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호칭어의 정의
2.한국 호칭어의 특성
3.한국 호칭어의 체계
4.한중일 호칭어 비교
5.어원
2.한국 호칭어의 특성
3.한국 호칭어의 체계
4.한중일 호칭어 비교
5.어원
본문내용
1.호칭어의 정의
*화자가 대화의 상대방과 말을 하는 동안에
그 상대방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words),‘어구’(praises), 또는‘표현들’(expressions) 을 의미한다.
*대명사(2인칭 대명사), 명사형 호칭, 동사형 호칭, 기타 접사형 호칭으로 구성된다.
*호칭어는 다음의 범주들과 구분된다.
지칭어- 화자에 의해 말해지는 대상을 화자가 가리키는 말
호출어- 청자인 상대방의 주목을 끌기 위해 사용하는 말
존대어- 명사형 지시물(및 지칭자)또는 청자에 대한 존대의 기호로 사용되는 특수한 언어 형태
2.한국 호칭어의 특성
1.이름을 호칭어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2.이름이 아닌 다른 호칭어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이를 이해하는데 있어, 문맥전체를 통한 담화적 접근이 요구된다.
->“김씨, 창문 좀 열어 주시겠습니까?”
3.친족 호칭어를 사용한다.
->“할아버지, 이 자리에 앉으세요.”
“아저씨, 여기로 갈려면 어떻게 하면 됩니까?”
*화자가 대화의 상대방과 말을 하는 동안에
그 상대방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words),‘어구’(praises), 또는‘표현들’(expressions) 을 의미한다.
*대명사(2인칭 대명사), 명사형 호칭, 동사형 호칭, 기타 접사형 호칭으로 구성된다.
*호칭어는 다음의 범주들과 구분된다.
지칭어- 화자에 의해 말해지는 대상을 화자가 가리키는 말
호출어- 청자인 상대방의 주목을 끌기 위해 사용하는 말
존대어- 명사형 지시물(및 지칭자)또는 청자에 대한 존대의 기호로 사용되는 특수한 언어 형태
2.한국 호칭어의 특성
1.이름을 호칭어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2.이름이 아닌 다른 호칭어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이를 이해하는데 있어, 문맥전체를 통한 담화적 접근이 요구된다.
->“김씨, 창문 좀 열어 주시겠습니까?”
3.친족 호칭어를 사용한다.
->“할아버지, 이 자리에 앉으세요.”
“아저씨, 여기로 갈려면 어떻게 하면 됩니까?”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어는 어느계통에 속한 언어인가
아랍문화의 일상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행위를 종교와 관련해 설명하라
[언어교육]한국어교육 교사 양성기관 및 교육과정 운영방안
[스위스][스위스의 기후][스위스의 자연환경][스위스의 언어][스위스의 사회 문화][스위스의 ...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 주체사상과 특징,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 정책...
북한어(북한말, 북한언어, 문화어) 의의, 북한어(북한말, 북한언어, 문화어) 발달, 북한어(북...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 역사와 정의,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 특징, 북...
다문화가정 영유아들의 언어발달 도모를 위한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안과 보육시...
우리민족(한민족, 한국민족)의 기원, 언어, 우리민족(한민족, 한국민족)의 사상, 신선도, 우...
[동아시아][동아시아 언어][동아시아 영웅신화][동아시아 문명][동아시아 민족][동아시아 문...
[동아시아][동아시아 문명][동아시아 문화][동아시아 창세신화][동아시아 민족][동아시아 언...
[한국어교육] 쇼핑 호스트 방송언어의 언어 표현적 특징 - 언어사용의 음운론적 특징, 사용...
한국어교재론 ) 세종 한국어 시리즈 중 한 권을 선택하여 언어학 이론의 관점과 그 외 다양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