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II. 간호과정
1. 간호사정 기록지
1) 일반적 사항
2) 간호력
3) 진단검사
4) 약물
2. 간호과정
III. 결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II. 간호과정
1. 간호사정 기록지
1) 일반적 사항
2) 간호력
3) 진단검사
4) 약물
2. 간호과정
III. 결론
본문내용
항생제
박스터 Metronidazole 주사 500mg/100ml
(메트로니다졸)
분당 5ml(25mg)의 속도로, 500mg(100ml)을 8시간마다 정맥주사한. po가 가능해지면 1회 400mg, 1일 3회 po로 대치
10/21-10/28
(HD 1-8)
1일 3회 500mg/100ml IV 투여
혐기성균 감염증의 치료 및 예방
N/V, 설사,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세프트리악손 나트륨주 2g
(Ceftrixatone Sodium Hydreate)
용법: IV/IM
용량: 1일 1회 1-2회(중증질환시 1일 4회까지 증량 가능)
- 1회/1일
10/21-10/28
(HD 1-8)
1일 1회 2g IV 투여
호흡기계/요로기계 감염증, 패혈증, 위장관 감염증의 치료 및 예방
호산구증가증, 백혈구 감소증
정장제
Ramnos 캡슐 1g
(락토바실루스카제이변종람노수스의 동결건조 배양물)
1일 2포(2g)-8포(8g) 경구투여
10/21-10/28
(HD 1-8)
1일 3회 3정 경구투여
장내균총의 정상화에 의한 정장 및 설사증상의 개선
과민반응
진경제
티피엠정 100mg
(티로프라미드염산염)
1회 100mg, 1일 2-3회 경구투여
10/21-10/25
(HD 1-5)
1일 3회 300mg 경구투여
복부 산통, 위장관 이상운동증
N/V, 변비, 알러지 증상
소화성 궤양용제
Stogar 10mg
(라푸티딘)
1회 10mg을 1일 2회 오전 및 취침 전 경구투여
10/21-10/28
(HD 1-8)
1일 2회 10mg 경구투여
위/십이지장궤양, 급/만성 위염의 위점막병변의 개선
황달, 무과립구증, 범혈구 감소증
소화관 운동 조절제
Gasmotin 5mg
(모사프리드시트르산염수화물)
1일 15mg을 3회로 나누어 식전/식후에 경구투여
10/26-10/28
(HD 6-8)
1일 3회 15mg 경구투여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인한 소화기 증상(속쓰림, N/V)
설사, 간기능 장애, 백혈구 감소,
간호진단 목록(우선순위별)
우선순위
간호진단 목록
1
장의 감염과 관련된 설사
2
장의 감염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위험성
3
지속적인 설사와 관련된 체액불균형 위험성
간호사정
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S)
객관적 자료(O)
계획
이론적 근거
- 입원 시 “열이 나고 설사를 해요.”
- 주호소: 발열, 설사, 복통
- 어제 호프집에서 술, 어묵 등을 먹고 난 후 설사, 발열, 복통이 있었는데 아침까지 호전되지 않아 외래 진료 후 내원.
- CT상 enteritis 의심됨.
- 대상자는 이틀 이내로 더 이상 설사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 대상자는 이틀 이내로 설사로 인한 불편감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설사로 인한 탈수나 영양결핍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의 V/S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q.i.d.로 V/S를 측정한다.
(6시, 10시, 14시, 20시)
대상자의 V/S이 정상범위에 있다.
대상자에게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설사로 인해 손실된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하여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대상자에게 경구와 정맥주입으로 수분과 전해질 및 비타민을 공급한다.
(N/S 500ml + M.V.H. inj)
대상자에게 탈수나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필요한 영양을 공급한다.
대상자는 현재 적절한 영양을 공급받고 있지 못하므로 영양 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영양공급을 한다.
대상자의 상태가 호전되면(발열 및 복통이 없고 설사가 멎으면) 의사의 지시에 따라 대상자에게 죽 또는 연식을 제공한다.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영양결핍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위생에 대한 교육을 한다.
Viral enteritis는 불결한 위생으로 인해 전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재발 방지를 위하여 대상자에게 위생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Viral enteritis는 손을 씻지 않고 음식을 먹을 경우, 오염된 음식이나 식수를 먹을 경우 전파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대상자는 음식을 먹기 전 올바른 방법으로 손을 씻는 행위를 수행한다.
간호진단: 장의 감염과 관련된 설사
III. 결론
본 사례연구는 2016년 10월 21일부터 2016년 10월 28일까지 viral enteritis로 내과 병동에 입원하신 정**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정**님은 10월 20일(입원 전 날) 음식 및 술을 섭취하고 복통, 설사, 발열을 주 증상으로 입원하셔서 viral enteritis로 진단받고 수화, 진통제, 전해질 공급 등의 치료를 받으신 후 호전되어서 퇴원하셨다. 입원 시 제공된 간호중재로는 V/S check, 수화 및 진통제의 투여, 적절한 식이 섭취하게 하기 등이 있다.
Viral enteritis는 증상이 경할 경우 직접적인 의료적 중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대증적인 치료로도 충분히 나을 수 있는 질병이다. 그러나 위생에 주의하지 않을 경우, 또는 개발도상국이나 사회경제적 상태가 낮은 지역의 주민 특히 어린 아동에게 많이 발생할 수 있고, 그럴 수록 질병의 경과가 치명적이라는 점에서 경각심을 가져야하는 질병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ferences:
성인간호학 I(2012) 수문사. 김금순 외.
약학정보원(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www.health.kr
What is gastroenteritis?(Khan Academy with American Association of Colloges of Nursing) https://www.youtube.com/watch?v=2Xq2fZCs2oU
LookForDiagnosis.com-enteritis. http://lookfordiagnosis.com/mesh_info.php?term=enteritis&lang=1
Healthline-Enteritis. http://www.healthline.com/health/enteritis#Overview1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2013). 현문사. 차영남 외.
박스터 Metronidazole 주사 500mg/100ml
(메트로니다졸)
분당 5ml(25mg)의 속도로, 500mg(100ml)을 8시간마다 정맥주사한. po가 가능해지면 1회 400mg, 1일 3회 po로 대치
10/21-10/28
(HD 1-8)
1일 3회 500mg/100ml IV 투여
혐기성균 감염증의 치료 및 예방
N/V, 설사,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세프트리악손 나트륨주 2g
(Ceftrixatone Sodium Hydreate)
용법: IV/IM
용량: 1일 1회 1-2회(중증질환시 1일 4회까지 증량 가능)
- 1회/1일
10/21-10/28
(HD 1-8)
1일 1회 2g IV 투여
호흡기계/요로기계 감염증, 패혈증, 위장관 감염증의 치료 및 예방
호산구증가증, 백혈구 감소증
정장제
Ramnos 캡슐 1g
(락토바실루스카제이변종람노수스의 동결건조 배양물)
1일 2포(2g)-8포(8g) 경구투여
10/21-10/28
(HD 1-8)
1일 3회 3정 경구투여
장내균총의 정상화에 의한 정장 및 설사증상의 개선
과민반응
진경제
티피엠정 100mg
(티로프라미드염산염)
1회 100mg, 1일 2-3회 경구투여
10/21-10/25
(HD 1-5)
1일 3회 300mg 경구투여
복부 산통, 위장관 이상운동증
N/V, 변비, 알러지 증상
소화성 궤양용제
Stogar 10mg
(라푸티딘)
1회 10mg을 1일 2회 오전 및 취침 전 경구투여
10/21-10/28
(HD 1-8)
1일 2회 10mg 경구투여
위/십이지장궤양, 급/만성 위염의 위점막병변의 개선
황달, 무과립구증, 범혈구 감소증
소화관 운동 조절제
Gasmotin 5mg
(모사프리드시트르산염수화물)
1일 15mg을 3회로 나누어 식전/식후에 경구투여
10/26-10/28
(HD 6-8)
1일 3회 15mg 경구투여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인한 소화기 증상(속쓰림, N/V)
설사, 간기능 장애, 백혈구 감소,
간호진단 목록(우선순위별)
우선순위
간호진단 목록
1
장의 감염과 관련된 설사
2
장의 감염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위험성
3
지속적인 설사와 관련된 체액불균형 위험성
간호사정
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S)
객관적 자료(O)
계획
이론적 근거
- 입원 시 “열이 나고 설사를 해요.”
- 주호소: 발열, 설사, 복통
- 어제 호프집에서 술, 어묵 등을 먹고 난 후 설사, 발열, 복통이 있었는데 아침까지 호전되지 않아 외래 진료 후 내원.
- CT상 enteritis 의심됨.
- 대상자는 이틀 이내로 더 이상 설사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 대상자는 이틀 이내로 설사로 인한 불편감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설사로 인한 탈수나 영양결핍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의 V/S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q.i.d.로 V/S를 측정한다.
(6시, 10시, 14시, 20시)
대상자의 V/S이 정상범위에 있다.
대상자에게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설사로 인해 손실된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하여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대상자에게 경구와 정맥주입으로 수분과 전해질 및 비타민을 공급한다.
(N/S 500ml + M.V.H. inj)
대상자에게 탈수나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필요한 영양을 공급한다.
대상자는 현재 적절한 영양을 공급받고 있지 못하므로 영양 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영양공급을 한다.
대상자의 상태가 호전되면(발열 및 복통이 없고 설사가 멎으면) 의사의 지시에 따라 대상자에게 죽 또는 연식을 제공한다.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영양결핍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위생에 대한 교육을 한다.
Viral enteritis는 불결한 위생으로 인해 전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재발 방지를 위하여 대상자에게 위생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Viral enteritis는 손을 씻지 않고 음식을 먹을 경우, 오염된 음식이나 식수를 먹을 경우 전파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대상자는 음식을 먹기 전 올바른 방법으로 손을 씻는 행위를 수행한다.
간호진단: 장의 감염과 관련된 설사
III. 결론
본 사례연구는 2016년 10월 21일부터 2016년 10월 28일까지 viral enteritis로 내과 병동에 입원하신 정**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정**님은 10월 20일(입원 전 날) 음식 및 술을 섭취하고 복통, 설사, 발열을 주 증상으로 입원하셔서 viral enteritis로 진단받고 수화, 진통제, 전해질 공급 등의 치료를 받으신 후 호전되어서 퇴원하셨다. 입원 시 제공된 간호중재로는 V/S check, 수화 및 진통제의 투여, 적절한 식이 섭취하게 하기 등이 있다.
Viral enteritis는 증상이 경할 경우 직접적인 의료적 중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대증적인 치료로도 충분히 나을 수 있는 질병이다. 그러나 위생에 주의하지 않을 경우, 또는 개발도상국이나 사회경제적 상태가 낮은 지역의 주민 특히 어린 아동에게 많이 발생할 수 있고, 그럴 수록 질병의 경과가 치명적이라는 점에서 경각심을 가져야하는 질병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ferences:
성인간호학 I(2012) 수문사. 김금순 외.
약학정보원(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www.health.kr
What is gastroenteritis?(Khan Academy with American Association of Colloges of Nursing) https://www.youtube.com/watch?v=2Xq2fZCs2oU
LookForDiagnosis.com-enteritis. http://lookfordiagnosis.com/mesh_info.php?term=enteritis&lang=1
Healthline-Enteritis. http://www.healthline.com/health/enteritis#Overview1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2013). 현문사. 차영남 외.
추천자료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결장암 케이스 트터디(case study)
DM CASE STUDY
(A+)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충수절제술(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과 관련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입...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A+_Diffuse large cell type lymphoma(non-hodgkins lymphoma) 비호지킨병 케이스 스터디, no...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소개글