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관계, 사회적 고립, 부모의 건강, 역할 제한 등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아동 영역을 통하여서는 자녀의 적응성, 수용성, 요구성, 기분, 과잉 활동성, 산만성, 부모 강화 등을 파악할 수 있다.
4.2 FILE (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
PSI가 부모의 역할 상의 문제와 자녀 양육 스트레스 등을 파악하는 도구였다면, FILE은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수준을 사정하는 도구이다. FILE은 McCubbin과 Patterson, Wilson에 의하여 처음 개발되었지만 1990년 강인에 의하여 우리나라 중년기의 가족 상황에 맞도록 변경된 측정 도구이다. FILE은 가족 관계, 재정, 직업 관계, 건강, 상실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가족 스트레스를 측정한다.
5. 가족체계 및 기능 사정도구: ENRICH, FACES, FAD, SFI, FEM 등
5.1 ENRICH(Enriching Relationship issues)
ENRICH(Enriching Relationship issues)는 오랜 시간에 걸쳐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도구로서, 세계 각국에서 부부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ENRICH는 부부 관계에서 중요한 영역들에 대한 객관적인 척도 점수를 제공해주므로 현재 부부 관계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증진시키고 원만한 가족 관계 형성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의 계획을 위하여 사용된다. ENRICH에서는 결혼 관계 만족도, 성격 문제, 의사소통, 갈등 해결 방법, 재정 관리, 여가활동, 성관계, 자녀 양육, 가족 및 친구 관계, 역할 관계, 종교적 신앙 등 다양한 영역에서는 평가가 이루어진다.
5.2 FACES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
FACES(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는 전귀연(1994), 정원미(1994), 김수연(1998) 등의 조사자의 연구에 사용된 가족응집성과 가족 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자기 보고식 척도이다. 조사 문항은 총 20문항으로써, 가족 응집성, 가족 적응성을 주로 평가한다. 가족 응집성은 하위 영역에 의해 측정되는 가족 응집성의 수치 값에 따라 네 개의 하위 집단(단절형, 분리형, 연결형, 밀착형)으로 구분된다. 또한 가족 적응성은 정도에 따라 경직형, 구조형, 융통형, 강한 융통형의 4개 집단으로 구분된다.
결론
본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없이 많은 방법의 가족 진단 방법이 발달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족 진단이 명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족의 상황과 클라이언트의 필요성에 맞는 접근 방식으로의 가족 진단이 필요하다. 또한, 가족 평가 도구들을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것은 올바른 가족 진단에 이르는 데 중요하다.
참고문헌
한석빈, 조수현, & 이상민. (2016). 가족스트레스와 가정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509-528.
4.2 FILE (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
PSI가 부모의 역할 상의 문제와 자녀 양육 스트레스 등을 파악하는 도구였다면, FILE은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수준을 사정하는 도구이다. FILE은 McCubbin과 Patterson, Wilson에 의하여 처음 개발되었지만 1990년 강인에 의하여 우리나라 중년기의 가족 상황에 맞도록 변경된 측정 도구이다. FILE은 가족 관계, 재정, 직업 관계, 건강, 상실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가족 스트레스를 측정한다.
5. 가족체계 및 기능 사정도구: ENRICH, FACES, FAD, SFI, FEM 등
5.1 ENRICH(Enriching Relationship issues)
ENRICH(Enriching Relationship issues)는 오랜 시간에 걸쳐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도구로서, 세계 각국에서 부부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ENRICH는 부부 관계에서 중요한 영역들에 대한 객관적인 척도 점수를 제공해주므로 현재 부부 관계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증진시키고 원만한 가족 관계 형성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의 계획을 위하여 사용된다. ENRICH에서는 결혼 관계 만족도, 성격 문제, 의사소통, 갈등 해결 방법, 재정 관리, 여가활동, 성관계, 자녀 양육, 가족 및 친구 관계, 역할 관계, 종교적 신앙 등 다양한 영역에서는 평가가 이루어진다.
5.2 FACES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
FACES(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는 전귀연(1994), 정원미(1994), 김수연(1998) 등의 조사자의 연구에 사용된 가족응집성과 가족 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자기 보고식 척도이다. 조사 문항은 총 20문항으로써, 가족 응집성, 가족 적응성을 주로 평가한다. 가족 응집성은 하위 영역에 의해 측정되는 가족 응집성의 수치 값에 따라 네 개의 하위 집단(단절형, 분리형, 연결형, 밀착형)으로 구분된다. 또한 가족 적응성은 정도에 따라 경직형, 구조형, 융통형, 강한 융통형의 4개 집단으로 구분된다.
결론
본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없이 많은 방법의 가족 진단 방법이 발달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족 진단이 명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족의 상황과 클라이언트의 필요성에 맞는 접근 방식으로의 가족 진단이 필요하다. 또한, 가족 평가 도구들을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것은 올바른 가족 진단에 이르는 데 중요하다.
참고문헌
한석빈, 조수현, & 이상민. (2016). 가족스트레스와 가정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509-528.
추천자료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에 대해 설명하고 가족치료이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가족구성...
자신이 가족치료사로서 현장에서 근무하게 된다면 치료해보고 싶은 특정한 가족형태나, 특정...
자신이 가족치료사로서 현장에서 근무하게 된다면 치료해보고 싶은 특정한 가족형태나 특정한...
[가족상담및치료] 전략적 가족상담의 치료모델 및 사회구성주의 가족상담 치료모델 이론에 대...
[가족상담및치료 공통] 체계이론을 정리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에서 체계이론이 갖...
[가족치료] 건강한 가정을 위한 가족치료 향상 프로그램 (건강한 가정을 위한 가족치료 향상 ...
역기능 가족개입을 위한 3가지 모델을 비교 서술하시오(해결중심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을 설명하고 각 본인의 가족구조가 어떤 하위...
[가족복지론]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과 보웬의 가족치료모델(다세대모델) : 구조적가족...
[가족상담및치료] 부부간 폭력을 경험하는 가족을 구조적 가족치료의 방법으로 개입 해보시오...
가족상담및치료_가족치료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해서 기능적 가족과 역기능적 가족의 차이점...
가족상담및치료 공통:) 가족체계이론에 대해서 설명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 맥락에서 갖는 ...
가족상담및치료)저소득층 가족에 대한 구조적 가족상담 및 치료를 진행한다고 가정하고, 상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