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완관절 이단(wrist disarticulation)의지
2.전완의지(transradial prosthesis)
3.주관절이단 (elbow disarticculation)
4.상완의지(transhumeral prosthesis)
5.견관절이단 및 전사반부 (shoulder disarticulation and forequarter)
2.전완의지(transradial prosthesis)
3.주관절이단 (elbow disarticculation)
4.상완의지(transhumeral prosthesis)
5.견관절이단 및 전사반부 (shoulder disarticulation and forequarter)
본문내용
tion)
-상완골과 위에서 정확하게 착용되어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현가기능가능
상과형 웨지가 있는 소프트 인서트 소켓
분리형 소켓
대각선 형태의 홈이 파인 소켓(diagonal slot)
주관절이단과 극간전완 절단자를 위해 소켓을 사용하지 않는 의지
- 내외측 프레임 (frame), 상과패드(supracondylar pad) 그리고 상완 이두근의 상부와 하 부에 스트랩 사용
4.상완의지(transhumeral prosthesis)
1)재래식 소켓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켓으로서 절단단을 감싸며 절단단의 길이와 의지 주관절 착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trimline 이 좀더 근위에 위치하며 절단단이 짧아질수록 더욱 근위부에 위치하게 된다.
소켓은 횡단면에서 볼 때 내외측보다 전 후면이 넓은 타원형의 특징을 가진다.
소켓의 내측벽은 시상면에서 볼 때 편평하여야 견관절 내전이 가능 회전에 대한 안정성 제공
2)외부에 경성 프레임이 있는 유연성 소켓
- 얇고 유연성이 있는 소켓은 재래식인 소켓에 비해 좀 더 절단단에 밀착이 잘 되며 절단단의 근육 움직임에 따라 모양과 체적이 변하는 것에 대처가 가능한 소켓으로
편안함과 고유수용감각이 증가한다.
3)유타 동적 소켓(utah dynamic socket)
견부에서 주의깊게 모양을 내주어 회전에 대한 안정성이 추가된다.
절단단 전체면에 균일한 압력을 제공하며 재래식 소켓에 비해 상완골의 대결절 및 소결절 부위가 노출되어 있는 외관을 가짐
소켓은 전후방이 날개모양으로 형성되어 절단단의 전후방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재래식 소켓에 비해 회전되는 것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흡입식 현가기능을 제공하므로 하니스를 최소한으로 사용
- 반대측 액와부에 부담이 감소되어 건측에서 상완신경총에 발생하는 위험요소도 감소될 뿐아니라 고유수용감각과 근전도 유지성이 개선
5.견관절이단 및 전사반부 (shoulder disarticulation and forequarter)
소켓 적용시 고려사항 -
손에서부터 어께에까지 전달되는 외부 힘이 모멘트 암이 길어서 커질 수 있다는 점 그러므로 접촉되는 모서리와 면은 주의깊게 처리되고 골 돌출부에 대해서는 경감이 되도록 해주어야 한다.
절단부위가 높을수록 발한의 문제가 발생 - 환기 습기 투과
1)재래식 소켓
견갑골을 완전히 감싸주어 편안함과 운동을 전달하도록 되어야 함
후방으로는 견갑골 내연 전방으로는 유두까지 오게 하며 견갑골 외전 시 방해가 되지않도록 해야한다.
견봉(acromion)과 오구돌기(coracoid process)와 같은 골 돌출부에 압박이 되지 않도록 주의 -골 돌출부 압박을 피하기 위해 소켓을 개방 시키는 경우도 있음
2)프레임(perimeter frame)소켓
전체를 감싸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 식으로 디자인
재래식에 비해 좀 더 넓은 면에 적용(프레임은 일반적으로 5번째 늑골까지 채간의 절반가량을 감싼다)
재래식에 비해 좀 더 안정성 제공 선천성 기형이나 안정성을 우선으로 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프레임소켓이 적절
-상완골과 위에서 정확하게 착용되어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현가기능가능
상과형 웨지가 있는 소프트 인서트 소켓
분리형 소켓
대각선 형태의 홈이 파인 소켓(diagonal slot)
주관절이단과 극간전완 절단자를 위해 소켓을 사용하지 않는 의지
- 내외측 프레임 (frame), 상과패드(supracondylar pad) 그리고 상완 이두근의 상부와 하 부에 스트랩 사용
4.상완의지(transhumeral prosthesis)
1)재래식 소켓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켓으로서 절단단을 감싸며 절단단의 길이와 의지 주관절 착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trimline 이 좀더 근위에 위치하며 절단단이 짧아질수록 더욱 근위부에 위치하게 된다.
소켓은 횡단면에서 볼 때 내외측보다 전 후면이 넓은 타원형의 특징을 가진다.
소켓의 내측벽은 시상면에서 볼 때 편평하여야 견관절 내전이 가능 회전에 대한 안정성 제공
2)외부에 경성 프레임이 있는 유연성 소켓
- 얇고 유연성이 있는 소켓은 재래식인 소켓에 비해 좀 더 절단단에 밀착이 잘 되며 절단단의 근육 움직임에 따라 모양과 체적이 변하는 것에 대처가 가능한 소켓으로
편안함과 고유수용감각이 증가한다.
3)유타 동적 소켓(utah dynamic socket)
견부에서 주의깊게 모양을 내주어 회전에 대한 안정성이 추가된다.
절단단 전체면에 균일한 압력을 제공하며 재래식 소켓에 비해 상완골의 대결절 및 소결절 부위가 노출되어 있는 외관을 가짐
소켓은 전후방이 날개모양으로 형성되어 절단단의 전후방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재래식 소켓에 비해 회전되는 것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흡입식 현가기능을 제공하므로 하니스를 최소한으로 사용
- 반대측 액와부에 부담이 감소되어 건측에서 상완신경총에 발생하는 위험요소도 감소될 뿐아니라 고유수용감각과 근전도 유지성이 개선
5.견관절이단 및 전사반부 (shoulder disarticulation and forequarter)
소켓 적용시 고려사항 -
손에서부터 어께에까지 전달되는 외부 힘이 모멘트 암이 길어서 커질 수 있다는 점 그러므로 접촉되는 모서리와 면은 주의깊게 처리되고 골 돌출부에 대해서는 경감이 되도록 해주어야 한다.
절단부위가 높을수록 발한의 문제가 발생 - 환기 습기 투과
1)재래식 소켓
견갑골을 완전히 감싸주어 편안함과 운동을 전달하도록 되어야 함
후방으로는 견갑골 내연 전방으로는 유두까지 오게 하며 견갑골 외전 시 방해가 되지않도록 해야한다.
견봉(acromion)과 오구돌기(coracoid process)와 같은 골 돌출부에 압박이 되지 않도록 주의 -골 돌출부 압박을 피하기 위해 소켓을 개방 시키는 경우도 있음
2)프레임(perimeter frame)소켓
전체를 감싸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 식으로 디자인
재래식에 비해 좀 더 넓은 면에 적용(프레임은 일반적으로 5번째 늑골까지 채간의 절반가량을 감싼다)
재래식에 비해 좀 더 안정성 제공 선천성 기형이나 안정성을 우선으로 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프레임소켓이 적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