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G2의 시대-베이징 컨센서스란?
2. : 사회주의에 자본주의 더하기
3. : 세계에 뻗는 소프트 파워
4. 결론 : 21c의 중국
-참고문헌
2. : 사회주의에 자본주의 더하기
3. : 세계에 뻗는 소프트 파워
4. 결론 : 21c의 중국
-참고문헌
본문내용
슈퍼파워가 될 것이라는 주장들은(대체로 서구학자들) 필자의 생각으로는 너무나도 과도한 예측이다. 미국 역시 호락호락한 상대는 아닌 만큼 미국 중심의 현 세계질서가 중국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될 것이라 생각하는 것은 무리한 해석이며, 앞에서 열거한 문제들은 중국 내부에 도사리는 시한 폭탄과도 같다.
하지만 ‘G2’의 형성 자체만을 봐도 알 수 있을만큼 날로 변화하고 있는 중국의 위상을 생각한다면, 베이징 컨센서스의 발전과 영향력 확대는 앞으로는 계속될 전망이다. 이는 엄연한 사실이고 그로인해 야기될 국제질서의 변화가 적지 않음 또한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가장 큰 관건은 미국과의 관계인데, 중국은 ‘화평굴기’를 내세우며 미국과의 대결보다는 우호를 중시하는 ‘현명한’ 처사를 하고 있다. 앞으로 미국이 중국을 국제사회를 함께 이끌어 갈 동반자로 인정하느냐, 아니면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 안으로 편입시키려 노력하느냐 하는 문제는 향후 미래의 국제 질서에 중요한 부분이다. 새국가에 대한 지도체제, 미국과의 대외관계등 미래의 중국에 대한 비전들은 베이징의 지도자들의 머릿속에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서진영, 『(21세기) 중국정치:'성공의 역설'과 중국적 사회주의의 미래, 폴리테이아, 2008.
전성흥, 「전환기의 중국 사회 I」, 오름, 2004.
매일경제 국제부 중국팀, 『G2 시대, 매일경제 신문사, 2009.
마틴 자크, 안세민 역,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 : 패권국가 중국은 천하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부키, 2010.
왕시아오훼이, 손상하 역, 「등소평과 21세기 중국의 전략」, 유스북, 2005.
하지만 ‘G2’의 형성 자체만을 봐도 알 수 있을만큼 날로 변화하고 있는 중국의 위상을 생각한다면, 베이징 컨센서스의 발전과 영향력 확대는 앞으로는 계속될 전망이다. 이는 엄연한 사실이고 그로인해 야기될 국제질서의 변화가 적지 않음 또한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가장 큰 관건은 미국과의 관계인데, 중국은 ‘화평굴기’를 내세우며 미국과의 대결보다는 우호를 중시하는 ‘현명한’ 처사를 하고 있다. 앞으로 미국이 중국을 국제사회를 함께 이끌어 갈 동반자로 인정하느냐, 아니면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 안으로 편입시키려 노력하느냐 하는 문제는 향후 미래의 국제 질서에 중요한 부분이다. 새국가에 대한 지도체제, 미국과의 대외관계등 미래의 중국에 대한 비전들은 베이징의 지도자들의 머릿속에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서진영, 『(21세기) 중국정치:'성공의 역설'과 중국적 사회주의의 미래, 폴리테이아, 2008.
전성흥, 「전환기의 중국 사회 I」, 오름, 2004.
매일경제 국제부 중국팀, 『G2 시대, 매일경제 신문사, 2009.
마틴 자크, 안세민 역,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 : 패권국가 중국은 천하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부키, 2010.
왕시아오훼이, 손상하 역, 「등소평과 21세기 중국의 전략」, 유스북,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