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2.검사결과
3.사례
4.간호과정
2.검사결과
3.사례
4.간호과정
본문내용
하고 환자의 반응을 살핀다.
②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③ PCA 정확한 사용법을 보호자와 환자에게 교육한다.
수행
통증 정도를 말로 표현하도록 도와주면서 얼굴표정을 확인한다.
통증을 느낄 때 간호사선생님께서 진통제를 투여해주었다.
PCA의 사용법을 보호자와 환자에게 설명하고 아플 땐 누르도록 교육해주었다.
평가
통증 척도 얼굴등급이 8에서 4까지 줄어들었다.(얼굴 등급 0:통증 없음 2: 약한 통증 4:중증도 통증 6:심한 통증 8: 극심한 통증 10:최악의 통증) 또한 진통제를 찾는 횟수가 (3월31일에는 페치딘 1A 투여, 4월2일에는 페치딘 1/2A 투여, 4월4일에는 페치딘 1/3A 투여) 줄어들었으며, PCA의 사용을 보호자가 옆에서 도와주며 잘 사용하고 있었다. 7일 뒤에는 환자의 표정이 많이 밝아졌고 아프다는 소리를 덜 하게 된 것이 관찰되었다.
날짜
2015년 4월 1일
진단
번호
#2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목이 말라요”
"설사를 왜이렇게 많이 하는지 모르겠어요"
객관적
자료
체중이 55kg→50kg감소
알부민 수치가 2.6으로 정상치보다 감소
전해질수치 Na: 134, K: 3.4 Cl: 95 로 정상치보다 감소
I/O(섭취량/배설량)-1330/1575
간호
진단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목표
단기
목표
① 하루에 물 1.5L을 10번 나누어 마시게 할 것이다.
② 5일 이내에 설사를 멈추고 일정한 시간단위로 고형의 변을 보게 할 것이다.
장기
목표
① 7일 이내에 장내 수분 흡수를 돕는 마사지를 보호자에게 교육하여 설사를 예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② 7일 이내에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할 것이다.
③ 설사로 인한 탈수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게 할 것이다.
간호
계획
① I/O체크를 매일 하여 균형을 살핀다.
② 하루에 매일 물 1.5L를 마시도록 교육한다.
③ 전해질 검사를 실시한다.
④ 장내 수분 흡수를 돕는 마사지를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⑤ 설사로 인한 탈수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한다.
수행
I/O체크를 매일 하면서 균형을 살폈다.
하루에 매일 물 1.5L 마실 수 있도록 교육했다.
전해질 검사를 실시했다.
장내 수분 흡수를 돕는 마사지를 보호자에게 교육했다.
설사로 인한 탈수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했다.
평가
intake(수액+식사)
output(소변+대변)
설사량
4월1일
1830
1975
810
4월2일
2080
2000
620
4월3일
2300
2100
500
I/O체크를 한 결과 intake와 out put의 균형이 잘 유지가 되었다. 하루에 매일 물을 1.5L 마시는 것을 관찰했고, 보호자가 옆에서 장내 수분 흡수를 돕는 마사지를 꾸준히 해주었다. 전해질 수치가 7일 이내에 균형이 유지되었다. 설사로 인한 탈수의 위험성을 교육했고 올바른 식습관(규칙적인 식사를 한다, 골고루 먹으며 자극적인 음식은 피한다. 기름진 음식은 먹지 않도록 한다)을 교육한 결과 설사의 양이 줄어들었다.
4/1
4/4
4/7
Na
134
136
137
K
3.4
3.9
4.5
Cl
95
103
105
날짜
4월3일
진단
번호
#3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상처 난 부위에서 진물이 많이 나와요”
객관적
자료
WBC 수치가 18.30으로 정상치보다 높게 나왔다.
V/S BP: 135/92 P: 79 T: 37.9 R: 24
화상으로 인한 표피층 상실
화상부위 빨갛게 부어올랐다.
간호
진단
화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표
단기
목표
① 하루에 2번 드레싱을 해주면서 감염의 위험성을 줄인다.
② 활력징후를 4시간에 한 번씩 체크를 한다.
장기
목표
① 10일 이내에 WBC수치와 임상결과 수치를 정상범위로 만든다.
② 이차감염 없이 상태를 회복하도록 한다
간호
계획과 이론적 근거
① 상처 감염부위 드레싱을 한다.
② 처방에 따라 항생제(리브감마 5.0g QD IV)를 투여한다.
③ 감염의 위험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처치와 교육에 따를 수 있도록 한다
④ 활력징후, 상처의 wound culture를 검사하고 WBC 검사를 실시한다.
수행
상처 감염을 위해 하루에 드레싱을 2번 했다.
처방된 항생제(리브감마 5.0g QD IV)를 간호사 선생님께서 투여해 주었다.
감염의 위험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처치와 교육에 따를 수 있도록 해주었다.
활력징후, WBC 검사를 했다
평가
09:00
BP:129/84 P:92 T:37.0 R:23
13:00
BP:121/73 P:99 T:37.3 R:25
17:00
BP:115/72 P:105 T:37.3 R:25
WBC
4/3
18.30
4/7
13.70
4/9
9.7
상처 감염예방을 위해 하루에 2번 드레싱을 하면서, 선생님께서 항생제 주사를 하루에 한번 정맥주사를 투여해주어 그 결과 WBC의 수치가 감소하면서 9.7로 정상범위로 나왔다. 감염의 위험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처치와 교육에 따를 수 있도록 해주어서 상처부위 드레싱 처치 할 때와 감염 때문에 상처 부위 배양검사를 할 때 협조를 잘 해주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 결과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
3) 결론
화상으로 인해 입원한 환자들은 대게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환자는 입원당시 발과 발목에 2도 화상을 입은 상태로 입원을 하였다. 현재는 2번의 수술을 통해 가피 절제술과 자가피부이식수술을 한 상태이다. 처음에 비해 통증의 횟수도 많이 줄었고, 진통제를 맞는 횟수도 많이 줄어들었다. 또한 전해질이나 WBC, RBC, Hb 수치 등 혈액검사의 Lab결과 정상으로 나오고 있다. 드레싱을 하며 꾸준한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이며, 앞으로도 몇 번의 수술을 더 해야 하는 상태이지만, 점점 상태는 호전되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진단적 검사와 간호 2013.08.28 수문사
2)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2014.3.10 수문사
3) 대구 푸른병원 홈페이지 http://www.burncenter.co.kr/
4) 기본간호학 I 2013.12.10 현문사
5) 성인간호학 I 2013.02.15 엘스비어 코리아
②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③ PCA 정확한 사용법을 보호자와 환자에게 교육한다.
수행
통증 정도를 말로 표현하도록 도와주면서 얼굴표정을 확인한다.
통증을 느낄 때 간호사선생님께서 진통제를 투여해주었다.
PCA의 사용법을 보호자와 환자에게 설명하고 아플 땐 누르도록 교육해주었다.
평가
통증 척도 얼굴등급이 8에서 4까지 줄어들었다.(얼굴 등급 0:통증 없음 2: 약한 통증 4:중증도 통증 6:심한 통증 8: 극심한 통증 10:최악의 통증) 또한 진통제를 찾는 횟수가 (3월31일에는 페치딘 1A 투여, 4월2일에는 페치딘 1/2A 투여, 4월4일에는 페치딘 1/3A 투여) 줄어들었으며, PCA의 사용을 보호자가 옆에서 도와주며 잘 사용하고 있었다. 7일 뒤에는 환자의 표정이 많이 밝아졌고 아프다는 소리를 덜 하게 된 것이 관찰되었다.
날짜
2015년 4월 1일
진단
번호
#2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목이 말라요”
"설사를 왜이렇게 많이 하는지 모르겠어요"
객관적
자료
체중이 55kg→50kg감소
알부민 수치가 2.6으로 정상치보다 감소
전해질수치 Na: 134, K: 3.4 Cl: 95 로 정상치보다 감소
I/O(섭취량/배설량)-1330/1575
간호
진단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목표
단기
목표
① 하루에 물 1.5L을 10번 나누어 마시게 할 것이다.
② 5일 이내에 설사를 멈추고 일정한 시간단위로 고형의 변을 보게 할 것이다.
장기
목표
① 7일 이내에 장내 수분 흡수를 돕는 마사지를 보호자에게 교육하여 설사를 예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② 7일 이내에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할 것이다.
③ 설사로 인한 탈수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게 할 것이다.
간호
계획
① I/O체크를 매일 하여 균형을 살핀다.
② 하루에 매일 물 1.5L를 마시도록 교육한다.
③ 전해질 검사를 실시한다.
④ 장내 수분 흡수를 돕는 마사지를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⑤ 설사로 인한 탈수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한다.
수행
I/O체크를 매일 하면서 균형을 살폈다.
하루에 매일 물 1.5L 마실 수 있도록 교육했다.
전해질 검사를 실시했다.
장내 수분 흡수를 돕는 마사지를 보호자에게 교육했다.
설사로 인한 탈수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했다.
평가
intake(수액+식사)
output(소변+대변)
설사량
4월1일
1830
1975
810
4월2일
2080
2000
620
4월3일
2300
2100
500
I/O체크를 한 결과 intake와 out put의 균형이 잘 유지가 되었다. 하루에 매일 물을 1.5L 마시는 것을 관찰했고, 보호자가 옆에서 장내 수분 흡수를 돕는 마사지를 꾸준히 해주었다. 전해질 수치가 7일 이내에 균형이 유지되었다. 설사로 인한 탈수의 위험성을 교육했고 올바른 식습관(규칙적인 식사를 한다, 골고루 먹으며 자극적인 음식은 피한다. 기름진 음식은 먹지 않도록 한다)을 교육한 결과 설사의 양이 줄어들었다.
4/1
4/4
4/7
Na
134
136
137
K
3.4
3.9
4.5
Cl
95
103
105
날짜
4월3일
진단
번호
#3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상처 난 부위에서 진물이 많이 나와요”
객관적
자료
WBC 수치가 18.30으로 정상치보다 높게 나왔다.
V/S BP: 135/92 P: 79 T: 37.9 R: 24
화상으로 인한 표피층 상실
화상부위 빨갛게 부어올랐다.
간호
진단
화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표
단기
목표
① 하루에 2번 드레싱을 해주면서 감염의 위험성을 줄인다.
② 활력징후를 4시간에 한 번씩 체크를 한다.
장기
목표
① 10일 이내에 WBC수치와 임상결과 수치를 정상범위로 만든다.
② 이차감염 없이 상태를 회복하도록 한다
간호
계획과 이론적 근거
① 상처 감염부위 드레싱을 한다.
② 처방에 따라 항생제(리브감마 5.0g QD IV)를 투여한다.
③ 감염의 위험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처치와 교육에 따를 수 있도록 한다
④ 활력징후, 상처의 wound culture를 검사하고 WBC 검사를 실시한다.
수행
상처 감염을 위해 하루에 드레싱을 2번 했다.
처방된 항생제(리브감마 5.0g QD IV)를 간호사 선생님께서 투여해 주었다.
감염의 위험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처치와 교육에 따를 수 있도록 해주었다.
활력징후, WBC 검사를 했다
평가
09:00
BP:129/84 P:92 T:37.0 R:23
13:00
BP:121/73 P:99 T:37.3 R:25
17:00
BP:115/72 P:105 T:37.3 R:25
WBC
4/3
18.30
4/7
13.70
4/9
9.7
상처 감염예방을 위해 하루에 2번 드레싱을 하면서, 선생님께서 항생제 주사를 하루에 한번 정맥주사를 투여해주어 그 결과 WBC의 수치가 감소하면서 9.7로 정상범위로 나왔다. 감염의 위험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처치와 교육에 따를 수 있도록 해주어서 상처부위 드레싱 처치 할 때와 감염 때문에 상처 부위 배양검사를 할 때 협조를 잘 해주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 결과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
3) 결론
화상으로 인해 입원한 환자들은 대게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환자는 입원당시 발과 발목에 2도 화상을 입은 상태로 입원을 하였다. 현재는 2번의 수술을 통해 가피 절제술과 자가피부이식수술을 한 상태이다. 처음에 비해 통증의 횟수도 많이 줄었고, 진통제를 맞는 횟수도 많이 줄어들었다. 또한 전해질이나 WBC, RBC, Hb 수치 등 혈액검사의 Lab결과 정상으로 나오고 있다. 드레싱을 하며 꾸준한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이며, 앞으로도 몇 번의 수술을 더 해야 하는 상태이지만, 점점 상태는 호전되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진단적 검사와 간호 2013.08.28 수문사
2)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2014.3.10 수문사
3) 대구 푸른병원 홈페이지 http://www.burncenter.co.kr/
4) 기본간호학 I 2013.12.10 현문사
5) 성인간호학 I 2013.02.15 엘스비어 코리아
추천자료
뇌경색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 모두이루어져있습니다. 간호진단은 2개내려...
위암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로 구성됩...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 ...
[아동간호학] 고위험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Chapter2. 지역사회 간호과정 요약 정리
폐결핵케이스스터디 폐결핵약물종류 폐결핵진단검사 폐결핵병태생리 폐결핵문헌고찰 폐결핵간...
[성인간호학 case] 간암 대상자 간호과정 케이스 case study - 간세포성 암종 (Hepatocellula...
A++자료!!성인간호학 폐암(lung ca.)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모성 전치태반 케이스 및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 case study
견인 간호(피부견인, 골격견인, 간호과정)
[모성간호학] 자궁근종(myoma uteri) 간호과정 (Case Study)
모성간호학 실습, 제왕절개 케이스, c/s (제왕절개 간호과정)
모성간호A+ [자궁근종(myoma of uterus)-간호과정(case study)]
[간호학] 물질관련 장애 - 알코올 장애 -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