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영화 “가족의 탄생”을 보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복지론 영화 “가족의 탄생”을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족이 철저히 혈연 중심이었다면, 현대에서 요구되는 가족은 비혈연자도 가족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개방된 가족이다. 가족이 일반적으로 혈연을 기초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가족이 반드시 혈연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는 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가족의 탄생”에서 등장한 가족 형태는 혈연관계에 의해서 규정된 것이 아닌 사랑, 협력, 돌봄이라는 요소가 합쳐져 새로 만들어진 다소 낯선 형태였다. 하지만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피로 묶인 사이가 아니더라도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사랑을 나누고 유대감을 느낄 수 있다면, 한국식 가족주의와는 동떨어졌을지라도 따뜻함을 풍기는 새로운 가족의 탄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참고 문헌>
1. 김혜래 외 10인, 『영화, 사회복지를 만나다』, 한울아카데미, 2011.
2. 조정문·장상희, 『가족사회학-현대사회에서 가족은 무엇인가』, 아카넷, 2001.
3. 최용성, 한국영화에 나타난 가족ㆍ모성 윤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 제14집,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4, 한미라, 한국영화에서의 가족재현-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영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6.

추천자료

  • 가격6,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7.07.11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94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