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화 <인생> 줄거리
2. 중국 현대사의 주요 사회정치적 사건/상황
1) 항일전쟁 시기
2) 중국 국공내전 시대
3) 대약진운동
4) 문화 대혁명
3. 중국 현대사 사회정치적 사건/상황으로 영화 주인공의 가족 관계가 어떻게 굴절되었는지를 분석, 기술
1) 항일전쟁 시기 – 아버지의 죽음
2) 중국 국공내전 시대 – 어머니의 죽음
3) 대약진운동 시기 – 아들의 죽음
4) 문화 대혁명 시기 – 완에르시가 사위가 됨, 딸의 죽음, 손자 만두 탄생
Ⅲ. 결론
< 참고자료 >
Ⅱ. 본론
1. 영화 <인생> 줄거리
2. 중국 현대사의 주요 사회정치적 사건/상황
1) 항일전쟁 시기
2) 중국 국공내전 시대
3) 대약진운동
4) 문화 대혁명
3. 중국 현대사 사회정치적 사건/상황으로 영화 주인공의 가족 관계가 어떻게 굴절되었는지를 분석, 기술
1) 항일전쟁 시기 – 아버지의 죽음
2) 중국 국공내전 시대 – 어머니의 죽음
3) 대약진운동 시기 – 아들의 죽음
4) 문화 대혁명 시기 – 완에르시가 사위가 됨, 딸의 죽음, 손자 만두 탄생
Ⅲ. 결론
< 참고자료 >
본문내용
남자아이를 출산했지만, 산모는 출혈이 심해 생명이 위험하다. 어린 여자 의사는 자신은 아직 의대학생이라며 치료방법을 모른다고 말하면서, 왕교수가 치료할 수 있다고 말해서 왕교수를 불러보지만, 왕교수는 찐빵을 급작스럽게 너무 많이 먹어 체해서 기절해 있는 상태다. 안타깝게도 딸 펭시아는 치료도 제대로 받아 보지 못하고 숨을 거둔다.
이 시기는 문화 대혁명 시기(1966~1976)이다.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마오쩌뚱의 극좌노선을 반대했던 공산당 관료들과 지식인들과 토착 자본가들에 대해 무차별 폭력이 온 중국을 휩쓸었다. 그래서 지식인이었던 경력 있는 의사들은 모두 감옥에 갇혔고, 딸 펭시아가 제대로 된 치료도 받아 보지 못하고 사망하게 된 것이다.
Ⅲ. 결론
영화 <인생>을 통하여 중국의 1940년대부터의 근현대사를 개괄적으로 볼 수 있었다. <인생>의 장면을 차례대로 보면, 첫째, 항일전쟁 시기로 2차 국공합작(1937~1945년) 시대, 둘째, 국공내전(1945년~1949년)이 일어나고 중국은 공산당이 정권을 잡는다. 셋째, 마오쩌뚱은 1958년~1960년에는 대약진운동을 펼치지만 실패를 하고, 넷째, 1966년에는 문화 대혁명을 실시하지만 이 또한 중국의 역사에서 큰 고통을 안겨준다.
그리고 영화 <인생>에서는 후우꿰이와 지아젠 부부의 젊은 시절부터 노인이 될 때까지의 가정사도 볼 수 있었다. 후우꿰이는 부자 지주집 아들로 태어나 흥청망청 도박에 빠져 살다가 전 재산과 집을 날린다. 그리고 시간이 지난 후 공산당이 정권을 잡고 지주들은 처형을 당했는데, 만약 그때 지주였다면 자신이 처형을 당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약진운동시기에 학교에서 유퀸에게 철만들기에 참가하라고 할 때, 지아젠은 유퀸은 잠을 더 자게해야 한다며 철만들기에 참가시키지 말자고 하지만, 후우꿰이는 위원장도 검사하러 오고 우리를 위해서도 참가해야 한다고 한다. 결국 철만들기에 참가한 유퀸은 사고로 죽고 만다.
딸 펭시아가 결혼을 하고 임신까지 한다. 이 시기에는 지식인들은 모두 감옥에 갇혀 있어 병원에는 제대로된 의사가 없고 의대학생이 의사 노릇을 하고 있다. 펭시아는 남자아이를 출산했지만 출혈이 심하지만 어린 여자 의사는 제대로 치료하지 못한다. 이때 감옥에서 데리고 온 왕교수에게 치료받으려고 하지만 찐빵을 많이 먹어 체해서 기절해 있는 상태다. 결국 딸 펭시아는 제대로 치료받지도 못하고 죽고 만다.
시간이 지나고 펭시아의 아들 만두가 태어나고 후우꿰이, 지아젠, 완에르시, 만두는 아들 유퀸과 딸 펭시아의 무덤에 찾아간다. 그리고 후우꿰이는 만약 자신이 왕교수에게 찐빵을 많이 주지 않았다면 펭시아는 죽지 않았을 것이라며 자책하자 지아젠과 완에르시는 과거는 지나갔다고 말한다. 그리고 만두는 좋은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영화 <인생>을 통해 중국의 현대사의 여러 가지 여러 정치적 사건/상황을 겪으면서 후우꿰이 가정의 구성원들이 한명씩 희생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 결과에는 정치적 사건 외에 후우꿰이 자신의 선택의 실수도 있었다.
시간이 지나가면 사람들은 과거의 선택을 후회할 수도 있겠지만 과거를 후회하면서만 살 수는 없다. 좋지 않았던 과거는 빨리 잊어버리고 앞으로 더욱 잘 살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갖게 하는 영화다.
【 참고자료 】
백명녀(2008)「중국 전위미술에 있어서 마오쩌둥 이미지의 변화와 의미해석」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일환(2001)「毛澤東 시기 중국의 대외관계 인식에 관한 연구」중국연구 제27권
정석배(2009)「모택동 시대의 정치 상황이 중국 기독교에 미친 영향을 통한 중국 선교정책 연구」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 시기는 문화 대혁명 시기(1966~1976)이다.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마오쩌뚱의 극좌노선을 반대했던 공산당 관료들과 지식인들과 토착 자본가들에 대해 무차별 폭력이 온 중국을 휩쓸었다. 그래서 지식인이었던 경력 있는 의사들은 모두 감옥에 갇혔고, 딸 펭시아가 제대로 된 치료도 받아 보지 못하고 사망하게 된 것이다.
Ⅲ. 결론
영화 <인생>을 통하여 중국의 1940년대부터의 근현대사를 개괄적으로 볼 수 있었다. <인생>의 장면을 차례대로 보면, 첫째, 항일전쟁 시기로 2차 국공합작(1937~1945년) 시대, 둘째, 국공내전(1945년~1949년)이 일어나고 중국은 공산당이 정권을 잡는다. 셋째, 마오쩌뚱은 1958년~1960년에는 대약진운동을 펼치지만 실패를 하고, 넷째, 1966년에는 문화 대혁명을 실시하지만 이 또한 중국의 역사에서 큰 고통을 안겨준다.
그리고 영화 <인생>에서는 후우꿰이와 지아젠 부부의 젊은 시절부터 노인이 될 때까지의 가정사도 볼 수 있었다. 후우꿰이는 부자 지주집 아들로 태어나 흥청망청 도박에 빠져 살다가 전 재산과 집을 날린다. 그리고 시간이 지난 후 공산당이 정권을 잡고 지주들은 처형을 당했는데, 만약 그때 지주였다면 자신이 처형을 당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약진운동시기에 학교에서 유퀸에게 철만들기에 참가하라고 할 때, 지아젠은 유퀸은 잠을 더 자게해야 한다며 철만들기에 참가시키지 말자고 하지만, 후우꿰이는 위원장도 검사하러 오고 우리를 위해서도 참가해야 한다고 한다. 결국 철만들기에 참가한 유퀸은 사고로 죽고 만다.
딸 펭시아가 결혼을 하고 임신까지 한다. 이 시기에는 지식인들은 모두 감옥에 갇혀 있어 병원에는 제대로된 의사가 없고 의대학생이 의사 노릇을 하고 있다. 펭시아는 남자아이를 출산했지만 출혈이 심하지만 어린 여자 의사는 제대로 치료하지 못한다. 이때 감옥에서 데리고 온 왕교수에게 치료받으려고 하지만 찐빵을 많이 먹어 체해서 기절해 있는 상태다. 결국 딸 펭시아는 제대로 치료받지도 못하고 죽고 만다.
시간이 지나고 펭시아의 아들 만두가 태어나고 후우꿰이, 지아젠, 완에르시, 만두는 아들 유퀸과 딸 펭시아의 무덤에 찾아간다. 그리고 후우꿰이는 만약 자신이 왕교수에게 찐빵을 많이 주지 않았다면 펭시아는 죽지 않았을 것이라며 자책하자 지아젠과 완에르시는 과거는 지나갔다고 말한다. 그리고 만두는 좋은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영화 <인생>을 통해 중국의 현대사의 여러 가지 여러 정치적 사건/상황을 겪으면서 후우꿰이 가정의 구성원들이 한명씩 희생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 결과에는 정치적 사건 외에 후우꿰이 자신의 선택의 실수도 있었다.
시간이 지나가면 사람들은 과거의 선택을 후회할 수도 있겠지만 과거를 후회하면서만 살 수는 없다. 좋지 않았던 과거는 빨리 잊어버리고 앞으로 더욱 잘 살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갖게 하는 영화다.
【 참고자료 】
백명녀(2008)「중국 전위미술에 있어서 마오쩌둥 이미지의 변화와 의미해석」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일환(2001)「毛澤東 시기 중국의 대외관계 인식에 관한 연구」중국연구 제27권
정석배(2009)「모택동 시대의 정치 상황이 중국 기독교에 미친 영향을 통한 중국 선교정책 연구」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추천자료
영화`인생`을 통해본 중국의 현대사
영화 '인생'에 비친 중국의 근현대사
인생의 행복은 어디서 찾아오는 걸까? [영화감상문]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을 보고
영화 <송가황조>,<인생>을 감상하고나서
영화와 문화 인생 테마 “이키루 - 生きる : Living (살다) - 구로사와 아키라(1952)”
학습심리학, 인생의 안내자 멘토가 나오는 영화 '코치카터'를 읽고
내 인생의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중국영화계 5세대 감독] 장이모우 - 인생 감상평
『나의 장밋빛 인생』영화 감상 과제물
[인생은아름다워] 인생은 아름다워 감상문(영화, 감상문, 감상, 비평, 가족, 영화, 전쟁, 독...
과제1) 아동발달적 특성은 무엇이며 에릭슨과 프로이드의 발달단계론의 차이에 대해 논하시오...
[영화 감상문] 영화 『인생 (活着 / Lifetimes) 1994』을 보고
[영화 감상문] ≪인생 (活着 / Lifetimes) 199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