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및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조사 하고, 이를 관리 또는 대처하는 방법제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생제 및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조사 하고, 이를 관리 또는 대처하는 방법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항생제 계열별 분류
Ⅱ.세부 항생제 종류들
Ⅲ.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개념정리 및 종류
Ⅳ.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관리 또는 대처방법제시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능한 의료기구는 개별사용
②보호자 및 환자
-환자는 1인실 격리
-보호자는 환자나 물품 및 환자 주변 환경 접촉 전, 후 손위생 시행
2.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 감염증
>치료
감염증 치료시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 근거하여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치료함.
>예방
-전파경로: 직, 간접 접촉 및 오염된 의료기구, 환경 등을 통해 전파됨.
-반코마이신 등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
-감염된 환자, 감염원과 접촉한 사람의 손 또는 오염된 의료기구 등을 통해서 전파 가능하므로 철저한 손위생과 의료기구의 소독/멸균을 철저히 시행하고 침습적인 시술시 무균술을 지키며 환경표면의 청소와 소독이 필요함.
>대상별 맞춤정보
①의료종사자
-환자에게 사용되는 의료기구나 물품은 철저히 소독
-환자나 물품 및 환경 접촉 전, 후에 손위생 시행, 오염우려가 있는 경우 장갑과
가운을 착용
②보호자 및 환자
-보호자는 환자나 물품 및 환자 주변 환경 접촉 전, 후 손위생 시행
3.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
>치료
감염증 치료시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 근거하여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치료함.
>예방
-전파경로: 직, 간접 접촉 및 오염된 의료기구, 환경 등을 통해 전파
-반코마이신 등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
-감염된 환자, 감염원과 접촉한 사람의 손 또는 오염된 의료기구 등을 통해서 전파 가능하므로 철저한 손위생과 의료기구의 소독·멸균을 철저히 시행
-침습적인 시술 시 무균술을 지키며 환경 표면의 청소와 소독이 필요함.
>대상별 맞춤정보
①의료 종사자
-환자에게 사용되는 의료기구나 물품은 철저히 소독
-환자나 물품 및 환경 접촉 전, 후에 손위생 시행
-오염 우려가 있는 경우, 장갑과 가운을 착용
②보호자 및 환자
-보호자는 환자나 물품 및 환자 주변 환경 접촉 전, 후 손위생 시행
4.다제내성녹농균(MRPA) 감염증
>치료
감염증 치료시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 근거하여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치료함.
>예방
-전파경로: 직, 간접 접촉 및 오염된 의료기구, 환경 등을 통해 전파됨.
-감염된 환자, 감염원과 접촉한 사람의 손 또는 오염된 의료기구 등을 통해서 전파 가능하므로 철저한 손위생과 의료기구의 소독/멸균을 철저히 시행하고 침습적인 시술시 무균술을 지키며 환경표면의 청소와 소독이 필요함.
>대상별 맞춤정보
①의료종사자
-환자에게 사용되는 의료기구나 물품은 철저히 소독
-환자나 물품 및 환경 접촉 전, 후에 손위생 시행, 오염우려가 있는 경우 장갑과
가운을 착용
②보호자 및 환자
-보호자는 환자나 물품 및 환자 주변 환경 접촉 전, 후 손위생 시행
5.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감염증
>치료
감염증 치료시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 근거하여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치료함.
>예방
-전파경로: 직, 간접 접촉 및 오염된 의료기구, 환경 등을 통해 전파됨.
-감염된 환자, 감염원과 접촉한 사람의 손 또는 오염된 의료기구 등을 통해서 전파 가능하므로 철저한 손위생과 의료기구의 소독/멸균을 철저히 시행하고 침습적인 시술시 무균술을 지키며 환경표면의 청소와 소독이 필요함.
>대상별 맞춤정보
①의료 종사자
-환자에게 사용되는 의료기구나 물품은 철저히 소독
-환자나 물품 및 환경 접촉 전, 후에 손위생 시행
-오염 우려가 있는 경우, 장갑과 가운을 착용
②보호자 및 환자
-보호자는 환자나 물품 및 환자 주변 환경 접촉 전, 후 손위생 시행
6.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치료
-감염증 치료시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 근거하여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치료함.
>예방
-전파경로: 직, 간접 접촉 및 오염된 의료기구, 환경 등을 통해 전파됨.
-반코마이신 등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
-감염된 환자, 감염원과 접촉한 사람의 손 또는 오염된 의료기구 등을 통해서 전파 가능하므로 철저한 손위생과 의료기구의 소독/멸균을 철저히 시행하고 침습적인 시술시 무균술을 지키며 환경표면의 청소와 소독이 필요함.
>대상별 맞춤정보
①의료종사자
-환자에게 사용되는 의료기구나 물품은 철저히 소독
-환자나 물품 및 환경 접촉 전, 후에 손위생 시행, 오염우려가 있는 경우 장갑과
가운을 착용
②보호자 및 환자
-보호자는 환자나 물품 및 환자 주변 환경 접촉 전, 후 손위생 시행
Ⅴ.참고문헌
-김금순 외 옮김(2017),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pp. 422~436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cdc.go.kr/CDC/mobile/main.jsp)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7.06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9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