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산책 B형 남방문화와 북방문화, 남방 문화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세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문화산책 B형 남방문화와 북방문화, 남방 문화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중국문화산책 B형 남방

중국문화를 설명할 때 남방 문화와 북방 문화를 나누어 설명하기도 합니다. 남방-북방을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남방 문화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세요

목차

들어가는 말:

본론
1, 중국을 남방과 북방으로 구분하는 기준에 대하여
2, 중국의 음식문화, 남방의 음식문화
3,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 남방
4, 전란이 가져다 준 행운, 문화이주
(1) 항주-소주 및 운하
(2) 정치중심인물의 남방화
(3) 학술중심의 (남방)이주
5, 남방 도시지역의 특성
1) 상해지역의 문화적 특성
2) 광저우지역의 문화적 특성
3) 온주지역의 문화적 특성

나가는 말: 대대로 중국을 먹여 살린 남방지역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다. 문화의 결정적인 부분인 문자와 언어를 광저우와 홍콩은 함께 사용한다는 것으로부터 홍콩의 문화와 거의 같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중국의 표준어(北京話)를 사용하는 것보다도 방언인 광동어를 사용하는 면에서 자신의 지방 자부심이 나타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3) 온주지역의 문화적 특성
요즘 한국 TV프로에서 온주에 대한 소개가 많아지고 있다. 그럼 중국의 유태인으로 불리는 중국의 10대 상인 중에서 그 유명한 명성을 떨친 절상(浙商) 중에서도 제일 유명하고 대표적인 온상(溫商)의 고향인 온주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지를 한번 살펴보자. 온주는 지리적으로 절강성의 제일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건성, 동해를 인접하고 있다. 온주는 지리적으로 볼 때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다. 온주는 "三少一差" 즉, 3가지가 적고 1가지가 불편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3가지가 적다는 것으로는 첫째 땅이 작고 사람이 많다는 것이 며, 둘째, 중앙정부의 투자가 적다는 것으로 1939~1978년까지 30년 동안 국가의 투자는 5.6억 원이 정부이며, 셋째, 자원이 적다는 것으로 온주는 천연자
원이 거의 없다. 그리고 하나가 불편하다는 것은 개혁개방 이전에 교통이 불편하다는 뜻이다. 오늘날 온주의 민간 기업은 이러한 환경 속에서 발전 되었으며, 20년 동안 온주의 경제는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이러한 온주는 현재 중국의 새로운 부(富)의 상징으로 인식 되고 있으며, 민간에서 "고향이 어디냐"하고 물어 보았을 때 "온주입니다."라고 대답하면, 상대방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이 "돈이 많다"라고 생각할 수 있을 정도로 경제적인 지위가 높다.
나가는 말: 대대로 중국을 먹여 살린 남방지역
대대로 중국을 먹여 살린 남방지역이었다. 천혜의 자연조건으로 물산이 풍부하여 농산물이 풍부했던 남방 지역은 예로부터 운하와 해로를 통하여 중국 대륙 곳곳에 먹을 거리를 댔다. 중국경제중심은 당조 말에 북으로부터 남으로의 전이를 완성하였지만 전국의 문화중심은 여전히 장안-낙양-개봉의 동서축에 지류하였다. 남방은 여전히 "청명상하도"중의 묘사된 도시와 비할 수 있는 도시가 없었다. 북송시기 문화중심이 남으로 향하는 추세였지만 "이정"이 낙양에서 강의 하지만 제자들은 남인들이 많았다. 故程는 그의 제자 (1053-1135년)남귀 때 "吾道南矣"의 뜻이 있었다. 사는 송대 문학의 주체로서 지역성을 논하고 그 풍격, 소재, 정조 등은 모두 "남방문학"의 품성을 띠였다. 북송의 사가 전기의 晏殊, 修, 先, 柳永등은 모두 남인이고 후기의 , 庭, 秦, 周邦彦, 李照등도 다수가 강남이거나 그 주변에서 성장하였다. 당시의 화가와 서예가는 남인들이 많았다. 송대의 서적은 다수가 항주에서 인쇄되었으며 기타 두 인쇄중심은 복건과 천속인 남방지구였다. 후세에 전해지는 송대의 서적들로 보면 대부분 강남지구에서 출판되었다. 1126년에 폭발한 "정강의 난"은 문화중심의 남이를 유력하게 추진하였다. 당년 금인의 변경 공략하였으며 북방을 100여년 통치하였다. 송실은 진실과 흡사하게 강남으로 옮기였다. 송실의 남이와 중원세가, 북방장병은 "몇 천만이 서로부축 하여 남이 하였다. "이를 계기로 중국문화중심의 남이는 종국적으로 완성되었다.
참고문헌
공상철 외,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다락원, 2001). 김창호 역, 중국 상인 그 4천년의 지혜, 차오티엔솅 저, (가람기획, 2000),
김용준·김화, "중국 소비자의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문헌 연구", 국제
경영연구, 제11권1호, 2000. pp. 1-31.
김용준·홍준형, "중국 도시민의 문화적 기억과 소비문화의 지역성," 중국학연
구, 제36집, 2006, pp. 437-463.
김용준, CHINA MARKETING, (박영사, 2004).
김익수,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과 사례, (박영사, 2004).
백권호안종석, “중국의 지역간 문화차이에 관한 실증연구: 재중 한국 대기업 자회사
의 중국 종업원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제27집, 2004, pp. 325-351.
썬쟈, "중국지역문화를 알면 백전백승", LG주간경제, 2006. 10. 4, pp. 26-31.
안경준, 중국 몰라도 너무 모른다, (여백, 1998).
李宰碩 譯,중국문화개론, (東文選,2003)
이학식안광호하영원,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적 접근, 제4판, (법문사, 2006).
임종원김재일홍성태이유재, 소비자 행동론, 제2판, (경문사, 1999).
  • 가격2,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4.03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