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물사 루쉰 - 루쉰, 교육과 계몽 - 사상 형성 배경을 위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인물사 루쉰 - 루쉰, 교육과 계몽 - 사상 형성 배경을 위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며-왜 루쉰인가

Ⅱ. 루쉰 일대기-신해혁명 이전을 중심으로

Ⅲ. 루쉰의 사상-계몽주의와 교육관

Ⅳ. 나가며- 신해혁명 이후와 평가

본문내용

또, 전통을 단절시키는 인물로 보이기도 해서 루쉰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루쉰의 업적은 무시되어질 수 없다고 사료된다. 즉, 그가 봉건 중국 사회에서부터 현대 중국으로 변모시키려고 하려한 노력은 무시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위에서 논한 것처럼 루쉰은 전통 파괴자이자 서구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인물로 그려질 수도 있다. 그러나 그가 추구했던 것은 서구나 개인의 영달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중국의 발전을 위해 중국인들을 계몽코자 한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빼놓고 루쉰을 평가하기에는 모자람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또한, 루쉰과 같은 노력이 없었다면, 중국이 봉건에서 근대, 근대에서 현대로 이행되는 과정은 더딜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루쉰에 대한 평가는 보다 긍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그가 좌익 작가로 분리되었기도 하지만 누구보다도 좌익 계열 쪽을 냉정하게 비판하였다. 그는 어느 사상에 매몰되지 않고 지극히 현실적이고 최대한의 객관성을 바탕으로 상황들을 판단해 내려고 했다. 루쉰의 이러한 현실적이고 객관적이고자 노력한 면에서 ‘초인’의 기상을 느낀다.
※ 참고문헌
다케우치 요시미, 『루쉰』, 문학과 지성사, 2003
천광중, 『풍경: 베이징 古家와 중국근대사 인물이야기에서 역사를 보다』, 현암사, 2007
이옥희, 「루쉰의 계몽주의적 교육관」 , 유관순 연구 제13호, 2008
조경란, 「고뇌하는 영혼, 루쉰: 개인의 자유와 중국의 길」, 역사비평 79호, 2007
황희경, 「루쉰, 현대 중국 최고의 성인」, 사회비평 38호, 200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4.15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3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