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노자
▷▶ 노자 사상의 연원
▷▶ 노자의 등장
▷▶ 새로운 질서 건립의 꿈
▷▶ (도덕경에 나타난)자연의 개념
▷▶ 도가의 우주론
▷▶ 이 세상에 적용해야 할 자연의 질서 : 도
▷▶ 중심은 없다
▷▶ 도가 사상의 현대적 의의
▷▶ 노자 사상의 연원
▷▶ 노자의 등장
▷▶ 새로운 질서 건립의 꿈
▷▶ (도덕경에 나타난)자연의 개념
▷▶ 도가의 우주론
▷▶ 이 세상에 적용해야 할 자연의 질서 : 도
▷▶ 중심은 없다
▷▶ 도가 사상의 현대적 의의
본문내용
오라는 뜻이다.
♤ 자발성에 의한 충실한 삶->자발성에 의한 분산적 국가 -> ‘소국과민(小國寡民)
▷▶ 도가 사상의 현대적 의의
▷ 삶의 현장인 사회가 갖추어야 할 기초적 윤리 규범을 학습하는 중요한 생활 윤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 우주와 인간 본성에 대한 근원적 깨달음을 통해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간의 조화를 추구한다.
▷ 무분별한 과학문명의 개발과 자연파괴 등으로부터 우리 인간들을 각성하게 하는 반성의 잣대가 된다.
▷ 무위자연의 정신을 본받아 인위적인 가식과 위선에서 벗어나 자연스럽고 정직한 삶을 살게 하는 지침이 된다.
▷ 거피취차에서 말한 것처럼 헛된 꿈보다는 현실에 만족하고 자신의 구체적인 삶을 소중히 여기게 해주는 의의를 갖는다.
◁◀ 노자 ▷▶
▶ 자연 : 노자에게 있어서의 자연의 개념은 물리적 자연이 아니라 말 그대로 ‘스스로 그러함’의 의미로 인위적인 것이 배제된 상태의 자연을 말한다.
▶ 무위자연 : 자연은 특정한 의지나 욕망을 따라 움직이지 않으며, 문화적 체계에 의해 재단되어 구분되거나 이름이 붙는 그러한 공정을 허용하지 않는다.
▶ 도 : 진정한 질서의 원천을 도라 이름 짓고 자연의 모습을 모델로 사회에 적용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도는 어떠한 근원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 자연주의 : 모든 것이 관계 속에서 존재하므로 인간 또한 자연에 비해 우월한 존재가 아님을 명시하였으나 그의 자연주의는 인간 지위를 특별히 존엄히 여기지 않았다는 것일 뿐이지 원시적 자연성을 회복하자는 뜻의 자연주의는 아니었다.
▶ 거피취차 :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자”는 의미로 멀리 도달해야할 이상향을 버리고 구체적이고 개별적이며 자발적인 우리의 삶에 충실하고 그 속에서 가치를 찾아야 한다고 보았다.
▶ 소국과민 : 자발성에 의한 충실한 삶을 바탕으로 분산적 국가를 이상적이라 보았으며 따라서 나라의 형태는 소국과민이 가장 적절하다고 보았다.
▶ 인간관 : 노자는 인간의 본성을 선 혹은 악으로 구분하지 않고 인간은 천성적으로 자연의 질서를 본받아 태어난 상태라고 파악하고, 그러한 자연적 상태를 어기고 인위적인 것을 따르는 인간은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라 보았다.
▶ 한계 : 노자는 이상향을 세우는 것과 그 이상으로의 지향성을 거부하면서 이상적인 인간모습과 이상적인 국가를 설정하는 논리적 모순을 지니고 있다. 이는 후에 장자에 의해 비판받기도 하였다.
♤ 자발성에 의한 충실한 삶->자발성에 의한 분산적 국가 -> ‘소국과민(小國寡民)
▷▶ 도가 사상의 현대적 의의
▷ 삶의 현장인 사회가 갖추어야 할 기초적 윤리 규범을 학습하는 중요한 생활 윤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 우주와 인간 본성에 대한 근원적 깨달음을 통해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간의 조화를 추구한다.
▷ 무분별한 과학문명의 개발과 자연파괴 등으로부터 우리 인간들을 각성하게 하는 반성의 잣대가 된다.
▷ 무위자연의 정신을 본받아 인위적인 가식과 위선에서 벗어나 자연스럽고 정직한 삶을 살게 하는 지침이 된다.
▷ 거피취차에서 말한 것처럼 헛된 꿈보다는 현실에 만족하고 자신의 구체적인 삶을 소중히 여기게 해주는 의의를 갖는다.
◁◀ 노자 ▷▶
▶ 자연 : 노자에게 있어서의 자연의 개념은 물리적 자연이 아니라 말 그대로 ‘스스로 그러함’의 의미로 인위적인 것이 배제된 상태의 자연을 말한다.
▶ 무위자연 : 자연은 특정한 의지나 욕망을 따라 움직이지 않으며, 문화적 체계에 의해 재단되어 구분되거나 이름이 붙는 그러한 공정을 허용하지 않는다.
▶ 도 : 진정한 질서의 원천을 도라 이름 짓고 자연의 모습을 모델로 사회에 적용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도는 어떠한 근원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 자연주의 : 모든 것이 관계 속에서 존재하므로 인간 또한 자연에 비해 우월한 존재가 아님을 명시하였으나 그의 자연주의는 인간 지위를 특별히 존엄히 여기지 않았다는 것일 뿐이지 원시적 자연성을 회복하자는 뜻의 자연주의는 아니었다.
▶ 거피취차 :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자”는 의미로 멀리 도달해야할 이상향을 버리고 구체적이고 개별적이며 자발적인 우리의 삶에 충실하고 그 속에서 가치를 찾아야 한다고 보았다.
▶ 소국과민 : 자발성에 의한 충실한 삶을 바탕으로 분산적 국가를 이상적이라 보았으며 따라서 나라의 형태는 소국과민이 가장 적절하다고 보았다.
▶ 인간관 : 노자는 인간의 본성을 선 혹은 악으로 구분하지 않고 인간은 천성적으로 자연의 질서를 본받아 태어난 상태라고 파악하고, 그러한 자연적 상태를 어기고 인위적인 것을 따르는 인간은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라 보았다.
▶ 한계 : 노자는 이상향을 세우는 것과 그 이상으로의 지향성을 거부하면서 이상적인 인간모습과 이상적인 국가를 설정하는 논리적 모순을 지니고 있다. 이는 후에 장자에 의해 비판받기도 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