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례보고서
1. 일반적 배경 -------------------------------------- p. 1
2. 건강력(Health history) ------------------------------ p. 1~2
1) 주호소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3. 간호력(Nursing history) ------------------------------ p. 2~6
1) 건강지각-건강관리 양상
2) 영양-대사 양상
3) 배설 양상
4) 활동-운동 양상
5) 수면-휴식 양상
6) 인지-지각 양상
7) 자아인식-자아개념 양상
8) 역할-관계 양상
9) 성-생식기능 양상
10) 대응-스트레스 내성 양상
11) 가치-신념 양상
4. 신체검진 ----------------------------------------- p. 6~7
5. 진단 검사 ---------------------------------------- p. 8~9
1) 혈액 검사
2) 소변검사
3) 방사선 검사
4) 특수 검사
6. 약물 ------------------------------------------------------- p. 10~11
7. 수술방법 및 과정의 서술 ------------------------------------ p. 12
8. 비정상 자료 목록 ------------------------------------------- p. 12~13
9. 문제도출 --------------------------------------------------- p. 13~14
10. 간호과정 -------------------------------------------------- p. 15~18
1) 외과적 두부조직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2) 외과적 두부조직 절개로 인한 외과적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1. 일반적 배경 -------------------------------------- p. 1
2. 건강력(Health history) ------------------------------ p. 1~2
1) 주호소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3. 간호력(Nursing history) ------------------------------ p. 2~6
1) 건강지각-건강관리 양상
2) 영양-대사 양상
3) 배설 양상
4) 활동-운동 양상
5) 수면-휴식 양상
6) 인지-지각 양상
7) 자아인식-자아개념 양상
8) 역할-관계 양상
9) 성-생식기능 양상
10) 대응-스트레스 내성 양상
11) 가치-신념 양상
4. 신체검진 ----------------------------------------- p. 6~7
5. 진단 검사 ---------------------------------------- p. 8~9
1) 혈액 검사
2) 소변검사
3) 방사선 검사
4) 특수 검사
6. 약물 ------------------------------------------------------- p. 10~11
7. 수술방법 및 과정의 서술 ------------------------------------ p. 12
8. 비정상 자료 목록 ------------------------------------------- p. 12~13
9. 문제도출 --------------------------------------------------- p. 13~14
10. 간호과정 -------------------------------------------------- p. 15~18
1) 외과적 두부조직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2) 외과적 두부조직 절개로 인한 외과적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본문내용
하는 방법을 교육함.
(숨을 들이쉬며 자신의 통증을 생각하고 숨을 내뱉으며 통증이 몸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상상한다.)
6. 2시간에 한번 들러서 얼굴 보며 가벼운 대화를 주고 받음.
(기분, 통증정도, 병원생활 에로사항 등 일상대화)
7. 관심전환요법인 TV보기를 권장함.
8. 두통의 양상 및 부위를 사정하였음.(대화로써 질문)
간호수행
(RN시행관찰)
2.(RN ) valentac IM을 투여함.
3.(RN ) 머리를 30도 높인 자세를 취하도록 함.
4.(RN ) NRS척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통증정도를 4시간마다 사정하였음.
이론적근거
vital sign은 가장 기본적인 건강상태 파악방법이다.
진통제를 통하여 통증이 조절 될 수 있다.
대상자의 안위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상상을 통한 심리적 전환 요법으로써 통증을 경감하기 위함이다.
불안은 동통을 악화시키는 요소이므로 가벼운 대화를 통하여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관심을 다른 곳으로 전환시켜 통증을 경감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수행에 대한 평가
vital sign을 주기적으로 check 하였다.
처방된 약물투여로 5/26 pm03:00 통증사정시 NRS 2로 통증이 거의 없어졌다고 표현하였다.
5/26 pm03:00 교육한 자세를 취함으로써 통증이 확실히 완화됨을 느낀다고 표현하였다.
5/26 am10:00 NRS 통증 6으로 측정, 5/26 pm03:00 NRS 통증 2으로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스스로 눈을 감고 명상 전환요법을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가벼운 웃음도 관찰되는 등 통증에 대한 불안감이 완화되었다고 표현하였다.
수시로 방문하였을 때 TV를 시청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방문하면서 대화 시 두부의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표현하였다.
결과평가
“아까보다 훨씬 통증이 나아졌어요.”라고 대상자가 표현하였다.
(5/26 pm03:00 NRS 통증 2으로 측정되었다.)
교과서적
간호중재
valsalva maneuver와 등장성 운동을 금하고 배변습관을 조정한다.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제공한다.
뇌막자극 증상유무를 사정한다.
필요시 진통제나 진정제를 투여하고 현재 또는 과거에 사용된 통증완화법의 효과를 평가한다.
통증유발 요인이나 악화요인을 확인하여 제거시킨다.(조명, 소음, 방문객등)
# 2. 외과적 두부조직 절개로 정상적인 신체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1) 간호사정
월/일
간호사정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관련자료
5/26
"너무 추워, 열나는 것 같아.”
“약 좀 주지..”
“근데 왜 계속 아프고 열이나..”
“나 체온한번 제봐라.”
“열나서 카나 더 아픈거 같네”
- BT 38.2까지 오름(5/25)
BT 여전히 37.6측정(5/26)
op Dx craniotomy 시행
(clipping of aneurysm 5/22)
Brain CT 5/12(aneuyrsm)
DSA 5/15 (aneurysm)
WBC 15.73 측정(5/22)
neutro 84.50 측정(5/22)
보호자께서 열이 나는 것 같다고 station으로 오심.
얼굴과 몸이 붉은 빛을
띄고 있음.
위의 BT 측정
‘신체검사’참조
외과적 두부조직 절개로 정상적인 신체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2) 간호과정
월/일
5/26
간호진단
외과적 두부조직 절개로 정상적인 신체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계획
목표
해열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체온 범위
(36.5~37.3)로 회복 할 것이다.
기대되는결과
대상자는 몸에 열감이 전혀 없다고 표현 한다.
혈중 WBC, 호중구 수치가 정상범위로 나타난다.
간호지시
2시간마다 주기적으로 V/S 측정하여 기록한다.
처방된 해열제와 항생제를 투여한다.
경구로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미온수로 수건 마사지(tepid massage)를 하도록 격려해준다.
서늘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직접시행)
2시간마다 주기적으로 V/S측정하여 기록하였음.
4. 고체온 시 차가운 물이 아닌 따뜻한 물로 수건을 적셔서 온몸을 닦도록 격려함.
(Tepid massatge를 할 경우는 방온도 따뜻한 상태에서 실시하도록 교육함.)
5. 5/26 am10:00 항상 서늘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하였음.
(상승시 : 오한이 있을시 일시적 보온가능하다고 설명함.)
간호수행
(RN시행관찰)
2. EMR확인 - (RN ) valentac IM, meicelin IV을 투여함.
3. EMR확인 - (RN ) 열 조절과 탈수예방을 위하여 수분섭취를 격려함.
이론적근거
여러 가지 체온조절 요법을 통하여 대상자의 BT조절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해열제를 통하여 체온이 조절 될 수 있으며, 항생제로 감염을 치료하여 체온 조절을 하기 위함이다.
땀으로 인한 수분 손실을 보충하기 위함이다.(탈수예방)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혈관을 이완시켜 열을 발산시키기 위함이다.
체온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수행에 대한 평가
vital sign을 주기적으로 check 하였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5/26 혈액검사결과 WBC, neutro(호중구)수치가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
교육시 수용적인 자세를 보였으며 하루 경구 수분섭취량이 2L이상으로 측정되었다.
5/26 pm02:00 따뜻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V/S 측정 방문시 항상 이불을 덮지 않은 채로 누워있었다.
결과평가
5/26 pm03:00에 37.6도로 미열이 관찰되었다. 아직까지 열감이 있다고 표현하였다.(정상체온 회복X)
교과서적
간호중재
1.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필요시 해열제를 투여한다.
3. 체온이 38도 이상이면 미지근한 물로 닦아준다.
4. 체온이 39.5도 이상이면 찬물 주머니를 대준다.
5.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6.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최대의 휴식을 도모한다.
참고문헌
1. 이향련 외(2012), 성인간호학2, 수문사
2. http://www.druginfo.co.kr/ (드러그인포)
3. 최영희 외(2010),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수문사
4. 김강미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숨을 들이쉬며 자신의 통증을 생각하고 숨을 내뱉으며 통증이 몸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상상한다.)
6. 2시간에 한번 들러서 얼굴 보며 가벼운 대화를 주고 받음.
(기분, 통증정도, 병원생활 에로사항 등 일상대화)
7. 관심전환요법인 TV보기를 권장함.
8. 두통의 양상 및 부위를 사정하였음.(대화로써 질문)
간호수행
(RN시행관찰)
2.(RN ) valentac IM을 투여함.
3.(RN ) 머리를 30도 높인 자세를 취하도록 함.
4.(RN ) NRS척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통증정도를 4시간마다 사정하였음.
이론적근거
vital sign은 가장 기본적인 건강상태 파악방법이다.
진통제를 통하여 통증이 조절 될 수 있다.
대상자의 안위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상상을 통한 심리적 전환 요법으로써 통증을 경감하기 위함이다.
불안은 동통을 악화시키는 요소이므로 가벼운 대화를 통하여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관심을 다른 곳으로 전환시켜 통증을 경감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수행에 대한 평가
vital sign을 주기적으로 check 하였다.
처방된 약물투여로 5/26 pm03:00 통증사정시 NRS 2로 통증이 거의 없어졌다고 표현하였다.
5/26 pm03:00 교육한 자세를 취함으로써 통증이 확실히 완화됨을 느낀다고 표현하였다.
5/26 am10:00 NRS 통증 6으로 측정, 5/26 pm03:00 NRS 통증 2으로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스스로 눈을 감고 명상 전환요법을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가벼운 웃음도 관찰되는 등 통증에 대한 불안감이 완화되었다고 표현하였다.
수시로 방문하였을 때 TV를 시청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방문하면서 대화 시 두부의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표현하였다.
결과평가
“아까보다 훨씬 통증이 나아졌어요.”라고 대상자가 표현하였다.
(5/26 pm03:00 NRS 통증 2으로 측정되었다.)
교과서적
간호중재
valsalva maneuver와 등장성 운동을 금하고 배변습관을 조정한다.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제공한다.
뇌막자극 증상유무를 사정한다.
필요시 진통제나 진정제를 투여하고 현재 또는 과거에 사용된 통증완화법의 효과를 평가한다.
통증유발 요인이나 악화요인을 확인하여 제거시킨다.(조명, 소음, 방문객등)
# 2. 외과적 두부조직 절개로 정상적인 신체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1) 간호사정
월/일
간호사정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관련자료
5/26
"너무 추워, 열나는 것 같아.”
“약 좀 주지..”
“근데 왜 계속 아프고 열이나..”
“나 체온한번 제봐라.”
“열나서 카나 더 아픈거 같네”
- BT 38.2까지 오름(5/25)
BT 여전히 37.6측정(5/26)
op Dx craniotomy 시행
(clipping of aneurysm 5/22)
Brain CT 5/12(aneuyrsm)
DSA 5/15 (aneurysm)
WBC 15.73 측정(5/22)
neutro 84.50 측정(5/22)
보호자께서 열이 나는 것 같다고 station으로 오심.
얼굴과 몸이 붉은 빛을
띄고 있음.
위의 BT 측정
‘신체검사’참조
외과적 두부조직 절개로 정상적인 신체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2) 간호과정
월/일
5/26
간호진단
외과적 두부조직 절개로 정상적인 신체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계획
목표
해열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체온 범위
(36.5~37.3)로 회복 할 것이다.
기대되는결과
대상자는 몸에 열감이 전혀 없다고 표현 한다.
혈중 WBC, 호중구 수치가 정상범위로 나타난다.
간호지시
2시간마다 주기적으로 V/S 측정하여 기록한다.
처방된 해열제와 항생제를 투여한다.
경구로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미온수로 수건 마사지(tepid massage)를 하도록 격려해준다.
서늘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직접시행)
2시간마다 주기적으로 V/S측정하여 기록하였음.
4. 고체온 시 차가운 물이 아닌 따뜻한 물로 수건을 적셔서 온몸을 닦도록 격려함.
(Tepid massatge를 할 경우는 방온도 따뜻한 상태에서 실시하도록 교육함.)
5. 5/26 am10:00 항상 서늘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하였음.
(상승시 : 오한이 있을시 일시적 보온가능하다고 설명함.)
간호수행
(RN시행관찰)
2. EMR확인 - (RN ) valentac IM, meicelin IV을 투여함.
3. EMR확인 - (RN ) 열 조절과 탈수예방을 위하여 수분섭취를 격려함.
이론적근거
여러 가지 체온조절 요법을 통하여 대상자의 BT조절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해열제를 통하여 체온이 조절 될 수 있으며, 항생제로 감염을 치료하여 체온 조절을 하기 위함이다.
땀으로 인한 수분 손실을 보충하기 위함이다.(탈수예방)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혈관을 이완시켜 열을 발산시키기 위함이다.
체온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수행에 대한 평가
vital sign을 주기적으로 check 하였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5/26 혈액검사결과 WBC, neutro(호중구)수치가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
교육시 수용적인 자세를 보였으며 하루 경구 수분섭취량이 2L이상으로 측정되었다.
5/26 pm02:00 따뜻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V/S 측정 방문시 항상 이불을 덮지 않은 채로 누워있었다.
결과평가
5/26 pm03:00에 37.6도로 미열이 관찰되었다. 아직까지 열감이 있다고 표현하였다.(정상체온 회복X)
교과서적
간호중재
1.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필요시 해열제를 투여한다.
3. 체온이 38도 이상이면 미지근한 물로 닦아준다.
4. 체온이 39.5도 이상이면 찬물 주머니를 대준다.
5.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6.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최대의 휴식을 도모한다.
참고문헌
1. 이향련 외(2012), 성인간호학2, 수문사
2. http://www.druginfo.co.kr/ (드러그인포)
3. 최영희 외(2010),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수문사
4. 김강미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추천자료
[수술실 Case study] 뇌동맥류 Aneurysm
뇌동맥류
지주막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SAH) : 뇌동맥류 (Cerebral aneurysm)
뇌동맥류, SAH, TFCA
angio-room에서 하는 시술(PTCA,인공심박동기,IABP,PTBD,TACE,뇌혈관 조영술,뇌동맥류 코일 ...
감각계 건강문제와 간호 - 성인간호학 감각계, 성인간호학 감각계 요약 정리 감각계 레포트 ,...
신경과 케이스 - 뇌동맥류(NR case study)
당뇨, 병동 케이스 스터디, A+ ,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수술방 실습 케이스스터디 a+ 실습일지 수술방기구 의학 OR
Pneumonia case, 성인 case, 폐렴 case, Pneumonia 케이스, 폐렴 케이스, 성인간호학 실습 케...
천식 asthma 성인간호학 케이스 간호과정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1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 비교 각각의 주요 간호중재방법-성인간...
성인간호학 1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장단점 영양지원방법 간호중재방법 2당뇨병 환자 ...
K대학교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학 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