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답사동기 및 주제
Ⅱ. 사전조사
1. 궁궐의 말뜻
2. 궁궐의 구분
3. 창 덕 궁
Ⅲ. 궁궐안에서
1. 금 천 교
2. 선 정 전
3. 희 정 전
4. 낙 선 재
Ⅳ. 답사를 마치고
Ⅱ. 사전조사
1. 궁궐의 말뜻
2. 궁궐의 구분
3. 창 덕 궁
Ⅲ. 궁궐안에서
1. 금 천 교
2. 선 정 전
3. 희 정 전
4. 낙 선 재
Ⅳ. 답사를 마치고
본문내용
듯 해 보이는 우마루(밑이 사람이 조금만 구부리면 드나들 수 있는 마루)를 보며 여름날 한가롭게 한쪽 팔을 창에 기댄 채 폼을 잡고 있었던 사람들을 생각해보고 따라해 보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 거기서 'ㄴ'자 돌에 앉았었는데 아무뜻 없는 돌이라고 생각했던 돌이 하마석이라는 것이었다. 정말 궁궐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은 올 수 없었던 것이다.
Ⅳ.답사를 마치고
이렇게 공부를 해가면서 우리의 문화유적을 답사하기는 처음이였는데, 처음에 생각 했던것보다는 재미도있었다. "우리의 가까운 삶속에 이렇게 좋은곳이 있구나"생각하며, 다음에는 우리 가족들과 다시 와서 어린 우리 아이들에게도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적을 보여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제 누가 나에게 답사안내를 해달라고 하면은 조금 공부하고 가면 창덕궁은 자신 있게 얘기 해줄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우리 것이 뭐가 대단해 하며 스스로를 낮춰왔던 우리들, 선진국의 문화, 일본의 문화에 주체성 없이 끌려가는 우리의 모습을 보면 너무도 안타까웠다. 이렇게 살펴보고 공부하면 좋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우리 것을 알릴 수 있는 계기가 있었으면 좋겠다.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외국인들이 이런 우리의 문화재에 우리 보다 더욱 관심을 가지고 우리나라 사람들은 박물관이나 궁궐은 소풍갈 때 잠시 들르는 곳으로 기억되어버린 게 현실이다. 알고 보면 좋은 것이 우리의 문화유산인데, "이건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구성 있고 짜임새 있는 정책으로 우리의 문화를 우리가 먼저 알고 느낄 수 있도록 어떤 정책적인 정부의 지원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Ⅳ.답사를 마치고
이렇게 공부를 해가면서 우리의 문화유적을 답사하기는 처음이였는데, 처음에 생각 했던것보다는 재미도있었다. "우리의 가까운 삶속에 이렇게 좋은곳이 있구나"생각하며, 다음에는 우리 가족들과 다시 와서 어린 우리 아이들에게도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적을 보여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제 누가 나에게 답사안내를 해달라고 하면은 조금 공부하고 가면 창덕궁은 자신 있게 얘기 해줄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우리 것이 뭐가 대단해 하며 스스로를 낮춰왔던 우리들, 선진국의 문화, 일본의 문화에 주체성 없이 끌려가는 우리의 모습을 보면 너무도 안타까웠다. 이렇게 살펴보고 공부하면 좋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우리 것을 알릴 수 있는 계기가 있었으면 좋겠다.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외국인들이 이런 우리의 문화재에 우리 보다 더욱 관심을 가지고 우리나라 사람들은 박물관이나 궁궐은 소풍갈 때 잠시 들르는 곳으로 기억되어버린 게 현실이다. 알고 보면 좋은 것이 우리의 문화유산인데, "이건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구성 있고 짜임새 있는 정책으로 우리의 문화를 우리가 먼저 알고 느낄 수 있도록 어떤 정책적인 정부의 지원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