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국의 자원봉사활동
1) 자원봉사 발전과정
2) 자원봉사조직
2. 영국의 자원봉사활동
1) 자원봉사 발전과정
2) 자원봉사조직
3. 일본의 자원봉사활동
1) 자원봉사 변천과정
2) 자원봉사조직
1) 자원봉사 발전과정
2) 자원봉사조직
2. 영국의 자원봉사활동
1) 자원봉사 발전과정
2) 자원봉사조직
3. 일본의 자원봉사활동
1) 자원봉사 변천과정
2) 자원봉사조직
본문내용
도시 의 경우 270가구당 1인, 농촌의 경우 120가구당 1명씩 임명되어 있다. 이들의 평균연령 은 남자 58.5세, 여자 55.6세로 지역사회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연령대이다.
② 일본청소년봉사협회
1967년에 발족한 일본청소년봉사협회(NVA:Japan Youth Volunteer Association)는 청년들의 자원봉사를 위한 전국센터의 역할을 할 만큼 폭넓은 활동을 벌이고 있고, 특징 적 프로그램으로 18-30세까지의 청년이 매년 4월부터 1년 동안 집을 떠나 교육·복지 의료 등의 국제협력에 참가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또한 아시아 지역의 청소년 자원봉사 지도자들을 초청하여 매년 연수를 실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사회복지분야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참가하고 있다.
③ 공동모금회
일본 각 분야의 자원봉사자를 총괄해서 연말에 벌이고 있는 전국적 모금운동조직이다 이 모금운동은 매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실시되고 있으며 일왕 및 수상과 장관 그리고 각종 매스컴 단체들이 협조하여 실시하고 있는 전국적 모금운동이다. 공동모금운동은 어려운 계층을 돕기 위한 지역사회의 자주적 활동으로 민간 사회복지단체의 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으로 국민이 자발적으로 조성하는 전국적 국민운동이다.
④ 광역 볼런티어의 범주 연락회의
일본 자원봉사활동의 조직은 최근 사회복지협의회 외에도 학교나 기업들이 참여하는 전국 조직체의 결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1994년 5월에 창립된 '광역 볼런티어의 범주 연락회의는 전국적으로 사회복지협의회에 일본 상공회의소, 일본노총, 전국농협중앙회, YMCA의 청소년 단체 등 41개 단체가 모여 결성한 것이다 .광역 볼런티어의 범주 연락 회의는 사회복지협의회에 사무국을 두고 있으며 고베지진 당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이 기구는 국민 각 계층의 볼런티어 활동에 대한 관심을 실제 경험으로 연결하기 위해 7-8월을 볼런티어 기간으로 정하고 각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⑤ 사회복지협의회
일본에서 자원봉사의 중추기관역할을 맡아 온 기관은 1951년에 설립된 민간기관인 사 회복지협의회이며, 사회복지협의회 내에 1959년에는 자원봉사연구회가 조직되어 처음에는 선의 은행으로 불리다가 뒤에 자원봉사센터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후생성이 1973년부터 자원봉사 프로그램 지원비를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1975년 협의회의 부설 기관으로 전국 자원봉사활동 진흥센터를 설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고, 진흥센터의 역할을 자원봉사센터 기능을 수행하는 지방 사회복지협의회들을 위한 연락, 조정기관으로 봉사하며, 직원개발훈련, 정보보급, 자원봉사 인식제고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현재 일본 내의 자원봉사의 일반적 상태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사회복지협의회는 또한 1977년 이래 초·중·고등학교들을 자원봉사협력교로 지정하여 학생들의 자원봉사운동을 펴 왔으며, '복지마을 만들기' 사업도 전개하고 있다.
⑥ 기업의 자원봉사
일본에서도 1970년대 이후 고도의 경제성장과 기업확대에 대한 사회적 반응으로 반기 업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일본 경제단 체연합(경단련)은 1990년 자원봉사활동 및 모금활동의 창구가 되는 '사회공헌부를 개설 하였고, 1% 클럽이라 하여 세전 이익(매출액)의 1%와 시간의 1%를 사회봉사활동에 사용 하자는 데 동의하는 기업들의 모임을 이끌고 있다. 경단련의 이 1% 나누기 운동에는 개인회원 500명에 참여 기업 250개가 가입되어 있다 아울러 BCC(Better Corporate Citizenship)라는 더욱 적극적으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기업이 되자는 운동도 이끌고 있다.
② 일본청소년봉사협회
1967년에 발족한 일본청소년봉사협회(NVA:Japan Youth Volunteer Association)는 청년들의 자원봉사를 위한 전국센터의 역할을 할 만큼 폭넓은 활동을 벌이고 있고, 특징 적 프로그램으로 18-30세까지의 청년이 매년 4월부터 1년 동안 집을 떠나 교육·복지 의료 등의 국제협력에 참가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또한 아시아 지역의 청소년 자원봉사 지도자들을 초청하여 매년 연수를 실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사회복지분야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참가하고 있다.
③ 공동모금회
일본 각 분야의 자원봉사자를 총괄해서 연말에 벌이고 있는 전국적 모금운동조직이다 이 모금운동은 매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실시되고 있으며 일왕 및 수상과 장관 그리고 각종 매스컴 단체들이 협조하여 실시하고 있는 전국적 모금운동이다. 공동모금운동은 어려운 계층을 돕기 위한 지역사회의 자주적 활동으로 민간 사회복지단체의 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으로 국민이 자발적으로 조성하는 전국적 국민운동이다.
④ 광역 볼런티어의 범주 연락회의
일본 자원봉사활동의 조직은 최근 사회복지협의회 외에도 학교나 기업들이 참여하는 전국 조직체의 결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1994년 5월에 창립된 '광역 볼런티어의 범주 연락회의는 전국적으로 사회복지협의회에 일본 상공회의소, 일본노총, 전국농협중앙회, YMCA의 청소년 단체 등 41개 단체가 모여 결성한 것이다 .광역 볼런티어의 범주 연락 회의는 사회복지협의회에 사무국을 두고 있으며 고베지진 당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이 기구는 국민 각 계층의 볼런티어 활동에 대한 관심을 실제 경험으로 연결하기 위해 7-8월을 볼런티어 기간으로 정하고 각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⑤ 사회복지협의회
일본에서 자원봉사의 중추기관역할을 맡아 온 기관은 1951년에 설립된 민간기관인 사 회복지협의회이며, 사회복지협의회 내에 1959년에는 자원봉사연구회가 조직되어 처음에는 선의 은행으로 불리다가 뒤에 자원봉사센터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후생성이 1973년부터 자원봉사 프로그램 지원비를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1975년 협의회의 부설 기관으로 전국 자원봉사활동 진흥센터를 설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고, 진흥센터의 역할을 자원봉사센터 기능을 수행하는 지방 사회복지협의회들을 위한 연락, 조정기관으로 봉사하며, 직원개발훈련, 정보보급, 자원봉사 인식제고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현재 일본 내의 자원봉사의 일반적 상태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사회복지협의회는 또한 1977년 이래 초·중·고등학교들을 자원봉사협력교로 지정하여 학생들의 자원봉사운동을 펴 왔으며, '복지마을 만들기' 사업도 전개하고 있다.
⑥ 기업의 자원봉사
일본에서도 1970년대 이후 고도의 경제성장과 기업확대에 대한 사회적 반응으로 반기 업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일본 경제단 체연합(경단련)은 1990년 자원봉사활동 및 모금활동의 창구가 되는 '사회공헌부를 개설 하였고, 1% 클럽이라 하여 세전 이익(매출액)의 1%와 시간의 1%를 사회봉사활동에 사용 하자는 데 동의하는 기업들의 모임을 이끌고 있다. 경단련의 이 1% 나누기 운동에는 개인회원 500명에 참여 기업 250개가 가입되어 있다 아울러 BCC(Better Corporate Citizenship)라는 더욱 적극적으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기업이 되자는 운동도 이끌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관 방문지 - 창동종합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론] 거주지역 사회조사를 토대로 지역사회 복지계획 수립(수원)
[지역사회복지론] 1990년대 이후의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 변화와 발전에 대해 - 지역사회복...
[지역사회복지론] 현대적 의미에서의 지역사회의 역량에 대하여 논하시오 :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관과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대한 발전방안...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발전과 변화를 위한 사회운동과 시민참여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
[지역사회복지론] 자신의 지역에 소재한 사회복지시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전...
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 내 사회복지기관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조사
[지역사회복지론] 자신의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발적인 지역사회조직을 찾아서 활동을 정...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 기관 간의 네트워킹에 대한 사례를 찾아 제시하고 해당 사례와 관...
[지역사회복지론] 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이론에 대해 정리하고,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미치는...
[지역사회복지론] 최근 우리나라 사회문제 중 사회행동 전략을 통해 문제해결이 가능한 이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