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교육을 통해 추구하는 인간상
Ⅱ.중등교육과정의 목표와 의미
Ⅲ.교육과정의 발전과정
Ⅱ.중등교육과정의 목표와 의미
Ⅲ.교육과정의 발전과정
본문내용
의해 추진되어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로 제시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이다. 무엇보다도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을 목적으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교과군 개념 도입, 수준별 교육과정 도입, 재량활동의 신설·확대, 교과별 학습량의 최적화와 수준 조정, 고등학교 2,3학년의 선택중심 교육과정 등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했다.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을 하나의 체제 속에 통합하여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년간의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 고등학교 2,3학년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으로 조정하고,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에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실과,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의 10개 교과만 포함시켰으며,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수학·영어와 국어·사회·과학 그리고 선택중심 교육 과정에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했다. 종래 중학교의 선택교과는 재량활동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하게 했다.
차. 2007 개정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 이후의 여러 가지 현실적 어려움과 그 동안의 국가·사회적 요구, 주5일 수업 시행 등을 반영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2007년 2월 부분적인 총론 개정이 이루어졌다. 중학교의 경우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사회 교과에서 ‘사회’, ‘역사’의 과목 분화가 이루어져 별도의 학년과 시간이 배당되고, 수준별 교육과정이 수준별 수업으로 바뀌고 ‘단계형’, ‘심화 보충형’ 등의 구분이 폐지되었으며 집중이수제가 강화되어 학기별로도 교과목 이수가 가능해졌고 주5일 수업제도 시행으로 재량활동 시간 수가 감축되었다.
차. 2007 개정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 이후의 여러 가지 현실적 어려움과 그 동안의 국가·사회적 요구, 주5일 수업 시행 등을 반영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2007년 2월 부분적인 총론 개정이 이루어졌다. 중학교의 경우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사회 교과에서 ‘사회’, ‘역사’의 과목 분화가 이루어져 별도의 학년과 시간이 배당되고, 수준별 교육과정이 수준별 수업으로 바뀌고 ‘단계형’, ‘심화 보충형’ 등의 구분이 폐지되었으며 집중이수제가 강화되어 학기별로도 교과목 이수가 가능해졌고 주5일 수업제도 시행으로 재량활동 시간 수가 감축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행정학의 발전과정과 발전전망
특별활동의 개념과 특성, 특별활동의 편성과 운영절차, 특별활동의 시간배당, 특별활동 1학년...
[지방교육자치제][주민참여]지방교육자치제의 개념, 지방교육자치제의 정책배경, 지방교육자...
[원격교육론]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의 의미를 비교하여 제시하고,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의 발전...
[교육과정 공통] 교육과정의 유형(교과 및 학문중심, 인간, 경험중심 포함)의 이론적 배경 ...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의 역사를 정리하고 교육심리학의 발전과정과 자신의 앞으로의 계획...
유아교육과정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교수학습방법, 환경구성
[유아교육과정 공통] 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중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개념...
유아교육과정 공통)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중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개념, ...
[유아교육과정] 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중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개념, 특...
[유아교육과정 공통] 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중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개념...
유아교육과정_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중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개념, 특성,...
(유아교육과정 공통)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중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