지로 이용 가능한 지방산의 형성에 필 요한 lipolysis의 증가로 임 부의 당 대사율 저하
혈당치를 상승하게 하는 원 인
인슐린의 기능 억제
hydrocoticone과 인슐린의 공동작용으로 유방의 포상 을 발달시키는 작용을 함
분비되는 양은 태반 크기에 의함
당대사의 변화:
당은 단지 태아를 위한 에너지 임
임부에게 당뇨병을 유발시킬 수 있음 (인슐린을 분비하는
langehans β세포를 자극)
태아 췌장은 12주부터 인슐린을 분비: 임부의 인슐린은 태반을 통과하지 않음. 태아에게 지속적 인 고혈량이 나타나면 태아의 췌장에서 인슐린이 과량 분비됨. 출산 때 신생아는 저혈당이 되 며 뇌 발달의 장애 가능성이 있 음
수유를 위한 유방 준비
정상 임신의 지표가 되는 hPL (hCS,CGH)의 순환치의 조사를 위해 필요함
인체의 정맥, 뇌, 신경, 내분비계, 자 궁내막, 탈락막 등 에서 분비되며 양 수에도 포함되어 있음
생식기계, 발기, 사정, 배란, 항체형성, 자궁운동성, 출 산, 사출반사기능
심맥관계: 혈소판 증가
prostaglandins은 임신 2기로 유 산을 일으키곤 한다. 말기에 분 만 유도에 사용
임신 중 호르몬의 요인
호르몬 및 근원
근원적 작용
임상적 중요성
< 난소, 황체 >
릴락신
경관유연성 증가
관절이완
< 뇌하수체 >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뇌 하수체 전엽에서 분비
난포자극호르몬(FSH): 뇌 하수체 전엽에서 분비
prolactin(PRL):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뇌하수체 전엽 에서 분비
β-endorphins 과
cncephaline: 뇌하수체의 중간엽에서 분비
oxytocin: 뇌하수체 후엽에 서 분비
임신 중 뚜렷하게 저하되 며 분만 후 6~8주에 임신 전 상태로 서서히 상승
임신 중 뚜렷하게 저하: 분만 후 10~12일간 낮은 상태
분만 3주 후 증가
수유: 태반만출 후 유선세 포에 lactose, casein, 지방 의 분비 자극, 폐성숙, 임 신 유지
기미, 흑선, 유두, 유륜, 외 음부의 검은색
진통효과
자궁수축
progesterrone에 의해 작 용이 억제 됨
유즙을 사출시키기 위해 유선에서 평활근 상피세 포를 자극
분만 후 인슐린 요구가 저 하된 이유(태반만출로 hPL 저하)
임신 중 배란 중지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기 능
estrogen 고농도가 유선의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에 산전에는 수유작용이 일 어나지 않음
착색변화는 임신의 객관 적, 추정적 징후; 보통 분 만 후 사라짐
불편감 완화
분만 유도시 사용
분만 중, 후에 근육수축 작용, 유두자극 시 분비
수유 시 유선의 평활근세 포 자극으로 유즙이 사출 됨
< 갑상선 >
thyroxcin: 뇌하수체 전엽 자극으로 갑상선에서 분비
갑상선 증대로 기능이 20% 증가, BMR 말기에 25%증가, BMR는 분만 후 1주 내에 임신 전 상 태로 되돌아감. 출산 후 6주 안에 정상적인 크기 로 회복
심계항진, 빈맥, 불안정,
열에 대한 내성이 없어 지 고, 피로, 땀이 많이 남
참고문헌
이경혜 외 (2011),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p. 282-292
추천자료
Oleic acid로 유발한 가토의 호흡부전증에서 통상적인기계적 환기법과 기관내 폐환기?
기계적 인공호흡
호흡부전 환자간호, 성인 호흡기 장애 증후군, 기계적 인공 호흡
Ventilator Care(인공호흡기 간호)
임신의 정의 임신시기의 심히적 신체적 변화 임산부의 주의사항 및 음식과 태교
[여성 생식기관][초경][월경][여성 생식과정][난자][임신][여성 성반응]여성 생식기관, 생식...
인공호흡기 사용법 및 간호
노화가 인체(순환기계, 호흡계, 신경계,내분비계 등)에 미치는 영향
[임신출산권(임신권 출산권)]임신출산권(임신권 출산권)의 IVF시술(시험관아기시술), 임신출...
ICU 에서 주로 쓰이는 진단명, 약물, 기계에 관하여 (복막염 (Peritonitis), 호흡 부전증(Res...
[산과환자를 위한 운동의 원리] 임신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변화, 임신 중 유산소운동 효과, ...
여성생식보고서 - 여성생식기계 The reproductive systems {여성 생식기계 구조, 월경주기, ...
[임신과 운동] 임신 중의 조직적 변화 및 생리적 변화, 운동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임신 중 ...
[동서협진과 CASE]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수두증 환자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