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시간표집법
2. 시간표집법 관찰을 통한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1)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에 대한 조작적인 정의와 선정 근거
2)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을 선정하게 된 이유와 목적
3)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관찰 과정과 방법
4)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시간표집법 관찰기록용지
5)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관찰행동의 해석
6)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관찰행동의 시사점
Ⅲ. 결 론
Ⅱ. 본 론
1. 시간표집법
2. 시간표집법 관찰을 통한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1)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에 대한 조작적인 정의와 선정 근거
2)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을 선정하게 된 이유와 목적
3)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관찰 과정과 방법
4)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시간표집법 관찰기록용지
5)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관찰행동의 해석
6)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관찰행동의 시사점
Ⅲ. 결 론
본문내용
는 것이고 이로 인해 또래를 밀어내는 공격적인 행동이 상호간에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시기의 관계형성 과정에서 유아들은 정서적인 표현을 보이고, 신체적 공격으로 표현하기 행동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의도적 참여시기 에서 하원이는 또래 유아들과 갈등이 생기면 자신의 상황을 교사에게 알리면서 정서적인 반응 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행동은 얼굴을 찡그리거나, 우는 행동으로 보였고, 이러한 상황에서 하원이는 교사를 매개로하여 관계를 시도하였다.
하원이는 또래 친구들과 놀이하고 싶어서 교사와 상대 유아가 놀이하고 있을 때 다가가 교사에게 놀잇감을 주어 교사를 매개로하여 놀이 참여를 시도하거나, 또래유아에게 말없이 놀잇감을 제공하기도 하며, 또래 앞으로 다가와 같이하자~ 라고 말하는 방법을 시도하여 관계를 지속적으로 시도하였다.
이러한 의도적 참여시기의 관계형성 과정에서 하원이는 교사를 매개로한 관계맺기 시도하고, 놀잇감을 제공하였다.
또 놀잇감으로 관계를 시도하기위하여 언어로 놀이를 제안하기도 하며, 화해를 시도하기 행동을 보였다.
넷째, 또래와 함께 놀이하는 시기에서는 하원이가 또래와 함께 놀이를 직접 시도하는 모습이 보였는데, 하원이는 언어로 놀이를 제안하므로 관계의 의도를 명확히 하였다.
이는 하원이가 친사회적 행동을 보인 것으로서, 놀잇감을 건네거나, 또래의 소유 놀잇감이라고 이야기해 주면서 하원이의 사회적 관계는 친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또래와 함께 놀이하는 상황으로 변해갔다.
하원이는 상대의 상황을 보며 또래에 관심을 보이거나 놀이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상대의 감정과 정서를 살피고 나의 제안이 비언어적인 것이든 언어적인 것이든 상대가 수락했는지를 확인하는 시간을 갖는 양상을 보였다.
6)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관찰행동의 시사점
영은이는 친사회적 행동을 보였는데, 놀잇감을 건네거나, 또래의 소유 놀잇감이라고 이야기해주면서 영아들의 사회적 관계는 친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또래와 함께 놀이하는 상황으로 변해갔다.
영은이는 상대의 상황을 보며 또래에 관심을 보이거나 놀이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상대의 감정과 정서를 살피고 나의제안이 비언어적인 것이든 언어적인 것이든 상대가 수락했는지를 확인하는 시간을 갖는 양상을 보였다.
다시 말하자면 영은이는 사회적 관계형성과정에서 갈등은 놀잇감 소유에서 시작된 공격행동으로서, 상대가 공격하면 나도 공격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관찰이 진행되는 동안 놀잇감 제공하기를 통한 관계시도와 함께 놀이를 제안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고, 상대의 기분을 먼저 살피고 상대에게 친사회적 행동을 하였다.
또래 유아의 마음이 관계를 수락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영아들은 또래와의 관계맺음에 미소를 보이며 서로의 관계를 확인 하였다.
이는 2세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에서 보여지는 유아들의 행동은 단순히 사물을 건네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대 유아에 대한 감정이나 정서를 살피고 적절한 타이밍에 다가가고 대상유아가 수락함을 확인하고 기뻐하는 모습 속에서 영아들의 사회적 관계형성 시도행동 또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Ⅲ. 결 론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형성에서 관계맺음의 주체는 유아이다.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의 시작은 갈등에서 부터인데, 이러한 갈등은 놀잇감의 소유에서 나왔다.
놀잇감은 이 시기 유아의 또래 간 사회적 관계 형성에 있어서 부정적, 긍정적인 역할을 동시에 하는 매개물이 되었다.
유아들은 또래들과의 사회적 관계형성에서 대상에 따라 다른 전략을 시도하며, 1세 영아들은 새로운 대상을 만났을 때 그 대상과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회적 관계 능력’을 가지게 되는데, 이 시기에는「사회적 기술」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질적인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유아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이라는 점에서 관찰이 갖는 교육적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겠다.
- 참고 자료 -
가. 김재은(1991), “유아의 발달심리”, 서울: 창지사.
나. 김희진박은혜이지현 저(200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관찰”, 창지사.
다. 우현경(1998), “걸음마기 유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라. 홍순정백순근 공저(2003), “유아연구 및 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마. 황해익 저(2000), “유아교육평가”, 양서원.
이러한 관계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시기의 관계형성 과정에서 유아들은 정서적인 표현을 보이고, 신체적 공격으로 표현하기 행동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의도적 참여시기 에서 하원이는 또래 유아들과 갈등이 생기면 자신의 상황을 교사에게 알리면서 정서적인 반응 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행동은 얼굴을 찡그리거나, 우는 행동으로 보였고, 이러한 상황에서 하원이는 교사를 매개로하여 관계를 시도하였다.
하원이는 또래 친구들과 놀이하고 싶어서 교사와 상대 유아가 놀이하고 있을 때 다가가 교사에게 놀잇감을 주어 교사를 매개로하여 놀이 참여를 시도하거나, 또래유아에게 말없이 놀잇감을 제공하기도 하며, 또래 앞으로 다가와 같이하자~ 라고 말하는 방법을 시도하여 관계를 지속적으로 시도하였다.
이러한 의도적 참여시기의 관계형성 과정에서 하원이는 교사를 매개로한 관계맺기 시도하고, 놀잇감을 제공하였다.
또 놀잇감으로 관계를 시도하기위하여 언어로 놀이를 제안하기도 하며, 화해를 시도하기 행동을 보였다.
넷째, 또래와 함께 놀이하는 시기에서는 하원이가 또래와 함께 놀이를 직접 시도하는 모습이 보였는데, 하원이는 언어로 놀이를 제안하므로 관계의 의도를 명확히 하였다.
이는 하원이가 친사회적 행동을 보인 것으로서, 놀잇감을 건네거나, 또래의 소유 놀잇감이라고 이야기해 주면서 하원이의 사회적 관계는 친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또래와 함께 놀이하는 상황으로 변해갔다.
하원이는 상대의 상황을 보며 또래에 관심을 보이거나 놀이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상대의 감정과 정서를 살피고 나의 제안이 비언어적인 것이든 언어적인 것이든 상대가 수락했는지를 확인하는 시간을 갖는 양상을 보였다.
6) 『유아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관찰행동의 시사점
영은이는 친사회적 행동을 보였는데, 놀잇감을 건네거나, 또래의 소유 놀잇감이라고 이야기해주면서 영아들의 사회적 관계는 친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또래와 함께 놀이하는 상황으로 변해갔다.
영은이는 상대의 상황을 보며 또래에 관심을 보이거나 놀이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상대의 감정과 정서를 살피고 나의제안이 비언어적인 것이든 언어적인 것이든 상대가 수락했는지를 확인하는 시간을 갖는 양상을 보였다.
다시 말하자면 영은이는 사회적 관계형성과정에서 갈등은 놀잇감 소유에서 시작된 공격행동으로서, 상대가 공격하면 나도 공격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관찰이 진행되는 동안 놀잇감 제공하기를 통한 관계시도와 함께 놀이를 제안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고, 상대의 기분을 먼저 살피고 상대에게 친사회적 행동을 하였다.
또래 유아의 마음이 관계를 수락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영아들은 또래와의 관계맺음에 미소를 보이며 서로의 관계를 확인 하였다.
이는 2세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에서 보여지는 유아들의 행동은 단순히 사물을 건네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대 유아에 대한 감정이나 정서를 살피고 적절한 타이밍에 다가가고 대상유아가 수락함을 확인하고 기뻐하는 모습 속에서 영아들의 사회적 관계형성 시도행동 또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Ⅲ. 결 론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형성에서 관계맺음의 주체는 유아이다.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의 시작은 갈등에서 부터인데, 이러한 갈등은 놀잇감의 소유에서 나왔다.
놀잇감은 이 시기 유아의 또래 간 사회적 관계 형성에 있어서 부정적, 긍정적인 역할을 동시에 하는 매개물이 되었다.
유아들은 또래들과의 사회적 관계형성에서 대상에 따라 다른 전략을 시도하며, 1세 영아들은 새로운 대상을 만났을 때 그 대상과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회적 관계 능력’을 가지게 되는데, 이 시기에는「사회적 기술」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질적인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유아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이라는 점에서 관찰이 갖는 교육적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겠다.
- 참고 자료 -
가. 김재은(1991), “유아의 발달심리”, 서울: 창지사.
나. 김희진박은혜이지현 저(200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관찰”, 창지사.
다. 우현경(1998), “걸음마기 유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라. 홍순정백순근 공저(2003), “유아연구 및 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마. 황해익 저(2000), “유아교육평가”, 양서원.
키워드
추천자료
[유아연구및평가]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하시오.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발도르프 프로그램 -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발도르프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4공통) 1. 뱅크bank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B형]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과 이를 위한 교사의 역할 및 환경구성에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유아평가의 방법- 관찰법 및 면접법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유아평가의 실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