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이론
2. 실험 방법
3. 문제
4. 시뮬레이션 및 고찰
2. 실험 방법
3. 문제
4. 시뮬레이션 및 고찰
본문내용
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80.0~150.0ns까지 High값을 출력.
Y1의 경우 - 10.0~20.0ns에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20.0~90.0ns까지 High값을 출력.
Y2의 경우 - 50.0~60.0ns에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60.0~130.0ns까지 High값을 출력.
Y3의 경우 - 30.0~40.0ns에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40.0~110.0ns까지 High값을 출력.
시작되는 구간은 모두 달랐지만, 모두 총 8구간을 한 주기로 하는 파형이 나왔으며, 1Low, 7High의 파형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4개의 파형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Low값을 출력한다는 점인데, 이것이 바로 4상 클럭(4-Phase Clock)이다.
3) 오실로스코프를 에 동기 시키고 채널 A에 을 연결한 후 에 대하여 각 파형을 그려보아라.회로 구성 및 입·출력 값.
고찰
이번 시뮬레이션은 74139의 입력 A를 출력 Y0와 연결한 회로이다. 결과값을 분석해보면
Y0의 경우 - 계속해서 High값을 출력.
Y1의 경우 - 10.0~20.0ns에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20.0~70.0ns까지 High값을 출력, 다시 70.0~80.0ns에서 두 번째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80.0~90.ns까지 High값 출력.
Y2의 경우 - 계속해서 High값을 출력.
Y3의 경우 - 30.0~40.0ns에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40.0~50.0ns까지 High값을 출력, 다시 50.0~60.0ns에서 두 번째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60.0~110.ns까지 High값 출력.
Y0, Y2의 경우 계속해서 High값을 출력하였고, Y1, Y3는 시작되는 구간은 다르지만 총 8구간이 한 주기인 파형이 나왔다.
4) <그림 10-3>과 같은 파형이 나타나도록 <그림 10-2>의 회로를 변화시키고 측정하라. 회로 구성 및 입·출력 값.
고찰
이번 시뮬레이션은 실험 1의 회로를 수정하여 파형을 출력하는 실험인데, 시뮬레이션을 구동한 후 위의 회로가 3상 클럭(3-Phase Clock)을 구현하는 회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클럭에서 High값이 입력되면 와 에서 번갈아가면서 High값을 출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 경우 - 10.0~20.0ns에서 처음 High값을 출력, 그 이후에 20.0~50.0ns까지 Low값을 출력, 다시 50.0~60.0ns에서 두 번째 High값을 출력. 총 4구간을 한 주기로 하는 파형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의 경우 - 30.0~40.0ns에서 처음 High값을 출력, 그 이후에 40.0~70.0ns까지 Low값을 출력, 다시 70.0~80.0ns에서 두 번째 High값을 출력. 총 4구간을 한 주기로 하는 파형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와 모두 4구간을 한 주기로 하는 파형을 출력했으며, 클럭값에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High 값을 출력하는 3상 클럭(3-Phase Clock)이다.
Y1의 경우 - 10.0~20.0ns에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20.0~90.0ns까지 High값을 출력.
Y2의 경우 - 50.0~60.0ns에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60.0~130.0ns까지 High값을 출력.
Y3의 경우 - 30.0~40.0ns에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40.0~110.0ns까지 High값을 출력.
시작되는 구간은 모두 달랐지만, 모두 총 8구간을 한 주기로 하는 파형이 나왔으며, 1Low, 7High의 파형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4개의 파형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Low값을 출력한다는 점인데, 이것이 바로 4상 클럭(4-Phase Clock)이다.
3) 오실로스코프를 에 동기 시키고 채널 A에 을 연결한 후 에 대하여 각 파형을 그려보아라.회로 구성 및 입·출력 값.
고찰
이번 시뮬레이션은 74139의 입력 A를 출력 Y0와 연결한 회로이다. 결과값을 분석해보면
Y0의 경우 - 계속해서 High값을 출력.
Y1의 경우 - 10.0~20.0ns에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20.0~70.0ns까지 High값을 출력, 다시 70.0~80.0ns에서 두 번째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80.0~90.ns까지 High값 출력.
Y2의 경우 - 계속해서 High값을 출력.
Y3의 경우 - 30.0~40.0ns에서 처음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40.0~50.0ns까지 High값을 출력, 다시 50.0~60.0ns에서 두 번째 Low값을 출력, 그 이후에 60.0~110.ns까지 High값 출력.
Y0, Y2의 경우 계속해서 High값을 출력하였고, Y1, Y3는 시작되는 구간은 다르지만 총 8구간이 한 주기인 파형이 나왔다.
4) <그림 10-3>과 같은 파형이 나타나도록 <그림 10-2>의 회로를 변화시키고 측정하라. 회로 구성 및 입·출력 값.
고찰
이번 시뮬레이션은 실험 1의 회로를 수정하여 파형을 출력하는 실험인데, 시뮬레이션을 구동한 후 위의 회로가 3상 클럭(3-Phase Clock)을 구현하는 회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클럭에서 High값이 입력되면 와 에서 번갈아가면서 High값을 출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 경우 - 10.0~20.0ns에서 처음 High값을 출력, 그 이후에 20.0~50.0ns까지 Low값을 출력, 다시 50.0~60.0ns에서 두 번째 High값을 출력. 총 4구간을 한 주기로 하는 파형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의 경우 - 30.0~40.0ns에서 처음 High값을 출력, 그 이후에 40.0~70.0ns까지 Low값을 출력, 다시 70.0~80.0ns에서 두 번째 High값을 출력. 총 4구간을 한 주기로 하는 파형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와 모두 4구간을 한 주기로 하는 파형을 출력했으며, 클럭값에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High 값을 출력하는 3상 클럭(3-Phase Clock)이다.
추천자료
농업직, 프로그래머, 전자상거래전문인, 전기공학기술자, PD, 방송스크립터, 여행안내원, 신...
전자전기공학 ㅡ다양한 전기전자 잡재
[전자전기공학] 반도체 생산공정
전기공학에 있어서 공학윤리
[전자전기공학] 저항 콘덴서 코일 특성 - Resistor, capacitor, Inductor의 특성과 응용
[전기전자기초실험] 휘스톤 브릿지 실험 : Wheatston\'s bridge의 구조와 사용법을 익히고, ...
기초전기회로실험 - 직렬 연결된 저항기에 걸리는 전압강하의 합과 인가전압 사이의 관계 실험
기초전기회로실험 - 직렬, 병렬회로의 총 저항 Rt를 구하기 위한 규칙들을 실험
디지털실험 - 설계 2 결과 보고서
디지털실험 - 실험 10. 4-Phase clock 발생기 결과
디지털실험 - 실험 11. 멀티 바이브레이터 결과
디지털실험 - 실험 9. 플립플롭의 기능 결과
디지털실험 - 설계 1 결과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