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 2
2. 이론적 배경 --------------------------------------------- 2~23
3. 실험방법 ---------------------------------------------- 23~28
4. 실험결과 및 고찰 ---------------------------------------- 29~32
5. 결론 ------------------------------------------------- 32~33
6. 참고문헌 ------------------------------------------------- 33
2. 이론적 배경 --------------------------------------------- 2~23
3. 실험방법 ---------------------------------------------- 23~28
4. 실험결과 및 고찰 ---------------------------------------- 29~32
5. 결론 ------------------------------------------------- 32~33
6. 참고문헌 ------------------------------------------------- 33
본문내용
을 꺼내어 알코올 + 솜을 이용하여 닦아준다.
(4)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다.
6) 조직 관찰
- 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직을 관찰한다.
▶ 실험 시편과 기업체 시편의 소결 후 조직비교, 경도값을 관찰·비교한다.
1) 경도관찰
- 비커스 경도계를 사용하여 시편의 경도를 측정·관찰한다.
(1) 스탠다드 샘플로 경도계 수치 파악 후 경도계 사용(움직이기 않게 위치고정)
(2) 경도계를 내리면서 시편의 초점을 잡아준다.
(3) 경도를 찍고 선을 맞춰준다.
(4) 위아래로 맞춰준다.
(5) 거리1, 거리2, 경도 읽어준다.(3회반복-평균값계산)
2) 미세구조 관찰
- 현미경을 사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한다.
(X50, X100, X500, X1000)
4. 실험결과 및 고찰
4-1 실험결과
1) 조별 실험 시편 소결 전·후 밀도 비교
소결 전 밀도값 [%]
소결 후 밀도값 [%]
1조
73.50
73.54
2조
70.34
70.40
3조
67.50
68.10
4조
64.80
66.00
5조
72.20
72.90
6조
65.30
63.80
7조
73.80
73.38
8조
65.60
76.54
2) 8조 시편, 기업체 시편 미세조직 비교
8조 시편
기업체 시편
x50
x100
x500
x1000
3) 조별 기업체 시편, 실험 시편 경도값 비교
[좌 : 기업체 시편 / 우 : 실험 시편]
<1조>
d1
d2
data
149
145.6
85.4
149.6
147.5
84
149.6
148.5
83.4
d1
d2
data
190.0
193.1
50.5
182.6
193.7
52.3
204.5
207.8
43.6
195.6
194.1
48.8
183.2
193.9
52.1
<2조>
d1
d2
data
153.2
147.4
82.0
154.3
159.6
75.2
152.5
151.3
80.3
d1
d2
data
197.5
202.0
46.4
210.8
213.0
41.2
220.9
222.6
37.7
215.0
214.2
40.2
219.6
212.0
39.8
<3조>
d1
d2
data
147.5
147.7
85.1
148.8
155.2
80.2
148.3
150.2
83.2
d1
d2
data
221.5
228.9
36.5
227.9
209.2
38.8
216.0
228.3
37.5
210.4
210.4
41.9
215.0
212.9
40.9
<4조>
d1
d2
data
156.7
152.0
77.8
158.2
151.2
77.4
162.8
161.6
70.4
d1
d2
data
231.5
222.4
36.0
226.1
226.0
38.2
209.1
209.1
40.1
235.2
234.8
33.5
235.7
232.2
33.8
<5조>
d1
d2
data
155.6
157.1
75.8
151.7
151.7
81.3
155.4
153.6
77.6
d1
d2
data
179.8
179.3
57.5
200.2
197.5
46.8
211.7
206.1
42.4
206.0
217.1
41.4
200.4
195.0
47.4
<6조>
d1
d2
data
164.7
162.2
69.4
158.4
159.0
73.6
165.8
163.2
68.5
d1
d2
data
232.7
232.7
34.8
224.5
217.9
37.8
218.7
264.4
31.7
229.1
237.1
34.1
240.5
248.2
31.0
<7조>
d1
d2
data
133.5
137.8
100.7
135.2
139.0
98.6
136.7
143.4
94.5
d1
d2
data
191.0
198.0
49.0
200.7
180.8
50.9
190.9
191.1
50.8
<8조>
d1
d2
data
156.2
149.0
79.6
151.5
155.1
78.9
152.4
141.5
85.8
150.6
147.9
83.2
149.4
150.3
82.5
d1
d2
data
220.1
216.8
38.8
212.9
210.5
41.3
209.2
207.0
42.8
230.9
210.6
38.0
220.7
217.6
38.6
4-2 고찰
- 실험 때 만든 시편을 살펴보면 밀도값이 기업체 시편보다 현저히 낮게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프레스 고장으로 인해 밀도가 낮게 나왔을 것이라 생각한다.
- Polishing과정에서 평평하게 하지 않아 현미경으로 조직 관찰을 할 때 양 끝 높이차가 존재하여 흐리게 보였다.
- 조별로 기업에 시편 조성을 보면
5조 : Fe-0.7 [%] C-0.8 [%] Lub
6조 : Fe-0.7 [%] C-0.3 [%] JFM₃-0.8 [%] Lub
7조 : Fe-0.7 [%] C-0.5 [%] JFM₃-0.8 [%] Lub
8조 : Fe-0.7 [%] C-0.75 [%] JFM₃-0.8 [%] Lub
위와 같이 볼 수 있다.
- 조별로 기업체 시편 성형 밀도 [ρ] 를 보면
5조 : 6.537 ~ 6.554 [ρ]
6조 : 6.548 ~ 6.562 [ρ]
7조 : 6.540 ~ 6.550 [ρ]
8조 : 6.512 ~ 6.567 [ρ]
위와 같이 볼 수 있다.
- 이를 살펴보면 C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5. 결론
1) 조직 사진에서 펄라이트가 존재한다.
2) Fe-C 합금에서 C의 함유량은 합금의 경도에 비례, 관여한다.
3) 합금에서 피삭성 향상 원소는 합금의 경도에 반비례, 관여한다.
4) 쇼크업쇼버(shock absorber)는 피삭성 향상 원소가 첨가되어 있으면서 경도가 높은 합금으로 제작해야 좋다.
6. 참고문헌
[1] 재료과학과 공학(4판)/Mc Graw-Hil(사이텍미디어)/저자 William F. Smith(고진현 외 공역)/2008년/p.316-327, p.372-375
[2] 최신 금속열처리/원창출판사/저자 이상윤 외/1993년/p.3-6, p.60-62, p.105-106, p.354-357
[3] 소결의이론및실제/다성출판사/저자 RANDALL M.GERMAN/2000년/p.67-224, p.231-313, p.433-435
[4] 분말야금의기초/기전연구사/저자 이원식/2003년/p.9-28, p.29-42, p.150-156, p.166-184
(4)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다.
6) 조직 관찰
- 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직을 관찰한다.
▶ 실험 시편과 기업체 시편의 소결 후 조직비교, 경도값을 관찰·비교한다.
1) 경도관찰
- 비커스 경도계를 사용하여 시편의 경도를 측정·관찰한다.
(1) 스탠다드 샘플로 경도계 수치 파악 후 경도계 사용(움직이기 않게 위치고정)
(2) 경도계를 내리면서 시편의 초점을 잡아준다.
(3) 경도를 찍고 선을 맞춰준다.
(4) 위아래로 맞춰준다.
(5) 거리1, 거리2, 경도 읽어준다.(3회반복-평균값계산)
2) 미세구조 관찰
- 현미경을 사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한다.
(X50, X100, X500, X1000)
4. 실험결과 및 고찰
4-1 실험결과
1) 조별 실험 시편 소결 전·후 밀도 비교
소결 전 밀도값 [%]
소결 후 밀도값 [%]
1조
73.50
73.54
2조
70.34
70.40
3조
67.50
68.10
4조
64.80
66.00
5조
72.20
72.90
6조
65.30
63.80
7조
73.80
73.38
8조
65.60
76.54
2) 8조 시편, 기업체 시편 미세조직 비교
8조 시편
기업체 시편
x50
x100
x500
x1000
3) 조별 기업체 시편, 실험 시편 경도값 비교
[좌 : 기업체 시편 / 우 : 실험 시편]
<1조>
d1
d2
data
149
145.6
85.4
149.6
147.5
84
149.6
148.5
83.4
d1
d2
data
190.0
193.1
50.5
182.6
193.7
52.3
204.5
207.8
43.6
195.6
194.1
48.8
183.2
193.9
52.1
<2조>
d1
d2
data
153.2
147.4
82.0
154.3
159.6
75.2
152.5
151.3
80.3
d1
d2
data
197.5
202.0
46.4
210.8
213.0
41.2
220.9
222.6
37.7
215.0
214.2
40.2
219.6
212.0
39.8
<3조>
d1
d2
data
147.5
147.7
85.1
148.8
155.2
80.2
148.3
150.2
83.2
d1
d2
data
221.5
228.9
36.5
227.9
209.2
38.8
216.0
228.3
37.5
210.4
210.4
41.9
215.0
212.9
40.9
<4조>
d1
d2
data
156.7
152.0
77.8
158.2
151.2
77.4
162.8
161.6
70.4
d1
d2
data
231.5
222.4
36.0
226.1
226.0
38.2
209.1
209.1
40.1
235.2
234.8
33.5
235.7
232.2
33.8
<5조>
d1
d2
data
155.6
157.1
75.8
151.7
151.7
81.3
155.4
153.6
77.6
d1
d2
data
179.8
179.3
57.5
200.2
197.5
46.8
211.7
206.1
42.4
206.0
217.1
41.4
200.4
195.0
47.4
<6조>
d1
d2
data
164.7
162.2
69.4
158.4
159.0
73.6
165.8
163.2
68.5
d1
d2
data
232.7
232.7
34.8
224.5
217.9
37.8
218.7
264.4
31.7
229.1
237.1
34.1
240.5
248.2
31.0
<7조>
d1
d2
data
133.5
137.8
100.7
135.2
139.0
98.6
136.7
143.4
94.5
d1
d2
data
191.0
198.0
49.0
200.7
180.8
50.9
190.9
191.1
50.8
<8조>
d1
d2
data
156.2
149.0
79.6
151.5
155.1
78.9
152.4
141.5
85.8
150.6
147.9
83.2
149.4
150.3
82.5
d1
d2
data
220.1
216.8
38.8
212.9
210.5
41.3
209.2
207.0
42.8
230.9
210.6
38.0
220.7
217.6
38.6
4-2 고찰
- 실험 때 만든 시편을 살펴보면 밀도값이 기업체 시편보다 현저히 낮게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프레스 고장으로 인해 밀도가 낮게 나왔을 것이라 생각한다.
- Polishing과정에서 평평하게 하지 않아 현미경으로 조직 관찰을 할 때 양 끝 높이차가 존재하여 흐리게 보였다.
- 조별로 기업에 시편 조성을 보면
5조 : Fe-0.7 [%] C-0.8 [%] Lub
6조 : Fe-0.7 [%] C-0.3 [%] JFM₃-0.8 [%] Lub
7조 : Fe-0.7 [%] C-0.5 [%] JFM₃-0.8 [%] Lub
8조 : Fe-0.7 [%] C-0.75 [%] JFM₃-0.8 [%] Lub
위와 같이 볼 수 있다.
- 조별로 기업체 시편 성형 밀도 [ρ] 를 보면
5조 : 6.537 ~ 6.554 [ρ]
6조 : 6.548 ~ 6.562 [ρ]
7조 : 6.540 ~ 6.550 [ρ]
8조 : 6.512 ~ 6.567 [ρ]
위와 같이 볼 수 있다.
- 이를 살펴보면 C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5. 결론
1) 조직 사진에서 펄라이트가 존재한다.
2) Fe-C 합금에서 C의 함유량은 합금의 경도에 비례, 관여한다.
3) 합금에서 피삭성 향상 원소는 합금의 경도에 반비례, 관여한다.
4) 쇼크업쇼버(shock absorber)는 피삭성 향상 원소가 첨가되어 있으면서 경도가 높은 합금으로 제작해야 좋다.
6. 참고문헌
[1] 재료과학과 공학(4판)/Mc Graw-Hil(사이텍미디어)/저자 William F. Smith(고진현 외 공역)/2008년/p.316-327, p.372-375
[2] 최신 금속열처리/원창출판사/저자 이상윤 외/1993년/p.3-6, p.60-62, p.105-106, p.354-357
[3] 소결의이론및실제/다성출판사/저자 RANDALL M.GERMAN/2000년/p.67-224, p.231-313, p.433-435
[4] 분말야금의기초/기전연구사/저자 이원식/2003년/p.9-28, p.29-42, p.150-156, p.166-184
추천자료
복합재료인장실험보고서(결과)
다이오드 응용회로, 제너 다이오드 실험_예비_보고서
[재료공학실험보고서a+자료] 열처리 실험
재료과학 실험보고서 - 탄소강 세라믹 조직실험
A+받은 기초전기회로실험 (예비보고서) 3주차 - 실험 16. 키르히호프 전압법칙(단일전원) &am...
경북대학교 전자공학실험2 올A+ 예비,결과보고서1~11 (복사실 판매제안 받은 자료)
★ 실험보고서 - Arduino를 응용한 모터 제어 ( 실험내용, 실험방법, 동작원리, 실험 결과 )
재료과학 및 실험 보고서-경도실험,충격실험,마모실험
(선문대) A+ 받은 재료기초실험Ⅱ 중간실험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